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도사 승가대학의 역사와 문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422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찰은 통도사 승가대학의 역사와 문화를 종합적으로 살펴 본 논문 이다. 이 논고에서 필자는 객관적인 근거에 의하여 현재의 통도사 승가 대학이 있기까지의 역사를 총체적으로 살펴보려고 하였다. 그래서 일제시기 통도사 강원의 변천 과정을 살피고, 이후에는 해방 이후 통도사 강원의 운영 그리고 승가대학으로의 전환 내용을 정리하였 다. 그러면서 현재 통도사 승가대학의 전통을 더욱 살피기 위해 역대 강 주, 강사의 이력과 사상을 조사하였다. 동시에 강원의 학칙, 청규, 학제, 교과과정, 졸업생 현황 및 활동 등을 정리하였다. 이러한 바탕하에서 통 도사 승가대학의 특성 및 향후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검토는 통도사 근현대사, 통도사 수행의 역사, 통도사 수행 의 역사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필자는 이 고찰이 통도사 승가대의 성 찰 및 미래지향의 검토를 할 때에 필요한 근거로 활용될 것을 믿는다.
      번역하기

      본고찰은 통도사 승가대학의 역사와 문화를 종합적으로 살펴 본 논문 이다. 이 논고에서 필자는 객관적인 근거에 의하여 현재의 통도사 승가 대학이 있기까지의 역사를 총체적으로 살펴보...

      본고찰은 통도사 승가대학의 역사와 문화를 종합적으로 살펴 본 논문 이다. 이 논고에서 필자는 객관적인 근거에 의하여 현재의 통도사 승가 대학이 있기까지의 역사를 총체적으로 살펴보려고 하였다. 그래서 일제시기 통도사 강원의 변천 과정을 살피고, 이후에는 해방 이후 통도사 강원의 운영 그리고 승가대학으로의 전환 내용을 정리하였 다. 그러면서 현재 통도사 승가대학의 전통을 더욱 살피기 위해 역대 강 주, 강사의 이력과 사상을 조사하였다. 동시에 강원의 학칙, 청규, 학제, 교과과정, 졸업생 현황 및 활동 등을 정리하였다. 이러한 바탕하에서 통 도사 승가대학의 특성 및 향후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검토는 통도사 근현대사, 통도사 수행의 역사, 통도사 수행 의 역사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필자는 이 고찰이 통도사 승가대의 성 찰 및 미래지향의 검토를 할 때에 필요한 근거로 활용될 것을 믿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sis is to shed light on the history and culture of Tongdosa Buddhist Monk University. To do it, this researcher intended to make the historic review on this Buddhist Monk University, from macro-perspective.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thesis made the reexaminations on how Kwangwon Tongdosa temple went through ups and downs during the occupation of the Japanese Imperialism. Subsequently, this thesis conducted the analysis of how this temple was operated after Korea was liberated from the Japanese imperialist oppression, how it was renamed a Buddhist Monk University. Also, this research thesis looked through the history and ideas that academic professors and instructors had, in a bid to study the tradition of Tongdosa Buddhist Monk University. And at the same time, this thesis reviewed school ethical codes, regulations, interdisciplinary rules, curriculum and number and activities of graduators, and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this university and the upcoming tasks, in accordance with such factors. Against this backdrop, this researcher believes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the comprehensive reviews and reexaminations o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the Tongdosa Temple, and such reviews and reexaminations are essential for providing the blueprint for the future's Tongdosa Templ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sis is to shed light on the history and culture of Tongdosa Buddhist Monk University. To do it, this researcher intended to make the historic review on this Buddhist Monk University, from macro-perspective. In this co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sis is to shed light on the history and culture of Tongdosa Buddhist Monk University. To do it, this researcher intended to make the historic review on this Buddhist Monk University, from macro-perspective.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thesis made the reexaminations on how Kwangwon Tongdosa temple went through ups and downs during the occupation of the Japanese Imperialism. Subsequently, this thesis conducted the analysis of how this temple was operated after Korea was liberated from the Japanese imperialist oppression, how it was renamed a Buddhist Monk University. Also, this research thesis looked through the history and ideas that academic professors and instructors had, in a bid to study the tradition of Tongdosa Buddhist Monk University. And at the same time, this thesis reviewed school ethical codes, regulations, interdisciplinary rules, curriculum and number and activities of graduators, and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this university and the upcoming tasks, in accordance with such factors. Against this backdrop, this researcher believes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the comprehensive reviews and reexaminations o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the Tongdosa Temple, and such reviews and reexaminations are essential for providing the blueprint for the future's Tongdosa Temp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한글요약
      • Ⅰ. 머리말
      • Ⅱ. 일제시기 강원 설립과 운영
      • 1. 삼학을 갖춘 총림의 출발
      • 2. 강원의 설립과 학칙제정
      • 한글요약
      • Ⅰ. 머리말
      • Ⅱ. 일제시기 강원 설립과 운영
      • 1. 삼학을 갖춘 총림의 출발
      • 2. 강원의 설립과 학칙제정
      • 3. 강원 학인들의 활동 및 현황
      • Ⅲ. 해방 이후 강원의 운영과 승가대학의 설립
      • 1. 역대 강주ㆍ강사의 이력
      • 2. 강원의 학칙 및 청규
      • 3. 학제 및 교과 과정
      • 4. 학인들의 교화활동 실습
      • 5. 졸업생 현황 및 활동
      • Ⅳ. 통도사 승가대학의 변화와 향후 과제
      • 1. 혜엄 우진스님 이후의 변화과정
      • 2. 올바른 도제 양성을 위한 향후과제
      • <부록>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광식, "화엄사 승가대학의 어제와 오늘" 한국불교연구원 (33) : 195-225, 2010

