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절합된 (비-)경제적 관행의 공간과 사회적 재생산: 북한 시장화에 대한 경제지리학적 접근 = Spaces of Articulated (Non-)Economic Practices and Social Reproduction: Economic Geographical Perspective to the Marketization in Nor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948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aper aims to identify how North Korean various economic agents respond to the economic crisis in North Korea, and how these multiple practices are entangled with its spatiality by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targeted a...

      The paper aims to identify how North Korean various economic agents respond to the economic crisis in North Korea, and how these multiple practices are entangled with its spatiality by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targeted at North Korean refugees. The paper argues that it needs to examine the marketization in North Korea in terms of the domesticating recently debated in economic geography. In this perspective, the marketization in North Korea could be explained not as a grand project ‘out there’ with hegemonic power, but as various economic agents within their space are constantly (re)constructed through everyday life practices. Economic agents’ responses to economic crisis, economic rupture, and economic marginalization could be identified in terms of articulation between economic and non-economic factors. More specifically, the paper emphasizes everyday life responses are over-determined by their economic and non-economic factors and its effectiveness is differentiated by their power rel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북한 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심층 면담 결과를 활용하여 북한 내 여러 경제주체들이 경제위기에 어떻게 대응해왔고 이를 통해 나타나는 다양한 경제관행들이 공간성...

      본 논문은 북한 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심층 면담 결과를 활용하여 북한 내 여러 경제주체들이 경제위기에 어떻게 대응해왔고 이를 통해 나타나는 다양한 경제관행들이 공간성과 어떻게 얽혀 있는지를 규명하는데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북한의 시장화를 경제지리학에서 최근 논의되고 있는 ‘길들이기’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북한의 시장화를 이해할 때 우리는 시장화를 헤게모니 권력을 갖는 거대프로젝트로서 ‘저편에 놓여 있는’ 무엇이 아니라 공간 내 다양한 경제주체들이 일상생활의 관행을 통해 끊임없이 (재)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경제적 위기와 파열, 경제적 주변화에 대한 경제주체의 대응전략은 경제와 비경제가 절합되어 있는 관점에서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일상생활의 다양한 대응전략이 경제적, 비경제적 요인들에 의해 중층결정되어 있으며 관행의 효과성은 권력관계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강조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학술지인용색인 사이트 ‘분석정보서비스’ 활용"

      2 이민부, "통일지리학의 연구동향과 과제" 대한지리학회 51 (51): 873-892, 2016

      3 정현주, "통일의 궁극적 지향점, ‘내적 통합’을 준비하는 지리학의 과제" 39-40, 2018

      4 "통일부 북한이탈주민 정책 자료"

      5 "통계청 북한통계"

      6 이영훈, "탈북자를 통한 북한경제 변화상황 조사"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2007

      7 박영자, "융합연구 시각에서 본 북한 시장화의 행위자와 상호작용" 47-57, 2011

      8 디페시 차크라바르티, "유럽을 지방화하기: 포스트식민 사상과 역사적 차이" 그린비 2014

      9 정은이, "북한의 자생적 시장발전 연구* - 1990년대 ‘고난의 행군’ 이후를 중심으로 -" 평화문제연구소 21 (21): 157-200, 2009

      10 양문수, "북한의 시장화: 추세와 구조 변화" 45-70, 2013

      1 "한국학술지인용색인 사이트 ‘분석정보서비스’ 활용"

      2 이민부, "통일지리학의 연구동향과 과제" 대한지리학회 51 (51): 873-892, 2016

      3 정현주, "통일의 궁극적 지향점, ‘내적 통합’을 준비하는 지리학의 과제" 39-40, 2018

      4 "통일부 북한이탈주민 정책 자료"

      5 "통계청 북한통계"

      6 이영훈, "탈북자를 통한 북한경제 변화상황 조사"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2007

      7 박영자, "융합연구 시각에서 본 북한 시장화의 행위자와 상호작용" 47-57, 2011

      8 디페시 차크라바르티, "유럽을 지방화하기: 포스트식민 사상과 역사적 차이" 그린비 2014

      9 정은이, "북한의 자생적 시장발전 연구* - 1990년대 ‘고난의 행군’ 이후를 중심으로 -" 평화문제연구소 21 (21): 157-200, 2009

