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한 청동기시대 원형점토대토기문화 출현의 정치·사회적 의미 = Political and Social Significance of the Emergence of pottery with clay band rim Culture in the Bronze Age in Sou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130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uth Korean pottery with clay band rim appeared along with the lute-shaped bronze sword around the 12th centuries BC, and later coexisted with the Songguk-ri culture, the late Yeoksam-dong culture, and the Geomdan-ri culture in the Late Bronze Age for a long time. The group of pottery with clay band rim from South Korea is not a migrant from the Liaodong area ‘political group’, but a ‘bronze artisan group’ that entered South Korea through the network of 'Liaodong-Northwest Korea-South Korea' that was formed from the early Bronze Age.
      This ‘bronze artisan group’ were technical artisans who made a living by supplying lute-shaped bronze dagger to the ruling class of local society, but as they gradually gained political power, they grew into ‘priests’, the ruling class of local society.
      번역하기

      South Korean pottery with clay band rim appeared along with the lute-shaped bronze sword around the 12th centuries BC, and later coexisted with the Songguk-ri culture, the late Yeoksam-dong culture, and the Geomdan-ri culture in the Late Bronze Age fo...

      South Korean pottery with clay band rim appeared along with the lute-shaped bronze sword around the 12th centuries BC, and later coexisted with the Songguk-ri culture, the late Yeoksam-dong culture, and the Geomdan-ri culture in the Late Bronze Age for a long time. The group of pottery with clay band rim from South Korea is not a migrant from the Liaodong area ‘political group’, but a ‘bronze artisan group’ that entered South Korea through the network of 'Liaodong-Northwest Korea-South Korea' that was formed from the early Bronze Age.
      This ‘bronze artisan group’ were technical artisans who made a living by supplying lute-shaped bronze dagger to the ruling class of local society, but as they gradually gained political power, they grew into ‘priests’, the ruling class of local socie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경, "遼寧地域 粘土帶土器文化의 변천과 파급" 한국청동기학회 (15) : 102-136, 2014

      2 박순발, "遼寧 粘土帶土器文化의 韓半島 定着 過程" 忠淸文化財硏究院 1 : 2004

      3 李淸圭, "遼寧 本溪縣 上堡村 출토 銅劍과 土器에 대하여" 동아대학교박물관 16 : 2000

      4 김미경, "遼東地域 靑銅器時代 土器文化圈 설정에 관한 再檢討-凉泉文化를 中心으로-" 호서고고학회 (21) : 49-79, 2009

      5 朱永剛, "遼東地區雙房式陶壺硏究" 2 : 2008

      6 沈陽故宮博物館, "沈陽鄭家窪子的兩座靑銅時代墓葬" 1975 (1975): 1975

      7 李在賢, "金海 大淸 遺蹟" 釜山大學校 博物館 2002

      8 윤용현 ; 조남철 ; 윤대식 ; 장수비 ; 정영상 ; 이은철, "황동석을 이용한 제련 실험 및 부산물의 분석 연구" 한국서지학회 (60) : 287-311, 2014

      9 오승열, "화성 동학산유적" 기전문화재연구원 2007

      10 최종규, "합청 영창리 무문시대 집락" 경남고고학연구소 2002

      1 김민경, "遼寧地域 粘土帶土器文化의 변천과 파급" 한국청동기학회 (15) : 102-136, 2014

      2 박순발, "遼寧 粘土帶土器文化의 韓半島 定着 過程" 忠淸文化財硏究院 1 : 2004

      3 李淸圭, "遼寧 本溪縣 上堡村 출토 銅劍과 土器에 대하여" 동아대학교박물관 16 : 2000

      4 김미경, "遼東地域 靑銅器時代 土器文化圈 설정에 관한 再檢討-凉泉文化를 中心으로-" 호서고고학회 (21) : 49-79, 2009

      5 朱永剛, "遼東地區雙房式陶壺硏究" 2 : 2008

      6 沈陽故宮博物館, "沈陽鄭家窪子的兩座靑銅時代墓葬" 1975 (1975): 1975

      7 李在賢, "金海 大淸 遺蹟" 釜山大學校 博物館 2002

      8 윤용현 ; 조남철 ; 윤대식 ; 장수비 ; 정영상 ; 이은철, "황동석을 이용한 제련 실험 및 부산물의 분석 연구" 한국서지학회 (60) : 287-311, 2014

