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50년대 중후반기 이승만 대통령의 언론 이미지 변화 - 정부기관지 『서울신문』의 보도를 중심으로 - = Changes in the Media Image of President Syngman Rhee in the mid to late 1950s -Focusing on the Report of the 『Seoul Newspaper』, a Government Agen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815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언론이 전달하고 만들어내는 정치인의 이미지는 대중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친다. 재임 당시 이승만 대통령의 언론 이미지는 ‘우상화’와 ‘독재자’로 대표된다. 그런데 1950년대 중후반 ...

      언론이 전달하고 만들어내는 정치인의 이미지는 대중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친다. 재임 당시 이승만 대통령의 언론 이미지는 ‘우상화’와 ‘독재자’로 대표된다. 그런데 1950년대 중후반 언론에서 전하는 혹은 만들어내는 이승만 대통령의 이미지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단조로운 우상화에 의한 추앙과 독재자라는 공격만 받았던 것은 아니었다. 정부기관지인 서울신문에서는 근엄하고 존경받는 대상에서 친근하고 인자하며 검소한 이미지, 그리고 건강하면서 열정적인 할아버지의 이미지 등 이승만의 다양한 이미지를 만들어냈다. 1954년의 사사오입개헌 이후 이승만을 독재자로 규정하는 발언이 적극적으로 나타나고 독재라는 단어가 이승만 정권과 연결되었다. 이런 요인들이 이후의 이미지 변화 시도로 이어졌다. 이승만은 경무대를 개방하여 독재국가가 아닌 ‘민주주의 나라’의 대통령이 되어 국민들과 나란히 섞여 지내는 모습을 연출했고, 소통할 줄 아는 인자한 ‘우리 할아버지’가 되어 국민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가려는 시도와 노력을 보여주려 했다. 아이들을 사랑하고 검소하며 소박한 이미지의 추구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 가능하다. 야당으로부터 독재자로 공격받는 대통령의 모습과는 정반대의 모습들이다. 또한 정권 유지를 위해서 이승만이 건강 면에서 건재하다는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국민들에게 주입했다. 이와 같은 이미지 변화모색이 우상화와 독재자로의 공격 속에서 동시에 추진되었다.
      국민들의 이승만에 대한 감정은 우상화와 독재자라는 키워드만으로 이해하기 힘들다. 국민들은 양극의 감정으로만 이승만을 바라본 것은 아니었다. 언론에 의해 만들어진 이승만의 이미지들을 고려한다면 이승만에 대한 대중들의 다양하고 복잡한 감정과 반응의 일면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시 국민들에게 이승만이 어떠한 존재였는지를 짐작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mage of politicians delivered and created by the media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public. During his tenure, President Syngman Rhee's media image is represented by "idolization" and "dictator." However, the images of President Syngman Rhee deli...

      The image of politicians delivered and created by the media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public. During his tenure, President Syngman Rhee's media image is represented by "idolization" and "dictator." However, the images of President Syngman Rhee delivered or created by the media in the mid-to-late 1950s appeared in various ways. It was not just reverence by monotonous idolization and attack as a dictator. The Seoul Newspaper, a government agency, created a variety of images of Syngman Rhee, including a friendly, benevolent, frugal image, and a healthy and passionate grandfather's image.
      After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in 1954, remarks that defined Syngman Rhee as a dictator actively appeared, and the word dictatorship was linked to the Syngman Rhee regime. These factors led to subsequent attempts to change the image. Syngman Rhee opened the presidential residence to become the president of a "democratic country," not a dictatorship, to live side by side with the people, and there were attempts and efforts to become a kind "grandfather" who can communicate and approach the people friendly.
      The pursuit of loving children, frugal, and simple images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These are the opposite of the president being attacked as a dictator by the opposition party. In addi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regime, Syngman Rhee continued to inject the image of being healthy into the people. This attempt for image change was promoted simultaneously amid idolization and attack by dictators.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people's feelings for Syngman Rhee only with the keywords idolization and dictatorship. Considering Syngman Rhee's images created by the media, we will be able to understand one aspect of the public's diverse and complex emotions and reactions to Syngman Rhee. Also, we can guess what Syngman Rhee was to the people at the tim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준웅, "후보 이미지의 정치적 영향력에 대한 사회인지론적 설명" 한국언론학회 43 (43): 1998

      2 한국군사혁명재판사편찬위원회, "한국혁명재판기록사총서 1" 국학자료원 2001

      3 장 용, "한국의 매스·콤의 발달"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8 (8): 1969

