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왕실 혼례의 사례와 그 의미 = The cases and meanings of royal wedding ceremony in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506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시대 왕실 혼례의 주요한 사례들을 개관해 보았다. 왕실 혼례에서 우선 주목되는 것은 다양한 지위에서 혼례식이 거행되었다는 점이다. 세자의 신분이 가장 흔할 것처럼 보이나 적장자...

      조선시대 왕실 혼례의 주요한 사례들을 개관해 보았다. 왕실 혼례에서 우선 주목되는 것은 다양한 지위에서 혼례식이 거행되었다는 점이다. 세자의 신분이 가장 흔할 것처럼 보이나 적장자로서 왕위를 계승하는 사례가 드물기 때문에 세자의 신분으로서 세자빈을 맞이하는 경우도 적었다. 오히려 왕자의 신분으로 있다가 정변의 영향으로 왕이 되는 경우가 더 많았다. 조선전기에는 왕자의 난이나 계유정난과 같은 왕실의 정변뿐만 아니라, 예종이나 성종의 즉위에서 볼 수 있듯이 후계자 계승에 많은 변수들이 있었다. 16세기 왕실 혼례의 경우에도 왕실의 후계자 계승을 둘러싸고 많은 변수들이 있었다. 중종반정이나 왕실 방계에서 즉위한 선조의 사례에서 보듯이, 왕세자의 신분으로 후계자 수업을 받고 왕세자빈을 맞이한 후 왕위에 오르는 전형적인 사례가 오히려 이례적이었다. 특히 16세기에는 『주자가례』가 급격히 확산되어 가는 분위기가 형성되어 왕실 혼례에서뿐만 아니라 민간에서도 친영 의식이 강화되어가는 점을 주요한 특징으로 지적할 수 있다. 조선 후기 왕실 혼례식은 그 틀을 잡아가면서 정형화되어 가고 있었지만, 시기별로 변화의 모습도 보이고 있다. 특히 현존하는 가례도감의궤를 통해 조선후기 왕실 혼례의 절차와 혼례행렬 등 화려하고 엄숙한 혼례 모습을 접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was written to overview the history of royal wedding in Joseon dynasty. First of all, kings of Joseon had their royal wedding ceremony in various status. Although the status of the crown prince seems to be the most common, there’s only ...

      This article was written to overview the history of royal wedding in Joseon dynasty. First of all, kings of Joseon had their royal wedding ceremony in various status. Although the status of the crown prince seems to be the most common, there’s only few cases because eldest legitimate son(嫡長子) rarely succeed to the throne. Rather it was more often a prince and became a king under the influence of political upheaval.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there were many variables in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as seen from King Yejong or King Seongjong, as well as royal coups such as the Prince’s Rebellion and Gyeyujeongnan(癸酉靖難). In the 16th century, there were many variables surrounding the succession of the royal heir. As seen in the case of King Seonjo or King Jungjong, the typical case of ascending the throne after receiving a successor class as a crown prince and greeting the crown princess was rather unusual. Especially in the 16th century, owe to the rapid spread 《Jujagarye(朱子家禮)》, Chinyeong(親迎), which is bridegroom personally inducting the bride into his home, became the general trend not only in royal weddings but also in the private sector. Royal wedd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becoming more formalized but it also changed from time to time. In particular, the existing Garyedogam-uigwe(嘉禮都監儀軌) provides access to splendid and solemn royal wedding ceremonies such as wedding procedure and wedding procession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Ⅱ. 六禮에 의거한 혼례 절차 Ⅲ. 조선전기 왕실 혼례의 주요 사례 Ⅳ. 조선후기 왕실 혼례의 역사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Ⅱ. 六禮에 의거한 혼례 절차 Ⅲ. 조선전기 왕실 혼례의 주요 사례 Ⅳ. 조선후기 왕실 혼례의 역사 Ⅴ.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범직, "한국중세 禮사상 연구" 일조각 1991

      2 강문식, "태종~~세종대 許稠의 禮制 정비와 禮 인식" 진단학회 (105) : 111-139, 2008

      3 지두환, "조선전기 의례 연구" 서울대출판부 1994

      4 심재우, "조선의 왕비로 살아가기" 돌베개 2012

      5 양웅렬, "조선의 왕비 가문" 역사문화 2017

      6 심재우, "조선의 세자로 살아가기" 돌베개 2013

      7 지두환, "조선의 국가의례, 오례" 국립고궁박물관 2015

      8 한영우, "조선왕조의 의궤" 일지사 2005

      9 "조선왕조실록"

      10 이미선, "조선왕실의 후궁" 지식산업사 2021

      1 이범직, "한국중세 禮사상 연구" 일조각 1991

      2 강문식, "태종~~세종대 許稠의 禮制 정비와 禮 인식" 진단학회 (105) : 111-139, 2008

      3 지두환, "조선전기 의례 연구" 서울대출판부 1994

      4 심재우, "조선의 왕비로 살아가기" 돌베개 2012

      5 양웅렬, "조선의 왕비 가문" 역사문화 2017

      6 심재우, "조선의 세자로 살아가기" 돌베개 2013

      7 지두환, "조선의 국가의례, 오례" 국립고궁박물관 2015

      8 한영우, "조선왕조의 의궤" 일지사 2005

      9 "조선왕조실록"

      10 이미선, "조선왕실의 후궁" 지식산업사 2021

      11 신병주, "조선왕실의 왕릉 조성" 태창출판사 2017

      12 김문식, "조선왕실의 가례 1"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13 김문식, "조선왕실 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14 신명호, "조선왕비실록" 역사의 아침 2007

      15 심승구, "조선시대 왕실혼례의 추이와 특성 - 숙종ㆍ인현왕후 嘉禮를 중심으로 -" 조선시대사학회 (41) : 79-139, 2007

      16 백주연, "조선 초기 王室婚禮의 정비와 그 의미" 조선시대사학회 (95) : 7-53, 2020

      17 장병인, "조선 중기 이후 국왕의 혼례형태의 변화 -별궁의 운영과 ‘別宮親迎禮’의 성립-" 조선시대사학회 (55) : 81-125, 2010

      18 윤혜민, "조선 전기 繼妃 선정 방식과 그 의미" 조선시대사학회 (65) : 55-95, 2013

      19 신병주, "왕실의 혼례식 풍경" 돌베개 2013

      20 "승정원일기"

      21 허태구, "병자호란과 예. 그리고 중화" 소명출판 2019

      22 이건창, "당의통략"

      23 "국조오례의"

      24 "가례도감의궤"

      25 이성미, "嘉禮都監儀軌와 미술사-왕실 혼례의 기록" 소와당 2008

      26 신병주, "66세의 영조, 15세 신부를 맞이하다" 돌베개 2001

      27 신병주, "1762년 世孫 正祖의 혼례식과 『(正祖孝懿后)嘉禮都監儀軌』"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0) : 153-181,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2-1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동국사학회 ->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영문명 : Dongguk Historical Society -> Dongguk history & culture institut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4 0.758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