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서비스가 다양하게 증가하고 대상자가 보편화 되면서 사회복지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은 전문적이면서 종합적이고 높은 수준의 질적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다. 이런 환경 속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167151
제주 :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5
학위논문(석사) --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2025. 2
2025
한국어
사회복지담당 공무원 ; MZ세대 ; 기성세대 ; 동기유형 ; 직무만족
338
제주특별자치도
vii, 85p. ; 26 cm
지도교수: 김상미
I804:49002-00000001228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사회복지서비스가 다양하게 증가하고 대상자가 보편화 되면서 사회복지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은 전문적이면서 종합적이고 높은 수준의 질적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다. 이런 환경 속에...
사회복지서비스가 다양하게 증가하고 대상자가 보편화 되면서 사회복지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은 전문적이면서 종합적이고 높은 수준의 질적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다. 이런 환경 속에서 공직사회에서는 MZ세대와 기성세대 간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세대별 동기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조직의 성과, 업무의 효율성 및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의 바람직한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2024년 1월 3일부터 약 1개월간 제주특별자치도 내에 사회복지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 34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직접 배포 및 우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 5부를 제외하고 343부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따른 본 연구의 주요 결과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담당 공무원 전체의 경우 내재적 동기의 하위요인 중 성취감, 외재적 동기의 하위요인 중 승진, 보수 및 보상, 후생복지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MZ세대 사회복지담당 공무원은 외재적 동기 하위요인 중 승진, 보수 및 보상, 후생복지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MZ세대 사회복지담당 공무원은 기성세대와는 다르게 승진, 보수 및 보상, 후생복지가 직무만족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성세대 사회복지담당 공무원은 내재적 동기 하위요인 중 도전, 외재적 동기 하위요인 중 업무자율성이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기성세대 사회복지담당 공무원은 MZ세대와는 다르게 도전과 업무자율성이 직무만족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MZ세대와 기성세대 사회복지담당 공무원 모두에게 내재적 동기 하위요인 중 성취감이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MZ세대와 기성세대 사회복지담당 공무원의 공통점은 성취감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MZ세대와 기성세대 사회복지담당 공무원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는 공통 요인과 다른 요인이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세대별 맞춤형 직무만족 향상 방안 및 세대 간 갈등 해소 대응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주제어 : 사회복지담당 공무원, MZ세대, 기성세대, 동기유형, 직무만족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social welfare services have increased in various ways and targets have become more common,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social welfare work have provided professional, comprehensive, and high-quality services. In this environment, conflict betwee...
As social welfare services have increased in various ways and targets have become more common,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social welfare work have provided professional, comprehensive, and high-quality services. In this environment, conflict between the MZ generation and the older generation is intensifying in the public off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generational motivation types on job satisfaction and provide basic data for preparing a plan that can ultimately lead to desirable changes in organizational performance, work efficiency, and social welfare service provision.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direct distribution of questionnaires and mail to 348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social welfare work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for about a month from January 3, 2024, and 343 copies were used for the study, excluding 5 copies of unfaithful response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3.0 program.
The main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all social welfare officials, among the sub-factors of intrinsic motivation, achievement among the sub-factors of intrinsic motivation, promotion, remuneration and compensation, and welfare among the sub-factors of external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for MZ generation social welfare officials, promotion, remuneration and compensation, and welfare among the sub-factors of external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other words, for MZ generation social welfare officials, promotion, remuneration and compensation, and welfare were found to be factors that increase job satisfaction, unlike older generations.
Third, for the social welfare officials of the older generation, challenge among the intrinsic motivation sub-factors and work autonomy among the external motivation sub-fact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other words, unlike the MZ generation, challenges and work autonomy were found to be factors that increase job satisfaction for the older generation of social welfare officials.
Lastly, among the intrinsic motivation sub-factors of both the MZ generation and the older generation of social welfare officials, a sense of accomplish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other words, what the MZ generation and the older generation of social welfare officials have in common is that a sense of accomplishment affects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was verified that there are common factors and other factors that improve job satisfaction of MZ generation and older generation social welfare officials. Through these results, the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data for preparing customized job satisfaction improvement measures for each generation and response to conflict resolution between generations.
Keywords : Social Welfare Officials, MZ Generation, Older Generation, Motivation Types, Job Satisfaction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