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남해안지역 연해읍성의 평면형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lat formation the Coastal Town Castle in the South Coas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666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해읍성에서 확인되는 평면형태는 조선시대 이전시기의 치소성에 해당하는 마산 회원현성, 부산 당감동성, 울주 화산리성, 동래고읍성 등의 성곽들에서 계승 발전되고 있는 것이라고 할 ...

      연해읍성에서 확인되는 평면형태는 조선시대 이전시기의 치소성에 해당하는 마산 회원현성, 부산 당감동성, 울주 화산리성, 동래고읍성 등의 성곽들에서 계승 발전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연해읍성의 평면형태는 크게 방형, 원형, 주형, 제형의 4형식으로 나누어진다. 입지유형에 있어서 방형의 경우는 모두 평지성으로 축조되어 있으며, 제형과 원형의 경우에는 평산성으로 축조되어 있고, 주형의 경우에도 역시 대부분 평산성으로 축조되어 있다. 또한 남해안 연해읍성의 경우 제형의 평면형태로 축조된 읍성의 수는 극소수에 불과하며, 성둘레 역시 내륙읍성 및 여타지역의 읍성에 비해 작다. 오히려 주형이 다수를 차지하며 축조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유는 내륙지역 읍성과 여타지방의 읍성의 경우에는 전시대의 토성 내지 석성을 재수축하여 사용하는 토성→석축화 작업이 진행되면서 기존의 체성부를 확대 및 개축한 것인데 반해 연해읍성의 경우에는 조선의 개국 이후 축조되는 신축읍성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에 기인하는 것이다. 이때 신축읍성의 경우에는 입지를 고려한 지형조건에 더하여 유교적 신분질서의 확립과 중앙의 지방에 대한 통치권의 확립 및 군사방어체계의 개편에 따른 행정단위의 위계질서에 맞는 읍성 체성부 평면형태를 적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풍수지리사상에 의한 읍성의 취약한 풍수의 기운을 보호하기 위해 새로운 형식의 읍성 평면형태를 적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남해안 연해읍성의 경우는 제형이 가장 빠른 평면형태로 확인되고 아울러 주형 역시 동시기에 축조되고 있으며 조선 전기 후반으로 갈수록 제형과 주형이 혼용되어 축조되고 있다고 하겠다. 또한 남해안 연해읍성은 상위행정단위에 속하는 읍성의 평면형태가 주형으로 축조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조선시대 전기에 연해읍성 축조에는 주형이 유행하던 패턴이라고 할 수 있다. 연해읍성 평면형태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또 하나는 해당성곽에 입보하여 농성하거나 수용할 수 있는 인력에 따라 성곽의 평면형태가 달라질 수도 있는 것이다. 특히 연해읍성 가운데 30,000명 이상의 호구수를 가진 군현에 축조된 읍성 평면형태는 주형이 과반수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연해읍성은 평면형태의 비교에도 알 수 있는 것처럼 동일한 시기의 여타의 다른 지역에 비해서도 단일한 축성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남해안 연해지역이 대왜구 최일선 전략적 거점으로서 그 군사적인 기능으로 인해 국가로부터 엄격한 축성관리를 받으며 일관되게 축성사업이 진행되었던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아울러 지형조건에 따라 읍성 평면형태가 결정되었다기 보다는 규식에 맞는 지형을 심정하여 정해진 읍성형태 가운데서 선택하여 읍성을 축조케한 제식적인 규식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lat formation found in the coastal town walls were succeeded and developed afterward and we can see them in Masan hoewonhyeon castle, which was governing castle before Joseon Dynasty period, Busan Danggamdong castle, Ulju whasanri castle, and Don...