      9 오승열, "화성 동학산유적" 기전문화재연구원 2007

      10 최종규, "합청 영창리 무문시대 집락" 경남고고학연구소 2002

      11 이건무, "한반도 청동기시대 설정의 발자취와 연구과제" 국립청주박물관·한국청동기학회 2020

      12 이건무, "한국식동검문화의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3

      13 황재훈, "한국고고학과 방사성탄소연대" 영남고고학회 (90) : 5-30, 2021

      14 윤무병, "한국 청동유물의 연구" (12) : 1972

      15 이형원, "한국 청동기시대 전기 중부지역 무문토기 편년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2

      16 조진선, "한국 청동기-초기철기시대의 시기구분 -금속기의 출현과 정치체의 등장을 기준으로-" 한국청동기학회 (27) : 20-52, 2020

      17 서길덕, "한국 점토띠토기문화기 무덤 연구" 세종대학교 2018

      18 이창희, "한국 원사고고학의 기원론과 연대론" 한국고고학회 (102) : 250-273, 2017

      19 천선행, "한국 무문토기문화의 공간적 범위에 대하여" 한국청동기학회 (22) : 26-48, 2018

      20 주경미, "한국 대장장이의 역사와 현대적 의미" 부산경남사학회 (78) : 355-390, 2011

      21 이형원, "토기로 본 고조선 연구의 비판적 검토 —비파형동검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106) : 76-103, 2018

      22 전일용, "충남 지역의 원형점토띠토기 출토 생활유적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2006

      23 강인욱, "초기 고조선 네트워크의 형성과 비파형동검문화 —기술, 무기, 제사를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106) : 46-75, 2018

      24 안재호, "청동기시대의 고고학2:편년" 한국고고환경연구소 2016

      25 이창희, "청동기시대의 고고학 2: 編年" 서경문화사 2016

      26 이창희 ; 구숙현, "청동기시대 후기 문화변용과 인구변동 -금강·만경강유역의 양상에 기초하여-" 중부고고학회 21 (21): 43-74, 2022

      27 김현식, "청동기시대 중기의 역연대" 2013

      28 이창희, "청동기시대 조기의 역연대" 37 (37): 439-452, 2013

      29 이성주, "청동기시대 동아시아 세계체계와 한반도의 문화변동" 23 : 1996

      30 오강원, "청동기~철기시대 동북아시아 제 지역의 물질문화와 상호작용권의 형성과 변형" 41 : 2014

      31 이화종, "중부지방 점토대토기문화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4

      32 이성재, "중국동북지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전개과정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7

      33 林 沄, "중국 동북계 동검 초론" 학연문화사 2013

      34 이창희, "점토대토기의 실연대 -세형동검문화의 성립과 철기의 출현연대-" 국립문화유산연구원 43 (43): 48-101, 2010

      35 박순발, "점토대토기문화의 기원과 전개" 2015

      36 한상인, "점토대 토기문화 성격의 일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1

      37 이창희, "유적조사와 연대측정-방사성탄소연대측정 지침(指針)-" 부산고고학회 (24) : 45-71, 2019

      38 노혁진, "유구석부 재검토" 57 :

      39 서길덕, "원형점토띠토기의 변천과정 연구 :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6

      40 구숙현, "원형점토대토기문화 취락의 특징과 의미 -중서부지역을 중심으로-" 부산고고학회 (32) : 29-60, 2023

      41 조진선, "요하문명의 확산과 중국 동북지역의 청동기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10

      42 이후석, "요령지역 비파형동검의 등장과 그 배경" 한국고고학회 (111) : 46-85, 2019

      43 김나영, "영남지역 삼한시대 주거지의 변천과 지역성"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7