      2 이법산, "한국선원과 수좌의 현황과 과제" 보조사상연구원 (27) : 11-38, 2007

      3 정광호, "한국불교 최근백년사 편년" 인하대출판부 1997

      4 "한국 근현대 불교자료 전집" 민족사 1996

      5 김광식, "한국 근대불교의 현실인식" 민족사 1998

      6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의 강학 전통과 白羊寺 강원의 역사" 불교학연구회 25 : 283-328, 2010

      7 김용태, "조선후기 華嚴寺의 역사와 浮休系전통" 역사문화학회 12 (12): 381-409, 2009

      8 김광식, "조선불교 학인대회 연구, In 한국 근대불교의 현실인식" 민족사 1998

      9 조계종 교육원, "조계종사 - 근현대편" 조계종출판사 2001

      10 정영식, "조계종 총림의 역사와 문화" 조계종출판사 2009

      1 김광식, "화엄사 승가대학의 어제와 오늘" 한국불교연구원 (33) : 195-225, 2010

      2 이법산, "한국선원과 수좌의 현황과 과제" 보조사상연구원 (27) : 11-38, 2007

      3 정광호, "한국불교 최근백년사 편년" 인하대출판부 1997

      4 "한국 근현대 불교자료 전집" 민족사 1996

      5 김광식, "한국 근대불교의 현실인식" 민족사 1998

      6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의 강학 전통과 白羊寺 강원의 역사" 불교학연구회 25 : 283-328, 2010

      7 김용태, "조선후기 華嚴寺의 역사와 浮休系전통" 역사문화학회 12 (12): 381-409, 2009

      8 김광식, "조선불교 학인대회 연구, In 한국 근대불교의 현실인식" 민족사 1998

      9 조계종 교육원, "조계종사 - 근현대편" 조계종출판사 2001

      10 정영식, "조계종 총림의 역사와 문화" 조계종출판사 2009

      11 조계종, "조계종 승가교육의 현황" (2) : 1998

      12 통도사, "영축총림 통도사 근현대 불교사" 선연 2010

      13 김광식, "근현대불교의 재조명" 민족사 2000

      14 서왕모, "경봉스님의 선사상 일고(一考)" 보조사상연구원 30 : 175-216, 2008

      15 정도, "경봉선사 연구" 동국대학교 2010

      16 조계종 교육원, "강원총람" 1997

      17 김광식, "1930년대 강원제도 개선 문제, In 근현대불교의 재조명" 민족사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48 1.03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