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육공동체 구성요인 탐색 = Examination of the Elements of a School Community That are Recogniz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893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explores w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 a education community to be, and has the objective of exploring the necessary composition elements and concepts that make up a educational community.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da...

      This research explores w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 a education community to be, and has the objective of exploring the necessary composition elements and concepts that make up a educational community.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data was collected in two steps, and the first step was literature research, through which statements that examined the perception of education communities were developed based on experts, and the second step was factor analysis, which was conducted using statements developed towards 312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Seoul, Busan, Ulsan and the South Gyeongsang Province. Using IBM SPSS Statistics 21,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and throug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main elements making up a education community were deduced and the concepts were summarized. The results showed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ought that a education community included the 5 etc. factors of “democratic participation”, “cooperation”, “mutual understanding”, “a shared vision and goal” and “an emotional connec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n order to implement a school environment and infrastructure where members of the education community could feel happy, the detailed concepts of each of the composition elements were further examined, and discussions on the application of the concepts that could contribute to a positive direction in school sites were held, and a perspective that is helpful in selecting a conceptual model will be provid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특수교사들이 지각하는 교육공동체란 어떤 것인가에 대해 살펴보면서 교육공동체에 필요한 구성요인 및 그 개념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단계에 걸쳐 자료를 수...

      본 연구는 특수교사들이 지각하는 교육공동체란 어떤 것인가에 대해 살펴보면서 교육공동체에 필요한 구성요인 및 그 개념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단계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였는데, 문헌 조사를 통하여 교육공동체 인식에 대하여 살펴볼 수 있는 문항을 전문가들을 토대로 개발하고, 다음으로 서울, 부산, 울산, 경남지역의 특수교사 312명을 대상으로 개발한 문항에 대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주성분 분석을 통해 교육공동체를 구성하는 주요 요인을 추출한 후 개념을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사들은 교육공동체를 ‘민주적 참여’, ‘협력’, ‘상호이해’, ‘공유된 비전과 목표’, ‘정서적 유대감’ 등의 총 5개 요인이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공동체 구성원들이 행복감을 느낄 수 있는 학교 생태계 조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각 구성요인의 구체적인 개념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고 학교현장에서 긍정적인 방향으로 적용될 수 있기 위한 방향을 논의하였고, 개념모형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시각을 제공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세근, "학교장의 리더십과 교사문화와의 관계에서 교육목표 공유 및 실천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221-240, 2010

      2 최용성, "학교에서의 민주적, 자율적인 도덕공동체에 관한 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6) : 55-80, 2004

      3 정동영, "특수학급 교사의 역할 재음미"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6 (6): 67-102, 2013

      4 김기흥,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들이 바라본 일반학교에서의 통합교육과 특수학교 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발달장애학회 18 (18): 1-26, 2014

      5 김지영, "특수교사의 통합학급 지원이 일반학생의 장애학생과 특수교사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6 이유리, "통합교육 운영에 관한 교사와 학부모간의 인식 비교"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7 윤치연, "최신특수교육(Exceptional Children: An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시그마프레스 2006

      8 임만수, "초등학생의 공동체적 시민의식 조사 연구 : 서울특별시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8

      9 김태영,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들의 가족 및 전문가들과의 협력에 대한 인식과 실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1-26, 2012

      10 송경오, "초·중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의 측정모형 및 수준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179-201, 2010

      1 안세근, "학교장의 리더십과 교사문화와의 관계에서 교육목표 공유 및 실천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221-240, 2010

      2 최용성, "학교에서의 민주적, 자율적인 도덕공동체에 관한 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6) : 55-80, 2004

      3 정동영, "특수학급 교사의 역할 재음미"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6 (6): 67-102, 2013

      4 김기흥,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들이 바라본 일반학교에서의 통합교육과 특수학교 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발달장애학회 18 (18): 1-26, 2014

      5 김지영, "특수교사의 통합학급 지원이 일반학생의 장애학생과 특수교사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6 이유리, "통합교육 운영에 관한 교사와 학부모간의 인식 비교"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7 윤치연, "최신특수교육(Exceptional Children: An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시그마프레스 2006

      8 임만수, "초등학생의 공동체적 시민의식 조사 연구 : 서울특별시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8