      44 김양선, "역삼동주거지 발굴보고" 20 : 1968

      45 유재원, "신화와 설화를 통한 지역연구 ; 신화를 통해 본 그리스 선사시대 대장장이 부족" 3 : 1999

      46 김현식, "송국리단계 유물·유구 변화와 의미" 한국청동기학회 (19) : 134-151, 2016

      47 국립중앙박물관, "송국리Ⅰ" 국립중앙박물관 1979

      48 이강승, "송국리Ⅰ" 국립중앙박물관 1979

      49 조진선, "세형동검문화의 전개과정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4

      50 朴辰一, "서울·경기지방 점토대토기문화 試論" 5 (5): 2006

      51 오강원, "비파형동검문화와 요령지역의 청동기문화" 청계 2006

      52 이후석, "비파형동검문화 청동 네트워크와 상호작용" 41 : 2019

      53 김일규, "비파형동검 출현연대로 본 청동기시대 탄소14연대 재고" 영남고고학회 (80) : 45-62, 2018

      54 李弘鐘, "부뚜막 施設의 登場과 地域相" 12 : 1993

      55 이영선 ; 이재용 ; 김장석,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의 불확실성에 대한 베이지안 분석" 한국통계학회 28 (28): 371-383, 2015

      56 황재훈 ; 김장석 ; 이영선 ; 이재용 ; 송아름 ; 김준규 ; 박지영 ; 양지원 ; 양혜민 ; 강승호 ; 오용제 ; 안승모 ; 최종택 ; 성춘택 ; David K. Wright ; 최선호 ; 현창호, "방사성탄소연대의 고목 효과에 대한 실험적 검토" 한국상고사학회 92 (92): 117-149, 2016

      57 배진성, "무문토기의 계통과 전개-최근의 쟁점을 중심으로. -" 16 : 2010

      58 천선행, "무문토기문화권에서의 청동기시대 시작과 끝" 호남고고학회 71 : 6-36, 2022

      59 강은해, "동아시아의 대장장이 신화 연구 - 한, 중, 일, 베트남 설화를 중심으로 -"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279-319, 2008

      60 강인욱, "동북아시아에서의 한국 청동기시대 문화" 한국청동기학회 2017

      61 이후석, "동북아시아 고고학 개설Ⅰ" 동북아역사재단 2020

      62 金範哲, "남한지역 후기무문토기문화의 성격연구-서울지역 연구를 위한 시론적고찰-" ⅩⅥ : 2001

      63 조진선 ; 이은우, "남한지역 청동기-초기철기시대 청동기의 산지추정과 의미" 한국상고사학회 114 (114): 63-94, 2021

      64 김현식, "남한 청동기시대 토기와 주거지의 변천연구" 부산대학교 2020

      65 김현식, "남한 청동기시대 서북한양식 주거지에 대한 고찰" 영남고고학회 (66) : 4-37, 2013

      66 김소진 ; 이은우 ; 황진주 ; 한우림, "국내·외 고대 구리 제련기술 및 유적에 대한문헌적 고찰" 국립문화유산연구원 48 (48): 126-137, 2015

      67 허준양, "구분마연 기술로 본 한국식동검문화의 개시 연대 - 중국 자료의 편년을 통하여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50 (50): 4-29, 2017

      68 김정학, "광주 가락리 주거지 발굴보고"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 : 11-25, 1963

      69 강인욱, "고조선의 네트워크와 그 주변 사회" 주류성(주류성출판사) 2022

      70 이정신, "고려시대 銅의 사용현황과 銅所" 고려사학회 (25) : 151-181, 2006

      71 차순철, "경주지역의 청동생산(靑銅生産) 공방운영(工房運營)에 대한 일고찰" 국립문화유산연구원 (38) : 179-222, 2005

      72 박영구, "韓日聚落硏究의 새로운 視覺을 찾아서 Ⅱ" 日韓聚落硏究會 2010

      73 정인성, "韓國考古學에서 ‘初期鐵器時代’ 그리고 ‘古朝鮮時代’" 한국상고사학회 106 (106): 25-49, 2019

      74 이건무, "韓國式 銅劍文化의 性格 - 成立背景에 대하여 -" 文化財硏究所 1994

      75 안재호, "韓半島靑銅器時代의時期區分" 國立中央博物館 16 : 2010

      76 강인욱, "韓半島 出土 琵琶形銅劍의 登場과 地域性 대하여" 한국상고사학회 49 (49): 59-98, 2005

      77 李淸圭, "靑銅器를 통해 본 古朝鮮과 주변사회" 6 : 2005

      78 이수홍, "靑銅器時代 檢丹里類型의 考古學的 硏究"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79 조진선, "遼西地域의琵琶形銅劍文化와 種族" 한국상고사학회 96 (96): 183-213, 2017

