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개정된 형사소송법에 적합한 현장 디지털 증거 추출도구 필요요건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ppropriate Requirement of Digital Crime Scene Evidence Acquirement Tools for Revised Criminal Procedure A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632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data, digital forensic tools, volatile data collecting tools, or various other tools, which are used by judicial institutions, are based on techniques and procedures that provide data integrity and probative force, and until nowadays confiscation of digital devices or disk imaging has been the first priority in the collection of digital evidence, However, since the idea and gathering procedure of digital evidence have changed due to the revision of criminal procedure act, a change in methods of sorting and investigating digital evidence seems crucial.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requirement-which is efficient and appropriate for revised criminal procedure act-of digital evidence acquirement tools used at crime scenes by examining functionalities and problems of tools currently used by different judicial institutions.
      번역하기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data, digital forensic tools, volatile data collecting tools, or various other tools, which are used by judicial institutions, are based on techniques and procedures that provide data integrity and probative ...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data, digital forensic tools, volatile data collecting tools, or various other tools, which are used by judicial institutions, are based on techniques and procedures that provide data integrity and probative force, and until nowadays confiscation of digital devices or disk imaging has been the first priority in the collection of digital evidence, However, since the idea and gathering procedure of digital evidence have changed due to the revision of criminal procedure act, a change in methods of sorting and investigating digital evidence seems crucial.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requirement-which is efficient and appropriate for revised criminal procedure act-of digital evidence acquirement tools used at crime scenes by examining functionalities and problems of tools currently used by different judicial institu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사법기관에서 사용하고 잇는 디지털 포렌식 도구나, 휘발성데이터 수집도구 등은 디지털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무결성 확보와 증명력을 갖출 수 있는 기술과 절차로 구성되었고 지금까지의 디지털증거 수집은 디지털매체 압수나 디스크 이미징을 우선적으로 하여 수집되었다. 하지만 개정된 법률에 따른 디지털 증거의 개념 / 수집 절차가 변화됨으로써 디지털 증거에 대한 선별 압수 및 증거 조사 방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사법기관별로 사용되고 있는 디지털증거 추출 도구의 기능을 알아보고 문제점을 도출함으로써 개정된 법률을 준수하면서 효율적인 디지털 증거를 수집할 수 있는 현장용 디지털 증거 추출 도구 필요요건 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사법기관에서 사용하고 잇는 디지털 포렌식 도구나, 휘발성데이터 수집도구 등은 디지털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무결성 확보와 증명력을 갖출 수 있는 기술과 절차로 구성되었고 지금까...

      사법기관에서 사용하고 잇는 디지털 포렌식 도구나, 휘발성데이터 수집도구 등은 디지털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무결성 확보와 증명력을 갖출 수 있는 기술과 절차로 구성되었고 지금까지의 디지털증거 수집은 디지털매체 압수나 디스크 이미징을 우선적으로 하여 수집되었다. 하지만 개정된 법률에 따른 디지털 증거의 개념 / 수집 절차가 변화됨으로써 디지털 증거에 대한 선별 압수 및 증거 조사 방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사법기관별로 사용되고 있는 디지털증거 추출 도구의 기능을 알아보고 문제점을 도출함으로써 개정된 법률을 준수하면서 효율적인 디지털 증거를 수집할 수 있는 현장용 디지털 증거 추출 도구 필요요건 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승봉, "현장중심의 컴퓨터 사용 흔적 자사에 대한 단계적 접근 방법론" 2-, 2009

      2 국가보안기술연구소, "컴퓨터포랜식 도구 사용자 설명서 “버전2.1.0”"

      3 임경수, "디지털 포렌식 현황과 대응 방안" 465-, 2008

      4 Ricci Ieong, "Lifs--Privileged data aware Live Forensics Scheme" 33-47, 2008

      5 Ricci Ieong, "How to Balance Privilege and Digital Forensics Investigation" 2007

      6 "EnCase Computer Forensics -- The Official EnCE: EnCase Certified Examiner Study Guide"

      1 이승봉, "현장중심의 컴퓨터 사용 흔적 자사에 대한 단계적 접근 방법론" 2-, 2009

      2 국가보안기술연구소, "컴퓨터포랜식 도구 사용자 설명서 “버전2.1.0”"

      3 임경수, "디지털 포렌식 현황과 대응 방안" 465-, 2008

      4 Ricci Ieong, "Lifs--Privileged data aware Live Forensics Scheme" 33-47, 2008

      5 Ricci Ieong, "How to Balance Privilege and Digital Forensics Investigation" 2007

      6 "EnCase Computer Forensics -- The Official EnCE: EnCase Certified Examiner Study Guid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Digital Forensics Society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7 0.17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4 0.21 0.61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