      9 김태영,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들의 가족 및 전문가들과의 협력에 대한 인식과 실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1-26, 2012

      10 송경오, "초·중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의 측정모형 및 수준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179-201, 2010

      11 박중길, "체육교사의 자율성 지지, 공동체 의식, 협력학습 및 내적동기와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1 (21): 49-67, 2010

      12 장진희, "유아통합교육에 대한 교사ㆍ원장ㆍ장학사의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3 (13): 27-52, 2013

      13 이원영, "유아교사의 공동체 의식과 역할수행과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0 (10): 215-233, 2005

      14 고정리, "유아 공동체의식,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분석" 한국육아지원학회 9 (9): 97-125, 2014

      15 김성애, "우리나라 특수교사의 자질 및 교사양성 과제에 관한 논의"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95-121, 2008

      16 정은혜, "동료교사 간 교육활동 리더십에 관한 특수교사의 인식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49-68, 2014

      17 박재범, "교직생활에 드러난 특수학교 교직문화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369-401, 2009

      18 배한동, "교육공동체의 갈등 해소방안" 한국윤리교육학회 (12) : 73-92, 2007

      19 정수현, "교육공동체 개념에 근거한 학교평가의 방향 탐색" 한국교육행정학회 21 (21): 205-228, 2003

      20 강창모, "교사학습공동체 수준과 직무만족간의 관계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1 서경혜, "교사 학습에 대한 공동체적 접근" 교육과학연구소 44 (44): 161-191, 2013

      22 곽영순, "교사 학습공동체의 발달 단계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8 (18): 83-104, 2015

      23 박재범, "공립특수학교 교사들의 교직문화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중등 특수교사 중심으로" 국립특수교육원 18 (18): 1-22, 2011

      24 Lee, J. W., "The Relational Reason of Democratic Community" 49 (49): 133-154, 2000

      25 Glasser, W., "The Quality School" Harper Collins 1998

      26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The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Definition of a Well-Prepared Special Education Teacher"

      27 Lee, H. W., "Teachers' Perception of Educational Inclusion : A Focus Group Study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21 : 29-61, 2008

      28 Chung, D. Y., "Special Education Classroom Management" Hakjisa 2014

      29 McMillan, D. W.,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14 : 6-23, 1986

      30 Forest, M., "Putting all kids on the MAP" 50 (50): 26-31, 1992

      31 Sergiovanni, T. J., "Organizations or communities?" 30 (30): 214-226, 1994

      32 Lee, H. M., "Modes of Mutual Understanding Represented in Multicultural Stories for Children" 3 (3): 75-105, 2011

      33 Kukathas, C., "Liberalism, communitarianism, and political community" 13 (13): 80-104, 1996

      34 Kim, D. H., "Learning and Caring School Community" Hakjisa 94-97, 2007

      35 Chung, J. K., "Korean Sense of Community Scale" 5 (5): 19-30, 1999

      36 Uditsky, B., "Is Three a Desk with My Name on It? The Politics of Integration" Falmer Press 1993

      37 Kang, Y. S., "Inclusive education" Hakjisa 2005

      38 Stainback, S., "Inclusion: A guide for educators" Brookes 1996

      39 Kwon, I. J., "Exploring new education Sociology" Educational History of Science 1998

      40 Lee, H. Y., "Direction of the Character Education for Social Solidarity and Community Building" 3 (3): 113-134, 2001

      41 Bang, Y. J., "Community·Life·Worth - A society where we have to go" Ant 2011

      42 Shin, Y. H., "Community Theory" Literary and Jisungsa 1998

      43 Chung, I. H., "An Approach to Educational Community Building for Dissolving Conflict in Education Sector" 25 (25): 45-62, 2004

      44 Etzioni, A., "A moderate communitarian proposal" 24 (24): 155-156, 1996

      45 Woo, N. H., "21st Century Community for Education and Community Identity Formation of the Korea Society: Theory and Practice Ⅱ Study of Long-term Participant Observation" Korea Research Foundation 2001

      46 Lee, B. W., "(A) Complex system's approach on the integrative function of communitarianism" Seoul University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3-0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2-03-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Council For Physical And Multiful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4-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외국어명 : The Educationlal Journal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7 1.413 0.6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