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현대 한국어와 중국어의 의성어, 의태어의 의미론적인 특징과 형태론적인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양 언어의 의성어와 의태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a...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173392
용인 : 경희대학교, 2010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대학원 , 국제한국언어문화학과 , 2010. 8
2010
한국어
811 판사항(20)
경기도
99 p. : 삽도 ; 26 cm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김정남
참고문헌 : p.63-6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대 한국어와 중국어의 의성어, 의태어의 의미론적인 특징과 형태론적인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양 언어의 의성어와 의태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a...
본 연구는 현대 한국어와 중국어의 의성어, 의태어의 의미론적인 특징과 형태론적인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양 언어의 의성어와 의태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중 의성어와 의태어의 서로 다른 양상을 보여주고 한국어와 중국어에 대해 더 잘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의성어와 의태어는 의미론적인 특징에 따라 사람에 관련된 의성어와 의태어, 사물에 관련된 의성어와 의태어, 자연현상에 관련된 의성어와 의태어, 동물에 관련된 의성어와 의태어 등으로 구분된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의미 범주에 따라 대응 목록을 작성해 보았으며 가능하면 많은 목록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특히 한국어의 의성어와 의태어는 양성모음과 음성모음 짝이 어감의 차이를 가지고 공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그 목록을 작성할 때도 양성 의성어, 의태어와 음성 의성어, 의태어를 구별하여 함께 제시하였다. 이와 달리 중국어는 음성 형태 자체의 특성도 있으나 뜻을 나타내는 표의문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한국어와 같은 어감 차이를 동반하는 진정한 의미의 음성 상징은 없다. 다만 남녀 차이로 인하여 의미적으로 미세한 어감 차이를 나타낼 수 있고 양성 의성어, 의태어와 음성 의성어, 의태어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중국어의 의성어와 의태어는 같은 명사, 동사나 형용사 뒤에 다른 첩어를 붙이거나 다른 명사, 동사나 형용사 뒤에 같은 첩어를 붙여서 미세한 어감 차이를 나타내는 특징이 있다. (예: 红通通,红扑扑;肥嘟嘟,胖嘟嘟)이 밖에 얼화음(兒化音)과 성조를 통해 어감의 차이를 나타내기도 한다.
본고에서 의성어와 의태어는 형태론적으로 음절수에 따라 나누었다. 1음절에서 한국어와 중국어 의성어, 의태어는 모두 AA형으로 형성되는 공통점이 있고 3회, 4회를 반복하여 AAA형, AAAA형도 형성될 수 있다. 2음절에서 한·중 의성어와 의태어는 모두 AA형과 AB형이 있다. 2음절부터 한국어의 의성어와 의태어는 접사‘-거리다, -대다, -하다’등과 결합할 수 있는 특징이 있고 중국어는 이런 특징이 없다. 3음절에서 한·중 의성어와 의태어는 모두 수가 많지 않고 AAB형과 ABB형이 있다. 4음절에서 한국어 의성어와 의태어는 AB형으로 형성되는 ABAB형이 있다. 중국어는 이와 달리 AB형으로 형성되는 ABAB형뿐 아니라 AABB형도 있다. 그리고 한국어와 중국어는 ABCC형과 ABCD형도 모두 존재하고 수가 많지 않다. 한·중 의성어와 의태어의 의미, 형태적인 특징에 대한 대조 작업을 통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과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와 중국어를 배울 때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앞으로도 한·중 의성어와 의태어에 관한 교육방안을 작성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本論文的研究目的是通過對現代韓國語和中國語意思和形態特徵的觀察與分析,對兩國的擬聲詞和擬態詞進行對照,找出其共同點和不同點。因爲韓國語和中國語的擬聲詞和擬...
本論文的研究目的是通過對現代韓國語和中國語意思和形態特徵的觀察與分析,對兩國的擬聲詞和擬態詞進行對照,找出其共同點和不同點。因爲韓國語和中國語的擬聲詞和擬態詞分別具有不同的特點,所以希望本研究能夠使人們對韓國語和中國語進行更深一步的了解。
擬聲詞和擬態詞按照意思分類的話,可以分爲於人有關的擬聲詞和擬態詞,於事物有關的擬聲詞和擬態詞,於自然現象有關的擬聲詞和擬態詞,於動物有關的擬聲詞和擬態詞。本文按照這樣的意思分類,盡最大可能努力查找出相互對應的韓國語和中國語的擬聲詞和擬態詞並且以表格形式羅列出來。特別是韓國語中,擬聲詞和擬態詞的陰性母音和陽性母音的語言色彩不同,而且大部分情況下陰性母音和陽性母音又是同時存在的,所以在製表格的過程中把陰性擬聲詞和擬態詞,陽性擬聲詞和擬態詞進行了區分。而中國語則與韓國語不同,中國語在發音方面有其獨特的一面,但是由於中國語是表意文字所以並不像韓國語一樣具有語感差異的音聲象徵特點。但是,中國語擬聲詞和擬態詞通過男女性別在伊斯也能夠產生語感上的差異,可以分爲陽性擬聲詞和擬態詞, 陰性擬聲詞和擬態詞。另外,中國語擬聲詞擬態詞具有名詞,動詞或是形容詞後面與不同的曡語結合的特點;或是不同的名詞,動詞和形容詞語相同的曡語結合。通過這種不同的結合,能夠帶來語感上的差異。例如,紅通通,紅撲撲;肥嘟嘟,胖嘟嘟等。除此之外,中國語的擬聲詞和擬態詞的語感上的差異還可以通過兒化現象和聲調來表現。
本文在形態方面把擬聲詞和擬態詞按照音節數進行了分類。在1音節中,韓國語和中國語的擬聲詞和擬態詞的共同點是都具有‘AA’形. 2音節中,韓國語和中國語的擬聲詞和擬態詞都具有‘AA’和‘AB’兩种形態。從2音節開始,韓國語的擬聲詞和擬態詞具有與 ‘-거리다, -대다, -하다’ 等綴詞結合的特點,而中國語沒有此特點。在3音節中,韓國語和中國語的擬聲詞和擬態詞都不是很多,有‘AAB’和‘ABB’兩种形態。4音節中,韓國語和中國語的擬聲詞和擬態詞都具有由‘AB’形成的特點,但是不同的是韓國語的擬聲詞和擬態詞形成了‘ABAB’形,而中國語可以構成‘AABB’形和‘ABAB’形。除此之外,在4音節中韓國語和中國語都存在‘ABCC’形和‘ABCD’形,但是它們的數量並不是很多。
通過對韓中擬聲詞和擬態詞的對照研究,希望能夠對學習韓國語的中國人和學習中國語的韓國人在學習過程當中帶來很大的幫助。並且希望對以後制訂韓國語和中國語的擬聲詞和擬態詞有關的教育方案也帶來幫助。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