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박물관과 학교미술교육의 연계성 연구 = A Study on the Art Education Program that collaboration between the Museum of Art and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7146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e to Informatization as a result of developments in digital technology, in the 21st century, through various means like the Internet, which can be used any time, any where, people world wide are now able to easily and speedily exchange each other's ...

      Due to Informatization as a result of developments in digital technology, in the 21st century, through various means like the Internet, which can be used any time, any where, people world wide are now able to easily and speedily exchange each other's cultures. Thus, the main objective of School Art Education has arisen as the ability to gain critical thinking methods in understanding and judging art cultural phenomenons correctly, and to foster the ability to accept and apply visual culture from within the influx of diverse visual mediums in contemporary society.
      Visual Culture Education can effectively be accomplished with multi-cultural Art Education through Museum Education. By artistic experience of Art Education through field trips to Museums, students are presented with cultural space of a high standard, and thus these students can foster artistic sensitivity, and gain opportunities to directly see and feel real pieces of work, so as to more deeply understand national art culture and overcome the problems of art lessons that are generally carried out in the classroom.
      To this, the following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Middle School Art Education planned and applied an art class in relation to the activity of a museum field trip, thus aiming to present and learn a new teaching supervision method to make school art education gain practical substance.
      This study searches for a solution through the liaison of museum and school by analysing the reality of utilizing museums for education, and researching the connection between museums and school art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functions of museums. The implementation of the study was mainly divided into 3 units, categorized by 'Prehistoric Art, Baekjae Art, and Shinra Art', and suggested and carried out a teaching supervision plan regarding museums.
      The results that were found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sson connecting museums to school art education improved appreciation abilities of art pieces. Thus, fostering the appreciative ability to interpret and understand cultural heritage became an opportunity to expand artistic experience.
      Second, experience activities that were carried out at school after visiting the museum became an experience for students to extend art into their everyday lives. In particular, from the activities in relation to prehistoric art that was carried out in the study, the program where students returned to prehistoric times by cooking rice in combed pattern earthenware, not only helped students to understand the awareness of art by ancestors, but was effective as a cooperative activity where good relations were formed between friends.
      Third, there was a high preference for activities where practical handicraft pieces that could be used in everyday life were made in the learning process in the expression field. While supervis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t was noticed that students found more enjoyment in making pieces when they could possess the experience of making and using the pieces they had made, rather than simply repeating the remains found in museums in the same way, while addressing the field of expression.
      Fourth, through lessons for learning the amassed cultural heritage of ancestors, students came to acquire an affection for our culture and could come in touch with museums in a friendly way.
      The author of this study hopes that with this study as a base, more entertaining lesson models for art lessons in relation to museums are actively developed, and that education programs in museums of Korea are carried out more broadly and diversely. Also,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come an opportunity for teachers in the education scene to directly apply and utilize so that students may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the ways of life, culture and sense of art of our ancestors, and come to cherish our traditional cul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1세기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른 정보화로 인하여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비롯한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전 세계인들이 서로의 문화를 쉽고 빠르게 교류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

      21세기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른 정보화로 인하여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비롯한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전 세계인들이 서로의 문화를 쉽고 빠르게 교류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미술교육에서는 현대사회의 다양한 시각매체의 홍수 속에서 학생들이 미술 문화 현상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판단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력을 가지고 시각문화를 수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학교 미술교육의 주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시각문화교육은 다문화미술교육과 함께 박물관 교육을 통해서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박물관 견학을 통한 미술교육은 미적체험으로서 학생들에게 높은 수준의 문화공간을 제시함으로써 미적 감수성을 기를 수 있고, 실제 작품을 직접 눈으로 보고 느끼는 기회를 가짐으로서 우리 미술문화를 좀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미술수업의 문제점을 극복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교 학교미술교육 측면에서 박물관 견학 학습과 연계한 미술수업을 고안하고 적용함으로서 학교미술교육의 실질적인 내실화를 위한 새로운 교수학습지도안을 제시하고 학습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박물관의 교육적 기능과, 박물관과 학교미술교육의 연계성에 대해 조사하고, 박물관을 활용한 교육 실태를 분석하여 박물관과 학교의 연계를 통한 해결방법을 모색해 본다. 연구의 실행은 크게 3가지 단원으로 ‘선사시대 미술, 백제의 미술, 신라의 미술’로 구분하여 박물관과 연계한 학습지도안을 제시하고 실행한다.
