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자녀를 양육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양육 스트레스가 정신건강과 희망을 경유하여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취업 여부가 조절 매개하는지를 확인하고 정신건강과 희망을 활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059041
2024
Korean
양육 스트레스 ; 양육 효능감 ; 정신건강 ; 희망 ; 취업여부 ; 조건부 간접효과 ; 프로세스 매크로 ; parenting stress ; parenting efficacy ; mental health ; hope ; employment status ; conditional indirect effect ; SPSS PROCESS macro
KCI등재
학술저널
103-113(1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자녀를 양육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양육 스트레스가 정신건강과 희망을 경유하여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취업 여부가 조절 매개하는지를 확인하고 정신건강과 희망을 활용...
본 연구는 자녀를 양육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양육 스트레스가 정신건강과 희망을 경유하여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취업 여부가 조절 매개하는지를 확인하고 정신건강과 희망을 활용하여 양육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조사 지역은 전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 대상의 표집은 의도적 표집 방법을 적용하였고, 자료수집은 설문조사로 하였다. 최종 분석에 활용된 전체 대상자의 수는 300명이었다. 자료는 빈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및 조절된 매개효과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양육 스트레스는 정신건강, 희망, 취업 여부 및 양육 효능감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양육 스트레스를 제외한 다른 변수들은 서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취업 여부는 양육 스트레스가 정신건강과 희망을 경유하여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 매개하였다. 즉, 취업 여부는 양육 스트레스가 정신건강과 희망을 경유하여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감소시키는 완충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양육 효능감을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whether employment status moderates and mediates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parenting efficacy through mental health and hope targeting women raising children and to find ways to improve parenting efficacy by utiliz...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whether employment status moderates and mediates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parenting efficacy through mental health and hope targeting women raising children and to find ways to improve parenting efficacy by utilizing mental health and hope. The survey was conducted nationwide, a purposive sampling method was used to select the survey subjects,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used in the final analysis was 300 women.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freq 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parenting stres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ental health, hope, employment status, and parenting efficacy. On the other hand, other variables except parenting str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Second, employment status moderated and mediated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parenting efficacy through mental health and hope. In other words, employment status played a buffering role in reducing the negative impact of parenting stress on parenting efficacy through mental health and hope. Based on these results, a plan to protect parenting efficacy was proposed.
중고등학생의 마음챙김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감사성향과 자아존중감의 이중 매개효과
피부노화 방지에 이용되는 천연물의 종류 및 추출연구 동향
재난과 정신건강(Disaster and Mental Health)
K-MOOC 대구대학교 현진희재난과 정신건강(Disaster and Mental Health)
K-MOOC 대구대학교 현진희인간관계와 정신건강 /Human relationship and mental health
K-MOOC 동국대학교(WISE) 김인홍재난과 정신건강(Disaster and Mental Health)
K-MOOC 대구대학교 현진희인간관계와 정신건강 /Human relationship and mental health
K-MOOC 동국대학교(WISE) 김인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