      10 양문수, "북한의 시장화: 추세와 구조 변화" 45-70, 2013

      11 홍민, "북한의 권력과 일상생활: 지배와저항 사이에서" 한울아카데미 2013

      12 곽인옥, "북한시장을 말하다: 회령시장의 공간적 구조와 기능" 하늘로 2017

      13 양문수, "북한경제의 시장화: 양태·성격·메커니즘·함의" 한울아카데미 2010

      14 임강택, "북한경제의 비공식(시장)부문 실태 분석:기업활동을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2013

      15 박제훈, "북한경제의 개혁과 체제전환: 이행경제학적 접근" 한국비교경제학회 16 (16): 1-45, 2009

      16 박순성, "북한 일상생활 연구: 외침과 속삭임" 한울아카데미 2010

      17 홍민, "북한 일상생활 연구: 외침과 속삭임" 한울아카데미 2010

      18 김병연, "북한 경제에서의 시장과 정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19 이승철, "북중 접경지역 단둥의 대북 생산 네트워크의 예외적 성격" 한국경제지리학회 20 (20): 329-352, 2017

      20 스튜어트 홀, "문화, 이데올로기, 정체성, 스튜어트 홀 선집" 컬처룩 2015

      21 안영진, "독일통일 후 구 동독지역의 변화에 비추어 본 통일 대비 지리학적 연구 방향" 33-34, 2018

      22 이진경, "노마디즘 1: 천의 고원을 넘나드는 유쾌한철학적 유목" 휴머니스트 2013

      23 임을출, "김정은 시대의 북한 경제: 사금융과 돈주" 한울아카데미 2016

      24 이승욱, "김정은 시대 북한의 경제특구전략: 영역화, 분권화, 그리고 중국식 개혁개방?" 한국경제지리학회 19 (19): 122-142, 2016

      25 깁슨-그래엄, "그따위 자본주의는 벌써 끝났다: 여성주의 정치경제 비판" 알트 2013

      26 곽인옥, "경제제도 측면에서 북한의 빈곤화와 시장화에 대한 분석" 국제지역학회 21 (21): 71-96, 2017

      27 Kim, B.-Y., "Unveiling the North Korean Economy: Collapse and Trans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28 Pickles, J., "The Spirit of Post-Socialism: Common Spaces and the Production of Diversity" 17 (17): 127-140, 2010

      29 Lee, R., "The Ordinary Economy: Tangled up in Values and Geography" 31 : 413-432, 2006

      30 Sheppard, E., "The Capitalist Space Economy: Geographical Analysis After Ricardo, Marx, and Sraffa" Unwin Hyman Ltd 1990

      31 Schatzki, T. R., "Social Practices: A Wittgensteinian Approach to Human Activity and the Soci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32 Painter, J., "Local Governance and Concrete Research: Investigating the Uneven Development of Regulation" 24 (24): 334-356, 1995

      33 Jones, A., "Geographies of Production 1: Relationality Revisited and the Practice Shift in Economic Geography" 38 (38): 605-615, 2014

      34 Massey, D., "For Space" Sage Publications 2005

      35 Sophie Yarker, "Everyday economic geographies" Wiley 11 (11): e12324-, 2017

      36 Creed, G., "Domesticating Revolution: From Socialist Reform to Ambivalent Transition in a Bulgarian Village" Penn State University Press 1998

      37 Smith, A., "Domesticating Neoliberalism:Everyday Lives and the Geographies of Post-socialist Transformations" 38 : 1163-1178, 2007

      38 Stenning, A., "Domesticating Neo-liberalism: Spaces of Economic Practice and Social Reproduction in Postsocialist Cities" Wiley-Blackwell 2010

      39 Smith, A., "Culture/Economy and Spaces of Economic Practice: Positioning Households in Post-Communism" 27 : 232-250, 2002

      40 Round, J., "Coping with the Social Costs of Transition: Everyday Life in Post-Soviet Russia and Ukraine" 17 (17): 183-196, 2010

      41 Smith, A., "Beyond Household Economies: Articulations and Spaces of Economic Practice in Postsocialism" 30 (30): 190-213, 2006

      42 김병연, "7·1 경제관리개선조치 이후 북한경제와 사회: 계획에서 시장으로?" 한울아카데미 2009

      43 윤영관, "7·1 경제관리개선조치 이후 북한경제와 사회: 계획에서 시장으로?" 한울아카데미 2009

      44 이석기, "7·1 경제관리개선조치 이후 북한경제와 사회: 계획에서 시장으로?" 한울아카데미 2009

      45 양문수, "2015년 북한 시장화 동향과 향후 전망" 13-34,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8 1.28 1.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09 1.319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