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세 금석문소재 불교설화의 통시적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516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설화연구에서 가장 취약한 분야라고 할 수 있는 창작, 출현시점, 전파시기 등을 가능한 한 실증적으로 규명해내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설화는 익명의 작가가 지어내고 퍼뜨린 이야...

      본고는 설화연구에서 가장 취약한 분야라고 할 수 있는 창작, 출현시점, 전파시기 등을 가능한 한 실증적으로 규명해내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설화는 익명의 작가가 지어내고 퍼뜨린 이야기로 언제 어디서 시작되었는지를 살피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왔다. 이처럼 설화연구의 실증적 연구가 힘들었던 이유는 구비문학 자료로 활용되는 채록물이 그 안에 수집, 정리된 시점을 적어놓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금석문 소재 설화는 이 같은 한계를 상당부분 줄여줄 수 있는 중요한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가령 元曉擲板救衆 유형을 보면 元曉大師가 암자에서 禪定에 들었다가 중국 어느 절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많은 사람들이 몰살당할 상황을 보고는 그곳에 물을 뿌려 불길을 잡았다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혹은 산사태로 매몰될 순간에 널빤지를 날려 절 안에 있던 사람들을 유인하여 참사를 모면케 했다는 이야기가 전하기도 한다. 널리 알려진 이들 설화의 근원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없고 밝힐 만한 문헌도 없었다. 기껏 조선시대 野談에서 근원을 찾고자 했을 뿐이다. 하지만 혜공왕 대(765-780)에 세워진 경주 高仙寺 誓幢和尙塔碑에는 원효가 經을 강설하던 중에 당나라 聖善寺가 불타고 있음을 보고 물을 뿜어 진화했으며 그때 사용한 물웅덩이가 아직도 남아있다고 지적하는 대목이 나온다. 이미 8세기에 元曉擲板救衆 유형이 전파되고 있었음을 증거해주는 것이다. 이처럼 금석자료를 통해 설화의 발생과 파생, 전승과정을 비교적 소상히 진단할 수가 있겠는데 찬술연대를 적시하는 금석문 특유의 성격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설화의 출현, 파생, 전파의 계보 뿐 만 아니라 金石文은 설화의 유형과 전파 범위, 담당층까지 밝힐 근거로 삼을수 있다. 가령 비범한 존재는 먼저 이물들이 알아본다는 異物知人之鑑유형은 삼국시대에 이미 널리 통하던 것이었다. 즉 雙谿寺 眞鑑禪師碑(887년건립)에는 호랑이들이 항시 선사를 호위하며 보살폈다는 기록이 올라와 있는 것이다. 금석문에 의거한 설화 연구는 설화 담당자의 층위를 보다 확실히 규명하는 데도 도움이 되며 아울러 지식인들의 설화에 대한 인식과 관념을 엿보는 데도 유효하다.
      본고의 연구 범위는 삼국 고려시대를 초점으로 하되 불교 금석문 중에서 最古의 자료로 꼽히는 誓幢 和尙碑에서 시작하여 信行禪師碑, 寂忍禪師碑, 普照禪師碑, 弘覺禪師碑, 圓朗禪師碑, 眞鏡大師碑, 四山碑銘 등을 포함하는 신라시대는 물론이고 고려시대의 僧碑, 事蹟碑, 頌德碑 등을 두루 편입시키고자 한다. 물론 모든 금석문을 다 연구대상으로 삼지는 않을 것이다. 서사성이 높은 설화의 수용여부를 선별의 기준이 될 것이다. 참고대상으로 삼는 자료는 朝鮮金石總覽(조선총독부), 韓國金石全文(허흥식) 海東金石苑등을 포함하여 이제까지 출간된 금석문헌자료를 폭넓게 참고할 것이다.
      결국 본고의 내용은 아래와 같이 정리가 가능할 것이다.
      1). 삼국 고려시대 금석자료 가운데 불교설화에 해당되는 자료를 모두 총집한다.
      2). 선별된 텍스트를 대상으로 설화의 유형별, 시대별, 모티브별 분류를 시도한다.
      3). 유사 모티브를 중심으로 삼국시대부터 고려 말에 이르기까지의 전파, 전승의 양상을 규명한다.
      4). 고려이후 유사 모티브가 후대 불교설화에 어떻게 수용, 변이 되는가를 살핌으로써 설화의 계통성과 역사성을 밝힌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