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간식 개발을 위한 뇌성마비 아동의 식품섭취 실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651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의 성장발달에 기여할 간식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만 1∼7세의 뇌성마비아동과 어머니 각각 99명을 대상으로 뇌성마비 아동의 신체발육과 식습관, ...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의 성장발달에 기여할 간식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만 1∼7세의 뇌성마비아동과 어머니 각각 99명을 대상으로 뇌성마비 아동의 신체발육과 식습관, 영양섭취상태, 간식섭취실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WLI(Weight-Length Index)를 기준으로 비만도를 판정한 결과 저체중아비율은 45.5%, 정상아는 45.5%, 과체중아는 6.0%, 비만아는 3.0%로 나타났다. Waterlow 분류법을 이용하여 영양불량상태의 정도를 분류해 본 결과 정상인 아동이 76.6%, 쇠약인 아동이 10.3%, 성장부진인 아동이 8.0%, 성장부진과 쇠약인 아동이 5.0%로 나타났다. 아동들의 영양섭취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아동들이 식사 섭취한 내용을 한국인 일일 영양권장량과 비교분석한 결과 아연과 엽산의 섭취량 비율(%RI)은 모든 연령대에서 권장섭취량에 미달하였다. 권장섭취량의 75% 이하를 섭취하는 아동의 비율은 엽산(76.8%)과 아연(76.8%), 열량(59.8%), 칼슘(52.4%), 철(52.4%)의 경우 50% 이상이었고, 권장섭취량의 125% 이상을 섭취하는 아동들의 비율이 단백질은 85.4%, 비타민 B?은 53.7%로 나타났다. 어머니들이 주로 구입하는 시판간식은 우유 및 유제품(43.5%)과 과일류(33.3%)가 많았고 시판 간식에 대해서는 첨가물(보존료, 색소)을 가장 문제점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아동들을 위해서 성장발달에 도움이 되는 간식(50.5%)이 새로 개발되기를 가장 바라고 있어서 이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으며, 새로 개발되기를 바라는 간식의 종류로는 떡류(47.5%)와 과자류(24.2%) 및 빵류(22.3%)를 선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뇌성마비 아동은 정상아동에 비해 성장이 느리고 영양소 섭취량도 현저히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대상 아동들이 현재의 식품 섭취량으로만 계속 섭취한다면 정상적인 성장을 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뇌성마비 아동과 같이 저영양 상태에 있는 아동의 성장발달과 건강증진을 위한 간식제품의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새로 개발될 뇌성마비 아동을 위한 간식모형 도출결과 간식제품은 권장섭취량과 비교했을 때 가장 섭취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난 아연과 엽산을 보충하여 성장발달에 보조역할을 할 수 있고 아동들의 저작기능을 향상시키고 손에 잡기 쉬운 형태인 떡의 형태가 가장 적합한 형태로 도출되었으므로 향후 이러한 간식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뇌성마비아동의 식사 섭취 조사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일일의 식품섭취량만을 조사하여 보고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아연과 같은 미량영양소의 영양 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생화학적 조사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snack development contributing to physical growth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 study was conducted on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of age 1 to 7 by investigating their fo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snack development contributing to physical growth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 study was conducted on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of age 1 to 7 by investigating their food behavior, physical growth development, nutritional status, and snack intake. As a result of assessing physical growth by WLI (Weight-Length Index), the proportions of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ere the following: underweight 45.5%, normal 45.5%, overweight 6.0%, and obesity 3.0%. The mothers of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mainly bought milk and dairy products for their children's snacks (43.5%) as well as fruits (33.3%). They wanted development of new snacks that helped growth development (50.5%), and preferred more development of the following snacks: Korean rice cakes (47.5%), biscuits (24.2%), bread (22.3%). The result of dietary intake showed that the percentage of RI in zinc and folic acid did not reach the RI in every age categories. The proportion of subjects with less than 75% of RI was 76.8% for the zinc and folic acid, and 52.4% for the calcium and ir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had slower physical development and lesser nutrition intake than normal children. Hence, this study provided the basis to develop the snack for the malnutrition stat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hich helped their physical development. The shape of new snack considered was a rice cake which included zinc and folic acid that were insufficient in RI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내용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내용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미, "학령전 아동의 간식 개발을 위한 식품섭취 실태 조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8 (18): 151-159, 2003