      The flat formation found in the coastal town walls were succeeded and developed afterward and we can see them in Masan hoewonhyeon castle, which was governing castle before Joseon Dynasty period, Busan Danggamdong castle, Ulju whasanri castle, and Dongrae goeup castle. The flat formation in coastal town walls are divided into four types largely as square, round, ark, and trapezoid shape. As for location, the square shape was built on flat castle, the trapezoid and the round shapes were built on flat with mountain castle, and most of ark shape also was built on flat with mountain castle. In the case of coastal town walls in south coast, the town walls built with flat formation of trapezoid are few and the girth of the walls also smaller than that of land town and the others. Rather most of them had the ark shape. In the case of the land town walls and others, they were added or reconstructed to the precedent castle walls on the way of change working from soil walls to stone ones. However in the case of coastal town walls, most of them were built newly after opening Joseon Dynasty and then they were considered with the idea of establishing Confucian social status system and sovereign power of central government over local province and rank order of administrative unit accordant to reorganizing military defense system as well as their topographic condition. And also the reason that they had the new type of flat formation was to cover their weak energy said by the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In the case of south coastal town walls, the trapezoid shape was the earliest flat formation and also the ark shape was made in the same period but their formation became changed by combining both shapes as it went to the age of latter part of earlier Joseon Dynasty. And also in the case of the high governmental status' unit in South coastal town, their walls' flat formation had the ark shape. Therefore the ark shape can be said the popular pattern in coastal town walls in the earlier Joseon Dynasty. Another thing to be considered in the flat formation of coastal town walls is that it c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man who could enter together and its capacity to accommodation. Especially among the coastal town walls, the flat formation built in Gun and Hyeon with over 30,000 houses had the ark shape in majority. Therefore as shown in the comparing flat formations, the coastal town walls had a single construction pattern comparing to the others in the same period and it seemed from its topographic condition. The area was the strategic base in forefront place against Japan so owing to its military function, the walls construction was proceeded with consistency and stern control by the nation. And there was a ritual rule to construct town castle walls by selecting land shapes suitable to the rule among arranged ones rather than determining the flat formation according to the topographic condi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沈奉謹, "靈山邑城址地表調査報告書" 東亞大學校博物館 1998

      2 順天大學校博物館, "靈光 法聖鎭城" 20 : 2001

      3 沈奉謹, "梁山 專池里土城" 東亞大學校搏物館 1983

      4 公州大學校博物館, "藍浦邑城" 2003

      5 (財)湖南文化財硏究院, "羅州邑城Ⅱ" 28 : 2004

      6 釜山廣域市立博物館, "金海 東上洞 소방도로 개설 구간내 金海邑城址試掘調査" 7 : 1999

      7 李日甲, "합천 대야성의 고고학적 검토" 한국성곽학회 9 : 2006

      8 차용걸, "한국의 성곽" 눈빛 2003

      9 金在瑾, "한국의 배" 서울대학교출판부 1994

      10 김철수, "한국 성곽 도시의 형성?발달과정과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1984

      1 沈奉謹, "靈山邑城址地表調査報告書" 東亞大學校博物館 1998

      2 順天大學校博物館, "靈光 法聖鎭城" 20 : 2001

      3 沈奉謹, "梁山 專池里土城" 東亞大學校搏物館 1983

      4 公州大學校博物館, "藍浦邑城" 2003

      5 (財)湖南文化財硏究院, "羅州邑城Ⅱ" 28 : 2004

      6 釜山廣域市立博物館, "金海 東上洞 소방도로 개설 구간내 金海邑城址試掘調査" 7 : 1999

      7 李日甲, "합천 대야성의 고고학적 검토" 한국성곽학회 9 : 2006

      8 차용걸, "한국의 성곽" 눈빛 2003

      9 金在瑾, "한국의 배" 서울대학교출판부 1994

      10 김철수, "한국 성곽 도시의 형성?발달과정과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1984

      11 李日甲, "하동읍성에 대하여" 한국성곽학회 2 : 2003

      12 沈正輔, "풍납토성(風納土城)과 중국 고대도성과의 비교연구?, 중국고대도성조사보고서"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13 오승연, "칠원읍성" 한국성곽학회 8 : 2005

