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정부의 신장사(新疆史) 인식과 이슬람 상대화 -신장 관련 정부백서(政府白皮書)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신장 관련 중국 정부백서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신장 지역과 이슬람 신앙에 대한 중국 정부의 공식 입장을 분석한다. 백서 중에는 특히 역사 문제와 종교 문제 관련 문건...

      이 논문은 신장 관련 중국 정부백서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신장 지역과 이슬람 신앙에 대한 중국 정부의 공식 입장을 분석한다. 백서 중에는 특히 역사 문제와 종교 문제 관련 문건에서 중국 정부의 신장관(新疆觀)이 가장 잘 나타났다. 우선 역사 문제를 다룬 2019년 7월의 백서를 중심으로, 중국 정부가 신장을 다민족 지역으로 규정해 소수민족 독립운동이 정당성을 갖지 못하게 하는 한편, 각 소수민족이 중화민족과 혈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중화민족 대가정론’을 전면에 내세우기 시작했음을 지적한다. 나아가 역사상 회흘과 돌궐의 관계를 끌어들여 위구르 등 소수민족에게 튀르크 정체성이 없음을 강조하려는 정부백서의 논법이 가진 논리적인 한계를 밝힌다. 또한 범튀르크주의 비판을 범이슬람주의 비판과 연계시키는 서술이 2003년의 역사 관련 백서에는 나타나지 않다가 2019년의 백서에서 나타난 것을 근거로, 신장 이슬람에 대한 정부의 입장에 변화가 발생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신장 이슬람에 대한 정부 측 입장 변화는 2010년대 이후 발표된 종교 문제 관련 백서에 주로 나타나는데, 이는 중앙 정부의 종교 정책과 궤를 같이한다. 그 주요 내용은 이슬람교가 신장 지역이나 위구르인들에게 유일한 종교가 아닌 여러 종교 신앙 중 하나에 불과하고, 심지어 위구르인들의 이슬람 신앙은 강제에 의해 타의적으로 주어졌다는 것이다. 이처럼 신장 이슬람을 상대화하는 서술의 배경에는 ‘거극단화’와 ‘이슬람교중국화’라는 두 가지 목표가 존재하는데, 관련 법규에서 나타나는 ‘정상종교’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그 내용을 분석했다. 결론적으로 중국 정부가 정상적인 종교 신앙을 지원한다는 명목으로 신장 이슬람의 특수성을 약화시키는 동시에 중국특색의 이슬람교를 신장에 구현하려는 정책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신장 지역의 분리 독립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고 믿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s the contents of the "White Paper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alyzing the position of the Chinese government on the Xinjiang region and Islamic beliefs. Among the White Papers, the documents related to histor...

      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s the contents of the "White Paper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alyzing the position of the Chinese government on the Xinjiang region and Islamic beliefs. Among the White Papers, the documents related to historical and religious issues clearly show the government"s position in the region. Through the White Paper published in July 2019 dealing with historical issues, the Chinese government defined Xinjiang as a multi-ethnic region, denying the legitimacy of Xinjiang"s independence movement. It also promoted the "broader family of the Chinese nation," which means that numerous ethnic groups in the region are in kinship ties. Furthermore, the White Paper argued the lack of Turkic identity of ethnic groups such as Uyghurs, an argument with logical contradiction. The White Paper also challenged Pan-Islamism engaged with Pan-Turkism, and it shows that the government"s position on Islam in Xinjiang has changed.
      The government"s position on Islam mainly appears in the White Papers related to religious issues published since the 2010s. The change of position on Islam in Xinjiang is in line with the central government"s religious policy change. According to the government description, Islam is not the only religion for the Xinjiang or Uyghurs, and even the Islamic belief of the Uyghurs was involuntary by coercion historically. In the background of this kind of description that relativizes Islam in Xinjiang, there are two goals: "De-radicalization" and "Sinicization of Islam." The contents can be analyzed focusing on the keyword "normal religion" appearing in related laws. In conclusion, it is revealed that the Chinese government has a policy goal to weaken the local influence of Islam in Xinjiang in the name of supporting "normal religious" beliefs while promoting Isla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in Xinjiang, which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independe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정부의 신장사 서술과 범튀르크-범이슬람주의 비판
      • 3. ‘신장 이슬람’에 대한 상대화
      • 4. 맺음말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정부의 신장사 서술과 범튀르크-범이슬람주의 비판
      • 3. ‘신장 이슬람’에 대한 상대화
      • 4.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대성, "중국의 테러리즘 분석과 그 전망: 신장 위구르족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4 (14): 218-226, 2014

      2 전성흥, "중국의 소수민족 문제: 저항운동의 원인과 중앙 정부의 대응" 동아연구소 (58) : 151-182, 2010

      3 박장배, "중국의 변경 연구 3 -신장 개발과 역사해석" 동북아역사재단 2019

      4 박장배, "중국의 변경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14

      5 노영돈, "중국의 민족식별작업에 관한 고찰" 재외한인학회 (32) : 29-70, 2014

      6 구소영,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과 신장위구르자치구의 개발" 대구사학회 135 : 227-263, 2019

      7 강현사, "중국 학자들의 소수민족 역사 서술" 동북아역사재단 2008

      8 김경아, "중국 중앙과 지방의 종교정책시스템 ― 국무원령과 성·시·자치구 「종교사무조례」의 상호관계성을 중심으로" 대한중국학회 (73) : 759-774, 2020

