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순환식 탄력밴드 운동이 경계성 비만중년여성들의 심혈관질환 유발인자와 간 기능 요인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irculating Elastic Band Exercise on Cardiovascular Disease Inducing Factors and Liver Functional Factors in Borderline Obese Middle-aged Wo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462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irculatory band exercise on cardiovascular disease-inducing factors and liver function improvement in middle-aged women with borderline obesity.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In the cardiovascular disease inducing facto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measurement period and the groups in all factors of blood lipid,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only the measurement period × the groups. In liver func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surement period, groups, measurement period×groups in all factors in AST and ALT, and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and only γ-GTP showed an interaction effect.
      Summarizing the above, it was found that circulatory band exercise had a positive effect on cardiovascular disease-causing factors and liver function in borderline obese middle-aged women. An improved form was shown in the exercise group.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better results can be derived if these exercises are carried out with a more detailed and prolonged exercise prescrip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irculatory band exercise on cardiovascular disease-inducing factors and liver function improvement in middle-aged women with borderline obesity.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In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irculatory band exercise on cardiovascular disease-inducing factors and liver function improvement in middle-aged women with borderline obesity.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In the cardiovascular disease inducing facto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measurement period and the groups in all factors of blood lipid,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only the measurement period × the groups. In liver func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surement period, groups, measurement period×groups in all factors in AST and ALT, and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and only γ-GTP showed an interaction effect.
      Summarizing the above, it was found that circulatory band exercise had a positive effect on cardiovascular disease-causing factors and liver function in borderline obese middle-aged women. An improved form was shown in the exercise group.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better results can be derived if these exercises are carried out with a more detailed and prolonged exercise prescrip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소희영 ; 안숙희 ; 송라윤 ; 김현리, "폐경 후 여성의 비만, 골민도와 심혈관질환 위험도 간의 관계"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16 (16): 224-233, 2010

      2 송상훈, "타우린 섭취가 Aerobics 참여 중년여성의 혈중지질 및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대학원 2012

      3 김미연 ; 서영환, "이상지질혈증 위험군의 줌바댄스 운동이 지질관련 변인과 혈관나이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30 (30): 881-888, 2021

      4 천우필, "유산소 운동이 알코올 섭취 흰쥐의 혈중 알콜농도 및 GOT,GPT에 미치는 영향" 상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5 정순임, "울산지역 중학생의 비만상태에 따른 혈액 지질성상과 식생활 분석 및 영양교육 지침안 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9

      6 최은수 ; 김경태, "여성 고령자의 낙상경험 유무와 만성질환 유병률 및 체력과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43 (43): 341-350, 2004

      7 정유진, "스피닝 운동이 성인비만여성의 간수치와 총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8 김명섭, "숙취 후 유산소 운동과 사우나요법 적용이 혈중 알코올 농도 및 간기능 효소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18

      9 김기홍 ; 김종신 ; 박우영, "세트별 강도변화에 따른 벤치프레스 후 주동근의 운동능력, 근활성도(iEMG), 근피로도(MEF) 및 근손상지표(CK)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1 (51): 379-387, 2012

      10 김태헌, "비만과 지방간질환" 68 (68): 347-349, 2005

      1 소희영 ; 안숙희 ; 송라윤 ; 김현리, "폐경 후 여성의 비만, 골민도와 심혈관질환 위험도 간의 관계"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16 (16): 224-233, 2010

      2 송상훈, "타우린 섭취가 Aerobics 참여 중년여성의 혈중지질 및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대학원 2012

      3 김미연 ; 서영환, "이상지질혈증 위험군의 줌바댄스 운동이 지질관련 변인과 혈관나이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30 (30): 881-888, 2021

      4 천우필, "유산소 운동이 알코올 섭취 흰쥐의 혈중 알콜농도 및 GOT,GPT에 미치는 영향" 상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5 정순임, "울산지역 중학생의 비만상태에 따른 혈액 지질성상과 식생활 분석 및 영양교육 지침안 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9

      6 최은수 ; 김경태, "여성 고령자의 낙상경험 유무와 만성질환 유병률 및 체력과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43 (43): 341-350, 2004

      7 정유진, "스피닝 운동이 성인비만여성의 간수치와 총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8 김명섭, "숙취 후 유산소 운동과 사우나요법 적용이 혈중 알코올 농도 및 간기능 효소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18

      9 김기홍 ; 김종신 ; 박우영, "세트별 강도변화에 따른 벤치프레스 후 주동근의 운동능력, 근활성도(iEMG), 근피로도(MEF) 및 근손상지표(CK)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1 (51): 379-387, 2012

      10 김태헌, "비만과 지방간질환" 68 (68): 347-349, 2005

      11 조홍근, "비만과 심혈관질환" 77-82, 2004

      12 유재희 ; 조현숙, "복합운동과 걷기운동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체구성, 건강상태 지각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비교 -마른 비만 대상자를 중심으로-"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6 (26): 93-105, 2009

      13 오운용, "고콜레스테롤 집단의 실시간 비대면 복합운동이 건강체력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2022

      14 김연성, "걷기 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간 기능 및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대학원 2014

      15 Shaw C. S., "The effect of exercise and nutrition on instramuscular fat metabolism and insulin sensitivity" 30 : 13-34, 2010

      16 Lopez-Canti, L. F., "Syndrome plurimetabolico en el ni no Obeso" 10 : 46-51, 2002

      17 Gang, S. G., "Human Biology" Academic books 418-, 2004

      18 Horowitz, J. F, "Fatty acid mobilization from adipose tissue during exercise" 14 (14): 386-392, 2003

      19 Kyeong-YaeSohng ; Jung-SoonMoon ; Hae-HiangSong ; Kwang-SooLee ; 김영숙, "Fall Prevention Exercise Program for Fall Risk Factor Reduction of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in Korea" 연세대학교의과대학 44 (44): 883-891, 2003

      20 Michal S, R., "Concentric and Eccentric Time-Under-Tension during Strengthening Exercises:Validity and Reliability of Stretch-Sensor Recordings from an Elastic Exercise-Band" 8 (8): 8-11, 2013

      21 Kanai, H, "Cloase correlation of intra-abdominal fat accumulation to hypertension in obese women" 16 (16): 484-490, 1990

      22 Friedman, S. L., "Acetaldehyde and alcoholic fibrogenesis : fuel to the fire, but not the spark" 12 : 609-612, 1990

      23 최현아, "8주간의 유산소운동과 resveratrol 섭취가 제2형 당뇨병 여성노인의 체력, 인슐린 저항성, 간기능 및 혈압에 미치는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24 김윤식 ; 신상근, "16주간 저강도 재가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여성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 20 (20): 177-183,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발육발달 -> 한국발육발달학회지 KCI등재후보
      2006-05-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 of Physical Growth and Motor Developm -> The Korean Journal of Growth and Development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8 0.88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9 0.95 0.83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