      14 丁仲煥, "창원군내 성지조사보고" 1 : 1976

      15 진도군, "진도 금갑진성 지표조사 보고서" 2003

      16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증보문헌비고 여지고1,2,3" 1978

      17 장재훈, "조선시대 제주도 방어시설의 학습지도방안-초등학교의 향토사 교육과 관련하여" 제주대학교 2004

      18 박의준, "우리나라 남부지역 읍성지의 지형경관 분석-광주 읍성지를 사례로-" 36 : 2002

      19 경기문화재단, "수정국역 화성성역의궤, 기전문화예술총서 10" 2001

      20 장명수, "성곽발달과 도시계획 연구-전주부성을 중심으로-" 학연문화사 1994

      21 한스 페터 폰페쉬케, "성곽" 도서출판 정담 2004

      22 박광춘, "새롭게 보는 가야고고학" 학연문화사 2006

      23 유재원, "삼국사기 축성기사의 분석" 12 : 1984

      24 이 전, "사천만 연안에 축성된 성(城)의 유형과 기능에 관한 역사 지리적 연구" 6 : 2000

      25 金東旭, "빛깔있는 책들102-5" 대원사 1989

      26 부여문화재연구소, "부소산성 발굴조사중간보고" 1995

      27 김성진, "부산 동래읍성" 한국성곽학회 7 : 2005

      28 沈正輔, "백제 산성의 이해" 주류성 2004

      29 Charles L. Redman, "문명의 발생-근동 지방의 초기 농경민에서 도시 사회까지" 1995

      30 韓國文物硏究院, "다대1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부지에 대한 문화재지표조사 결과보고서" 2006

      31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 "남한산성" 1 : 1998

      32 김기웅, "고구려 산성의 특성에 관한연구" 1984

      33 최원석, "경상도 邑治 경관의 역사지리학적 복원에 관한 연구: 南海邑을 사례로" 16 : 2004

      34 심종훈, "거제 폐왕성 축성소고" 한국성곽학회 8 : 2005

      35 김경추, "강릉읍성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7 : 2004

      36 江原文化財硏究所, "강릉 성내동 11-1번지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39 : 2006