      80 王立新, "遼西冶銅考古的壹項新收獲-內蒙古克什克騰旗喜鵲溝銅鑛遺址的發掘-" 48 : 2014

      81 鐵嶺市博物館, "遼北東部地區幾處靑銅時代遺址調査" 1992 (1992): 1992

      82 靳楓毅, "論中國東北地區含曲刃靑銅短劍的文化遺存(下)" 1 : 1983

      83 靳楓毅, "論中國東北地區含曲刃靑銅短劍的文化遺存(上)" 4 : 1982

      84 배진성, "美松里型土器文化의 動態와 分布圈" 동북아역사재단 (47) : 99-135, 2015

      85 金美京, "美松里型 土器의 변천과 성격 에 대하여" 한국고고학회 (60) : 38-87, 2006

      86 진영민, "粘土帶土器文化의 韓半島 開始年代 再考" 한국청동기학회 (18) : 54-82, 2016

      87 朴辰一, "粘土帶土器, 그리고 靑銅器時代와 初期鐵器時代" 韓國靑銅器學會 1 : 2007

      88 吉林市博物館, "永吉星星哨石棺墓第三次發掘" 3 : 1983

      89 김원룡, "水石里先史時代聚落住居址調査報告" 11 : 1966

      90 배진성, "柱狀片刃石斧의 變化와 劃期" 44 : 2001

      91 宮本一夫, "東アジア靑銅器の系譜, 新弥生時代のはじまり 第3券" 雄山閣 2008

      92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實驗室, "放射性碳素測定年代報告" 1979 (1979): 1979

      93 이형원, "忠淸西海岸地域의 粘土帶土器文化 流入과 文化接變" 호서고고학회 (34) : 4-29, 2016

      94 李在賢, "弁ㆍ辰韓社會의 考古學的 硏究" 釜山大學校 2003

      95 朴辰一, "圓形粘土帶土器文化硏究 –湖西 및 湖南地方을 中心으로-" 湖南考古學會 12 : 2000

      96 李淸圭, "南韓地方 無文土器文化의 展開와 孔烈土器文化의 位置" 1 : 1988

      97 이형원, "南韓地域 靑銅器時代 前期의 上限과 下限" 한국청동기학회 2007

      98 임설희, "南韓地域 粘土帶土器의 登場과 擴散過程" 호남고고학회 34 : 5-42, 2010

      99 이창희 ; 김헌석, "勒島甕棺의 實年代와 海洋리저버效果" 한국고고학회 (75) : 72-97, 2010

      100 이형원, "住居文化로 본 粘土帶土器文化의 流入과 文化變動 - 江原 嶺東 및 嶺西地域을 中心으로 -" 한국청동기학회 (16) : 92-120, 2015

      101 趙賓福, "以陶器爲視覺的雙房文化分期硏究" 1 : 2008

      102 李亨源, "中部地域 粘土帶土器文化의 時間性과 空間性" 호서고고학회 (24) : 58-93, 2011

      103 林 澐, "中國東北系銅劍初論" 2 : 1980

      104 秋山進午, "中國東北地方における初期金屬器文化期の樣相" 53 (53): 1968

      105 權五榮, "三韓의 「國」에 대한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106 藤尾慎一郞, "『東アジア靑銅器の系譜』, 新弥生時代のはじまり第3券" 雄山閣 2008

      107 朴辰一, "‘초기철기시대’폐기 제안" 국립청주박물관·한국청동기학회 2020

      108 이양수, "2003년 일본 야요이시대 연대 상향 조정과 청동기의 연대관 변화」" 한국고고학회 41 : 2017

      109 周向永, ""絡氏"考" 1994 (1994):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