      9 이동률, "중국 신장의 민족갈등 '중국화'와 저항의 동학" 역사문제연구소 (85) : 81-103, 2008

      10 이동률, "중국 신장(新疆)의 분리주의 운동: 현황과 영향력" 한국국제정치학회 43 (43): 317-338, 2003

      1 이대성, "중국의 테러리즘 분석과 그 전망: 신장 위구르족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4 (14): 218-226, 2014

      2 전성흥, "중국의 소수민족 문제: 저항운동의 원인과 중앙 정부의 대응" 동아연구소 (58) : 151-182, 2010

      3 박장배, "중국의 변경 연구 3 -신장 개발과 역사해석" 동북아역사재단 2019

      4 박장배, "중국의 변경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14

      5 노영돈, "중국의 민족식별작업에 관한 고찰" 재외한인학회 (32) : 29-70, 2014

      6 구소영,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과 신장위구르자치구의 개발" 대구사학회 135 : 227-263, 2019

      7 강현사, "중국 학자들의 소수민족 역사 서술" 동북아역사재단 2008

      8 김경아, "중국 중앙과 지방의 종교정책시스템 ― 국무원령과 성·시·자치구 「종교사무조례」의 상호관계성을 중심으로" 대한중국학회 (73) : 759-774, 2020

      9 이동률, "중국 신장의 민족갈등 '중국화'와 저항의 동학" 역사문제연구소 (85) : 81-103, 2008

      10 이동률, "중국 신장(新疆)의 분리주의 운동: 현황과 영향력" 한국국제정치학회 43 (43): 317-338, 2003

      11 신상철, "중국 신장 위구르지역 테러조직에 대한 연구" 중국연구소 (15) : 149-184, 2013

      12 공봉진, "중국 소수민족주의와 중화민족주의 - 티벳과 위구르족의 민족주의운동을 중심으로 -"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12 (12): 137-160, 2009

      13 공봉진, "중국 ‘민족식별’과 소수민족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7 (7): 2004

      14 송한용, "위구르족의 정체성과 중국 국민통합의 괴리" 호남사학회 (51) : 123-158, 2013

      15 황병하, "위구르족 ․ 회족 무슬림의 정체성과 문화접변 양상 연구" 한국중동학회 30 (30): 223-256, 2010

      16 윤휘탁, "신중화주의 : ‘중화민족 대가정’ 만들기와 한반도" 푸른역사 2006

      17 제임스 A. 밀워드, "신장의 역사: 유라시아의 교차로" 사계절 2013

      18 김유경, "신장 위구르무슬림 분리주의운동의 원인분석 연구" 중동연구소 29 (29): 27-56, 2010

      19 우덕찬, "신강 무슬림 위구르의 분리주의운동" 중앙아시아학회 13 : 123-142, 2008

      20 강경구, "시진핑시대, 중국 종교정책과 신종교사무조례" 신아사 2018

      21 강경구, "시진핑시대, 종교중국화 공정" 신아사 2021

      22 김경아, "시진핑시대, 이슬람교중국화정책 연구 ― 「堅持我國伊斯蘭教中國化方向五年工作規劃綱要(2018—2022)」을 중심으로" 대한중국학회 (70) : 83-106, 2020

      23 김영구, "시진핑 집권 이후 중국의 신장 위구르사회에 대한 강경 정책의 심화 과정 : ‘거극단화’의 달성을 목표로 한 종교정책의 추이를 중심으로" 중국연구소 78 : 159-178, 2019

      24 이주엽, "몽골 제국과 포스트 몽골 시기 중앙아시아와 킵차크 초원에서의 투르크 정체성" 중앙아시아학회 26 (26): 213-257, 2021

      25 김한규, "동아시아 역사 논쟁" 소나무 2015

      26 공봉진, "동아시아 민족문제와 중국 민족식별의 관계 연구 -한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10 : 2005

      27 윤휘탁, "現代中國의 西部邊疆民族政策과 ‘國民國家’ 完成하기 - ‘西部大開發’을 중심으로-" 중국사학회 (37) : 245-289, 2005

      28 伊斯蘭教協會, "堅持我國伊斯蘭教中國化方向五年工作規劃綱要(2018-2022)" (1) : 2019

      29 박선영, "中華人民共和國의 版圖 形成과 新疆 -新疆의 特殊性과 新疆生産建設兵團의 國內外的 挑戰" 중국사학회 (44) : 397-444, 2006

      30 "中華人民共和國 國務院新聞辦公室 白皮書"

      31 中共新疆維吾爾自治區委員會黨史研究室, "中國共產黨與民族區域自治制度的建立和發展(上冊)" 中共黨史出版社 2000

      32 米壽江, "中國伊斯蘭教" 五洲傳播出版社 2004

      33 윤휘탁, "‘신중화주의’ : 중국 민족주의의 새로운 바람" 16 : 2008

      34 정면, "‘白族’의 탄생 : 『白族社會歷史調査』와 『白族簡史』의 분석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50) : 289-325, 2017

      35 Berlie, Jean A, "Islam in China : Hui and Uyghurs between modernization and sinicization" White Lotus Press 2004

      36 김상호, "2009년 7월 新疆위구르사태의 전말에 대한 고찰" 한국중국학회 (60) : 171-192, 2009

      37 "(國情-宗教概況-)伊斯蘭教"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79 1.814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