      37 車勇杰, "高麗末?朝鮮前期 對外關防史 硏究" 忠南大學校大學院 博士學位論文 1988

      38 崔夢龍, "高興鉢浦鎭城 發掘調査報告書" 29 : 1984

      39 湖南文化財硏究院, "高敞 茂長邑城Ⅰ" 2006

      40 공석구, "高句麗城郭의 類型에 대한 硏究" 26 : 1998

      41 余昊奎, "高句麗城Ⅱ遼河流域篇, 韓國古代城郭2" 國防軍史硏究所 1999

      42 馬山市, "馬山慈山城址(會原城)地表調奎報告書" 1988

      43 沈奉謹, "馬山合浦城址基礎調査報告" 東亞大學校博物館 1993

      44 沈奉謹, "馬山合浦城址" 10-11 : 1993

      45 慶南發展硏究院 歷史文化센터, "馬山 合浦城址" 2006

      46 順天大學校博物館, "順天 劍丹山城과 倭城" 1997

      47 忠北大學校 中原文化硏究所, "韓國의 近世山城" 34 : 2002

      48 반영환, "韓國의 城郭" 世宗大王記念事業會 1978

      49 沈奉謹, "韓國文物의 고고학적 이해" 동아대학교 출판부 2005

      50 孫永植, "韓國城郭의 硏究" 文化公報部文化財管理局 1987

      51 白種伍, "韓國城郭硏究論著總攬" 2004

      52 沈奉謹, "韓國南海沿岸城址의 考古學的 硏究" 學硏文化社 1995

      53 李宗峯, "韓國中世度量衡制硏究, 민족문화학술총서23" 도서출판 혜안 2001

      54 沈正輔, "韓國 邑城의 硏究-忠南地方을 中心으로-" 學硏文化社 1995

      55 李宇泰, "韓國 古代의 尺度" 태동고전연구 1 1985

      56 유재춘, "韓國 中世築城史 硏究" 景仁文化社 2003

      57 木浦大博物館, "長興郡의 文化遺蹟" 1989

      58 慶州文化財硏究所, "長?邑城 地表調査報告書" 1991

      59 沈奉謹, "鎭海 龜山城址, 韓國南海沿岸城址의 考古學的 硏究" 학연문화사 1995

      60 釜山大學校博物館, "釜山市文化財地表調査報告書" 1977

      61 羅東旭, "釜山地域의 城址에 關한 檢討" 2 : 1998

      62 慶南文化財硏究院, "釜山地下鐵 3號線(壽安停車場) 建設敷地內 文化遺蹟 發掘調査 2次 現場說明會 資料" 2006

      63 羅東旭, "金丹串堡城址發掘調査槪報" 6 : 1997

      64 柳在春, "近世 韓日城郭의 比較硏究" 국학자료원 1999

      65 大邱大學校博物館, "蔚珍郡 城址遺蹟 地表調査報告書" 學術調査報告 第十四冊 1998

      66 沈奉謹, "蔚州華山里城址" 東亞大博物館 1990

      67 (財)蔚山文化財硏究院, "蔚山兵營城鎭海樓" 2004

      68 (財)蔚山文化財硏究院, "蔚山兵營城" 2005

      69 沈奉謹, "蔚山倭城 ?兵營城址" 東亞大博物館 1986

      70 兪炳一?裵恩景, "蔚山 開雲浦城址" 3 : 2004

      71 조형래, "英祖初年 全州와 大邱邑城 築造工事 硏究" 2005

      72 國立扶餘博物館, "舒川長岩鎭城, 國立扶餘博物館古蹟調査報告" 1997

      73 沈奉謹, "舊所乙非浦城址地表調査報告書" 固城郡?東亞大學校博物館 1999

      74 國史編纂委員會影印, "與地圖書" 1973

      75 慶南文化財硏究院, "統營城址 西鋪樓 發掘調査 結果報告" 2004

      76 松本諒士, "築城" 理工學社 1996

      77 尹武炳, "百濟山城의 新類型" 8 : 1977

      78 車勇杰, "百濟 城郭의 比較 硏究試論" 百濟文化開發硏究院 5 : 1996

      79 李海濬, "珍島邑城?鐵馬山城 地表調査報書" 木浦大學校 博物館 1992

      80 慶南發展硏究院 歷史文化센터, "熊川邑城" 1 : 2001

      81 咸安郡, "漆原邑城" 45 : 2006

      82 淸道郡, "淸道邑城精密地表調査報告書" 2005

      83 慶南發展硏究院 歷史文化센터, "河東邑城Ⅱ" 39 : 2006

      84 慶南發展硏究院 歷史文化센터, "河東邑城Ⅰ" 15 : 2004

      85 沈正輔, "沔川邑城" 大田産業大學校 鄕土文化硏究所?唐津郡 1999

      86 忠北大學校 中原文化硏究所, "永同邑城 地表調査報告書" 1 : 1997

      87 永同郡, "永同 黃澗邑城 地表調査報告書" 28 : 2006

      88 華城郡, "水原 古邑城" 12 : 2000

      89 釜山大學校博物館, "機張郡 文化遺蹟 地表調査 報告書" 1998

      90 丁仲煥, "東萊邑城西將台?望月山頂建物址發掘調査報告書" 東亞大博物館 1979

      91 釜山廣域市 東萊區, "東萊邑城址 復元綜合計劃" 2006

      92 福泉博物館, "東萊邑城址" 13 : 2001

      93 김기민, "東萊 古邑城" 한국성곽학회 4 : 2004

      94 亞細亞文化社影印, "東國輿地勝覽" 1983

      95 羅東旭, "東亞文化 創刊號" (財)東亞文化硏究院 2005

      96 이건하, "朝鮮時代의 日本城" 국학자료원 2003

      97 車文燮, "朝鮮時代軍制硏究" 檀國大出版部 1973

      98 金明徹, "朝鮮時代 濟州道 關防施設의 硏究"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碩士學位論文 2000