      2 신경옥, "학령 전 아동에서 식습관과 신체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영양학회 38 (38): 455-464, 2005

      3 김은경, "정신지체, 자폐 및 뇌성마비 아동과 비장애아동의 영양소 섭취량 비교"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9 (9): 121-134, 2004

      4 유경희, "울산지역 유치원 어린이의 <한국인영양섭취기준>에 의한영양소섭취 실태 및 아연영양 상태에 관한 연구" 한국영양학회 40 (40): 385-394, 2007

      5 김광호, "섭식(攝食)형태가 뇌성마비 학생의 체격과 체지방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 21 (21): 45-55, 2007

      6 류현주, "보육시설 아동의 신장별 체중 Z-score값에 따른 식습관과 식이섭취 분석 - 안양시 동안구 소재 보육시설 대상-" 대한영양사협회 10 (10): 1-12, 2004

      7 Chung JC, "Understanding occupational therapy and practice for cerebral palsy children" Sigma press 2007

      8 Kim HS, "The suggestion of standard diet by age" 134 : 2-11, 1991

      9 Hong CY, "Pediatrics" Daehangyoguaseo 1999

      10 Stallings VA, "Nutritional status and growth of children with diplegic or hemiplegic cerebral palsy" 35 : 997-1006, 1993

      1 이종미, "학령전 아동의 간식 개발을 위한 식품섭취 실태 조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8 (18): 151-159, 2003

      2 신경옥, "학령 전 아동에서 식습관과 신체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영양학회 38 (38): 455-464, 2005

      3 김은경, "정신지체, 자폐 및 뇌성마비 아동과 비장애아동의 영양소 섭취량 비교"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9 (9): 121-134, 2004

      4 유경희, "울산지역 유치원 어린이의 <한국인영양섭취기준>에 의한영양소섭취 실태 및 아연영양 상태에 관한 연구" 한국영양학회 40 (40): 385-394, 2007

      5 김광호, "섭식(攝食)형태가 뇌성마비 학생의 체격과 체지방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 21 (21): 45-55, 2007

      6 류현주, "보육시설 아동의 신장별 체중 Z-score값에 따른 식습관과 식이섭취 분석 - 안양시 동안구 소재 보육시설 대상-" 대한영양사협회 10 (10): 1-12, 2004

      7 Chung JC, "Understanding occupational therapy and practice for cerebral palsy children" Sigma press 2007

      8 Kim HS, "The suggestion of standard diet by age" 134 : 2-11, 1991

      9 Hong CY, "Pediatrics" Daehangyoguaseo 1999

      10 Stallings VA, "Nutritional status and growth of children with diplegic or hemiplegic cerebral palsy" 35 : 997-1006, 1993

      11 Cho MS, "Nutrition and health status of day-care center children" 15 : 313-323, 2000

      1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n national growth charts"

      13 Park CI, "Incidence and treatment of cerebral palsy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y" Korean Society for the Cerebral Palsied 2004

      14 Gisel EG, "Identification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unable to maintain a normal nutritional state" 6 : 283-286, 1988

      15 Rogers B, "Growth of pre-term infants with cystic periventricular leukomalacia" 40 : 580-586, 1998

      16 The Agrarian Development Office, "Food composition book. 7th ed" 2006

      17 Bax M, "Eating is important" 31 : 285-286, 1989

      18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19 Ahn SY, "Comparison of food habits, food behaviors and food preferences in disabled children and non-disabled children" Kangnung University 2003

      20 Waterlow JC, "Classification and definition of protein-energy malnutrition" 3 : 566-569, 1972

      21 Reilly S,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feeding problems of you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34 : 379-388, 1992

      22 Stanley F, "Cerebral palsies" Mac keith press 2000

      23 Chung HK, "Anthropometric and nutrition status of institutional children" 4 : 3-10, 1999

      24 Rim KH,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the snacking syste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homes" Sookmyung University 1992

      25 Park EJ, "A study on the food habit and nutritional status of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34 : 188-197, 2001

      26 Ko KA, "A study on the dietary habits and food preference of disabled and non-disabled preschoolers" Woosuk University 2004

      27 Kim YS, "A study on the dietary habit and the food preference of pre-school children" Hanyang University 1989

      28 Hwang MK, "A study on dietary habit and food preference of normal and handicapped children in Incheon" Inha University 1996

      29 Song NY,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eating habit of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Woosuk University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