      본 연구의 실행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박물관과 학교미술교육의 연계 수업은 미술품 감상능력을 향상 시킨다. 즉 문화적 유산을 해석하고 이해할 수 있는 감상능력을 신장시켜 미적 체험을 확대시키는 기회를 제공한다.
      둘째, 박물관 견학 후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체험학습 활동은 학생들에게 미술이 삶 속으로 확장되어지는 경험을 하게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 실시한 선사시대 미술과 연계한 학습에서 빗살무늬 토기에 밥을 지어 먹어보고 선사시대로 돌아가는 프로그램은 체험학습을 통해 조상들의 미의식을 이해할 뿐 만 아니라 친구들과 좋은 유대관계를 형성시키는 협동학습으로도 효과적이다.
      셋째, 표현영역의 학습과정에서는 실생활에서 쓸 수 있는 실용성 있는 공예작품을 만드는 활동이 선호도가 높다. 표현영역의 교수-학습을 지도함에 있어 단지 박물관에 있는 유물을 똑같이 재현해보는 학습이 아닌, 만들고 사용하는 즐거움을 향유할 수 있는 활동은 학생들이 작품을 제작함에 있어 흥미도가 높다.
      넷째, 조상들이 이룩해 놓은 문화유산을 배우는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우리의 문화에 대한 애착심을 갖고 박물관을 친근하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이 좀 더 폭넓고 다양하게 이루어져서 미술수업에서 박물관과 연계된 흥미로운 수업모형이 적극적으로 개발되어지길 바라며, 이 논문이 교육 현장에 있는 교사들이 직접 적용하고 활용하여서 학생들에게 우리 조상들의 삶의 방식과 문화, 미의식의 중요성을 인식하게하고, 우리의 전통문화를 사랑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목적 = 1
      •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 3. 연구의 제한점 = 4
      • Ⅱ. 박물관과 학교미술교육의 연계성 = 5
      • Ⅰ. 서론 = 1
      • 1. 연구의 목적 = 1
      •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 3. 연구의 제한점 = 4
      • Ⅱ. 박물관과 학교미술교육의 연계성 = 5
      • 1. 박물관의 교육적 기능 = 5
      • 1) 박물관의 정의 = 5
      • 2) 박물관 교육의 역사 = 7
      • 3) 박물관 교육의 특성과 기능 = 13
      • 4)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 16
      • 5) 박물관 교육의 중요성 = 21
      • 2. 박물관과 학교미술교육의 연계성 = 24
      • 1)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박물관의 기능 = 24
      • 2) 학교와 박물관의 연계 교육과정 및 방법 = 25
      • Ⅲ. 박물관을 활용한 교육실태 분석 = 27
      • 1. 박물관 활용의 현황 및 문제점 = 27
      • 1) 중등교육과정에서 박물관 활용의 현황 = 27
      • 2) 박물관의 문제 = 28
      • 3) 학교의 문제 = 30
      • 2. 박물관과 학교의 연계를 통한 해결방법 모색 = 33
      • Ⅳ. 연구의 실행 및 학습지도안제시 = 37
      • 1. 선사시대의 미술과 연계한 학습지도안의 구성 = 37
      • 1) 박물관 관람 = 37
      • 2) 빗살무늬 토기 만들기 = 40
      • 3) 선사시대로 돌아가 보자 = 47
      • 4) 땅속에서 발견한 우리의 역사 발굴 = 49
      • 5) 땅속에서 발견한 우리의 역사 복원 = 51
      • 2. 백제의 미술과 연계한 학습지도안의 구성 = 56
      • 1) 한국 전통 기와문양의 감상과 이해 = 56
      • 2) 수막새문양으로 메모꽂이 만들기 1 = 62
      • 3) 수막새문양으로 메모꽂이 만들기 2 = 64
      • 3. 신라의 미술과 연계한 학습지도안의 구성 = 67
      • 1) 삼국시대 금귀고리 공예품의 감상과 이해 = 67
      • 2) 금귀고리의 형태를 활용한 핸드폰 줄 만들기 = 69
      • 4. 연구의 교육적 기대효과와 학습결과 = 72
      • Ⅴ.결론 = 74
      • 참고문헌 = 77
      • ABSTRACT = 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