      99 李在赫, "朝鮮時代 忠淸海岸地域의 城郭硏究" 慶熙大學校 碩士學位論文 1986

      100 林承佑, "朝鮮時代 安東邑城 硏究" 安東大學校碩士學位論文 1999

      101 盧永九, "朝鮮後期城制變化와 華城의 城郭史的意味" 88 : 1999

      102 李相敦, "朝鮮中期 邑城에 關한 硏究, -與地圖書의 分析을 中心으로-" 1984

      103 車勇杰, "朝鮮 前期 關防施設의 整備過程" 韓國史論7 國史編纂委員會 7 : 1985

      104 沈奉謹, "朝解前期 築造 兵營城에 대하여" 15 : 1989

      105 國立晉州博物館, "晉州城 矗石樓 外廓 試掘調査報告書" 2002

      106 慶尙北道文化財硏究院, "星州邑城地表調査報告書" 17 : 2002

      107 昌原市, "昌原邑城址精密地表調査報告書 및 邑城復原에 關한 硏究" 2005

      108 朴方龍, "新羅 都城 硏究" 東亞大學校博士學位請求論文 1997

      109 木浦大博物館, "新安郡의 文化遺蹟" 1987

      110 公州大學校博物館, "所斤鎭城" 1996

      111 慶州市, "慶州 鵲城 地表調査報告書" 28 : 2003

      112 釜山廣域市 水營區, "慶尙左水營城址 整備基本計劃" 1999

      113 釜山大學校 韓國文化硏究所, "慶尙左水營城址 地表調査報告書" 1990

      114 釜山廣域市立博物館, "慶尙左水營城址" 2001

      115 양보경, "慶尙北道 永川邑城의 空間構造와 그 變化" 144 :

      116 나동욱, "慶南地域의 土城 硏究" 釜山廣域市立博物館 5 : 1996

      117 百濟文化開發硏究院, "忠南地域의 文化遺題 1" 1986

      118 東亞大學校博物館, "彦陽邑城 綜合整備復元을 위한 學術調査報告書" 2003

      119 강진군, "康津邑城" 116 : 2004

      120 木浦大學校博物館, "康津 兵營城 發掘調査報告書" 1991

      121 慶南發展硏究院歷史文化센터, "巨濟玉浦鎭城" 36 : 2005

      122 東亞大學校 博物館, "巨濟市文化遺蹟精密地表調報告書" 1995

      123 東亞大學校 博物館, "巨濟市 城址 調査報告書" 1995

      124 東亞細亞文化財硏究院, "巨濟 廢王城 文化遺蹟 試掘調査 報告書" 2006

      125 李日甲, "巨濟 古縣邑城에 대한 硏究" 東亞大學校石堂學術院 39 : 2006

      126 沈奉謹, "巨濟 古縣城址" 東亞大學校博物館 1991

      127 밀양대학교박물관, "密陽邑城" 2002

      128 아라가야향토사연구회, "安羅國古城, 유적답사자료 총서1집" 1996

      129 夢村土城發掘調査團, "夢村土城發掘調査報告書" 1985

      130 東國文化社影印, "增補文獻備考" 1971

      131 慶南發展硏究院 歷史文化센터, "固城邑城址 地表調査報告書" 3 : 2001

      132 심봉근, "固城邑城址" 亞大學校博物館 2006

      133 統營市, "唐浦城 地表調査 報告書" 1997

      134 慶南發展硏究院 歷史文化센터, "古縣邑城" 42 : 2006

      135 李日甲, "南海岸地域 朝鮮時代 鎭에?堡에 關한 硏究" 東亞大學校大學院碩士學位論文 2000

      136 木浦大博物館, "務安那의 文化遺蹟" 1986

      137 徐敏, "全羅左水營城에 대한 復元的 考察, 全羅左水營城의 歷史와 文化" 順川大學校博物館 1993

      138 文化財管理局, "全國 邑城調査" 1985

      139 玄南周, "京畿 中西部地域 中世城郭 硏究" 亞洲大學校大學院碩士學位論文 2003

      140 世宗大王記念事業會, "世宗實錄地理志" 1973

      141 孫永植, "三國時代의 城과 古代城의 比較" 文化財管理局 1983

      142 민덕식, "三國時代 이전의 城郭에 관한 試考" 16 : 1994

      143 李元根, "三國時代 城郭硏究" 檀國大學校 博士學位 請求論文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 동아시아문물연구소
      영문명 : The Research Foundation of Cultural Relics in East Asia -> The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Relics in East Asia
      KCI등재후보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4 0.24 0.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5 0.22 0.56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