      4 기무라 간, "한국의 권위주의적 체제 성립: 이승만 정권의 붕괴까지" 제이앤씨 2013

      5 최인규, "최인규 옥중 자서전" 중앙일보사 1985

      6 정민섭, "최고존엄" 늘품플러스 2017

      7 "조선일보"

      8 임종명, "제1공화국 초기 대한민국의 가족국가화와 內破" 한국사연구회 (130) : 289-329, 2005

      9 박용만, "제1공화국 경무대비화" 내외신서 1991

      10 임순미, "정치인의 이미지 프레이밍 : 안철수에 대한 보도 양태 분석" 현대정치연구소 5 (5): 5-43, 2012

      1 이준웅, "후보 이미지의 정치적 영향력에 대한 사회인지론적 설명" 한국언론학회 43 (43): 1998

      2 한국군사혁명재판사편찬위원회, "한국혁명재판기록사총서 1" 국학자료원 2001

      3 장 용, "한국의 매스·콤의 발달"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8 (8): 1969

      4 기무라 간, "한국의 권위주의적 체제 성립: 이승만 정권의 붕괴까지" 제이앤씨 2013

      5 최인규, "최인규 옥중 자서전" 중앙일보사 1985

      6 정민섭, "최고존엄" 늘품플러스 2017

      7 "조선일보"

      8 임종명, "제1공화국 초기 대한민국의 가족국가화와 內破" 한국사연구회 (130) : 289-329, 2005

      9 박용만, "제1공화국 경무대비화" 내외신서 1991

      10 임순미, "정치인의 이미지 프레이밍 : 안철수에 대한 보도 양태 분석" 현대정치연구소 5 (5): 5-43, 2012

      11 C. E. 메리암, "정치권력론" 선인 2006

      12 정용욱, "이승만과 제1공화국" 논형 2007

      13 유일상, "이승만 정권하의 한국 언론" 건국대학교 사회정책연구소 6 : 1996

      14 임종명, "이승만 대통령의 두 개의 이미지 –국부·최고영도자" 일조각 38 : 2006

      15 프란세스카 도너 리, "이승만 대통령의 건강 –프란체스카 여사의 살아온 이야기" 도서출판 촛불 2007

      16 고정휴, "이승만 대통령 재평가"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6

      17 조은정, "우상화에 동원된 대통령 이승만의 기념조형물" 내일을 여는역사재단 38 : 2010

      18 金明河, "우리나라 ABC 運動에 관한 一硏究"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1986

      19 공보실, "우리 대통령 리승만 박사"

      20 서울신문100년사 편찬위원회, "서울신문 100년사: 1904~2004" 서울신문사 2004

      21 "서울신문"

      22 공임순, "빨치산과 월남인 사이, ‘이승만’의 재현/대표성의 결여와 초과의 기표들" 상허학회 27 : 367-405, 2009

      23 김동선, "미군정기 『서울신문』의 정치성향 연구" 선인 2014

      24 "동아일보"

      25 대한신문연감편찬위원회, "대한신문연감" 대한신문연감사 1955

      26 공보처, "대통령이승만박사담화집" 공보처 1953

      27 김미리 ; 장성호, "대통령 우표에 나타난 취임, 업적에 따른 정치지도자 휴먼이미지 분석 -한국의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대통령 우표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9 (19): 302-312, 2019

      28 "뉴시스"

      29 홍민지, "뉴스영화를 통한 국가의 이미지 형성과 선전활동: 1950~1960년대 <대한뉴스>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19

      30 중앙일보,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중앙일보·동양방송 1977

      31 민관식, "낙제생" 중서각 1962

      32 "국회임시회의속기록"

      33 "국무회의록"

      34 "경향신문"

      35 후지이다케시, "‘이승만’이라는 표상 ―이승만 이미지를 통해 본 1950년대 지배 권력의 상징 정치―" 역사문제연구소 12 (12): 9-42, 2008

      36 이화진, "‘극장국가’로서 제1공화국과 기념의 균열" 한국근대문학회 (15) : 197-227, 2007

      37 정병준, "63인의 역사학자가 쓴 한국사 인물 열전 3" 돌베개 2003

      38 정진석, "4·19혁명과 언론의 역할" 관훈클럽 115 : 2010

      39 오제연, "1956~1960년 자유당 과두체제의 형성과 운영"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50 : 2004

      40 허 정, "(현대한국인물전집 7) 우남 이승만" 태극출판사 197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2 1.12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1.06 1.812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