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아로마 피부 마사지와 아로마 흡입 마사지의 통증 감소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 : 경부통증 환자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3405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피부 도포를 이용한 아로마오일 마사지와 아로마 향 흡입법을 이용한 일반오일 마사지가 경부통증 환자의 통증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그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pre-posttest control group design)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S특수학교에 근무하는 직원 및 만20세 이상의 학생으로 경부에 통증을 호소하며, 실험에 동의한 환자 30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2007년 9월 20일에서 동년 10월 20일이었고, 실험 기간은 10월 22일에서 11월 4일이었으며, 실험군 15명, 비교군 15명으로 구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군에게는 라벤더, 주니퍼베리, 로즈마리, 페퍼민트 오일을 3:3:2:1의 비율로 혼합한 향유를 호호바 오일에 3%로 희석하여 피부에 도포하는 방법으로 아로마오일 마사지를 1회 10분간, 주 3회 2주 동안 실시하였고, 비교군에게는 동일한 오일을 사용하여 40℃의 따뜻한 물이 담긴 대접에 향유 두 방울을 떨어뜨리고 20Cm 간격을 두어 일반오일로 마사지를 받는 10분간 흡입하게 하였으며, 실험 기간은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치료 방법에 따른 실험 전·후의 통증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주관적 척도로는 시각적 상사 척도(VAS)를 사용하여 통증 점수를, 객관적 척도로는 압력 통각계를 사용하여 압통 역치를 각각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SPSS v.10을 이용하였고, 두 집단 내 사전·사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대응 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집단 간의 변화량 차이에 대한 분석에는 독립 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 t-test)을 시행하였으며, 통증 점수와 압통 역치의 상관관계 계수를 파악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로마 피부 마사지를 받은 실험군은 마사지를 받기 전보다 유의한 통증 점수의 감소 및 압통 역치의 증가를 나타냈다(p<.05).
      둘째, 아로마 흡입 마사지를 받은 비교군은 마사지를 받기 전보다 유의한 통증 점수의 감소 및 압통 역치의 증가를 나타냈다(p<.05).
      셋째, 아로마 피부 마사지를 받은 실험군과 아로마 흡입 마사지를 받은 비교군 간의 통증 점수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압통 역치는 아로마 피부 마사지를 받은 실험군이 아로마 흡입 마사지를 받은 비교군 보다 더 크게 증가하였다(p<.05).
      결론적으로 경부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2주간 실시한 아로마 피부 마사지와 아로마 흡입 마사지 모두 통증 감소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통증 감소를 위한 적극적인 치료 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아로마 피부 마사지와 아로마 흡입 마사지 간의 통증 감소 효과에 대한 차이 비교에서는 객관적 척도인 압통 역치를 근거로, 아로마오일을 피부에 도포하여 마사지하는 방법이 아로마 향을 흡입하면서 일반오일로 마사지하는 방법 보다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음으로 임상에서 경부통증 감소를 위해 아로마 마사지를 시행할 때에는 피부에 도포하는 방법을 권하며, 추후에는 좀 더 다양한 적용방법의 연구와 과학적인 검증을 통한 비교가 필요할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피부 도포를 이용한 아로마오일 마사지와 아로마 향 흡입법을 이용한 일반오일 마사지가 경부통증 환자의 통증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그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사전·사...

      이 연구는 피부 도포를 이용한 아로마오일 마사지와 아로마 향 흡입법을 이용한 일반오일 마사지가 경부통증 환자의 통증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그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pre-posttest control group design)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S특수학교에 근무하는 직원 및 만20세 이상의 학생으로 경부에 통증을 호소하며, 실험에 동의한 환자 30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2007년 9월 20일에서 동년 10월 20일이었고, 실험 기간은 10월 22일에서 11월 4일이었으며, 실험군 15명, 비교군 15명으로 구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군에게는 라벤더, 주니퍼베리, 로즈마리, 페퍼민트 오일을 3:3:2:1의 비율로 혼합한 향유를 호호바 오일에 3%로 희석하여 피부에 도포하는 방법으로 아로마오일 마사지를 1회 10분간, 주 3회 2주 동안 실시하였고, 비교군에게는 동일한 오일을 사용하여 40℃의 따뜻한 물이 담긴 대접에 향유 두 방울을 떨어뜨리고 20Cm 간격을 두어 일반오일로 마사지를 받는 10분간 흡입하게 하였으며, 실험 기간은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치료 방법에 따른 실험 전·후의 통증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주관적 척도로는 시각적 상사 척도(VAS)를 사용하여 통증 점수를, 객관적 척도로는 압력 통각계를 사용하여 압통 역치를 각각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SPSS v.10을 이용하였고, 두 집단 내 사전·사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대응 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집단 간의 변화량 차이에 대한 분석에는 독립 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 t-test)을 시행하였으며, 통증 점수와 압통 역치의 상관관계 계수를 파악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로마 피부 마사지를 받은 실험군은 마사지를 받기 전보다 유의한 통증 점수의 감소 및 압통 역치의 증가를 나타냈다(p<.05).
      둘째, 아로마 흡입 마사지를 받은 비교군은 마사지를 받기 전보다 유의한 통증 점수의 감소 및 압통 역치의 증가를 나타냈다(p<.05).
      셋째, 아로마 피부 마사지를 받은 실험군과 아로마 흡입 마사지를 받은 비교군 간의 통증 점수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압통 역치는 아로마 피부 마사지를 받은 실험군이 아로마 흡입 마사지를 받은 비교군 보다 더 크게 증가하였다(p<.05).
      결론적으로 경부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2주간 실시한 아로마 피부 마사지와 아로마 흡입 마사지 모두 통증 감소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통증 감소를 위한 적극적인 치료 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아로마 피부 마사지와 아로마 흡입 마사지 간의 통증 감소 효과에 대한 차이 비교에서는 객관적 척도인 압통 역치를 근거로, 아로마오일을 피부에 도포하여 마사지하는 방법이 아로마 향을 흡입하면서 일반오일로 마사지하는 방법 보다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음으로 임상에서 경부통증 감소를 위해 아로마 마사지를 시행할 때에는 피부에 도포하는 방법을 권하며, 추후에는 좀 더 다양한 적용방법의 연구와 과학적인 검증을 통한 비교가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pre-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for verifying the influence of aroma oil massage using the spread of oil onto skin versus general oil massage using the inhalation of aroma flavor on pain reduction in patients with cervical pain, and for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The study targeted 30 patients with cervical pain who were composed of employees in S special school in Seoul and students aged 20 years or over, and who agreed to receive the test.
      The test lasted from October 22 to November 4, 2007, and the 30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ith 15 people in a test group and 15 people in a comparison group each.
      The study offered aroma skin massage to the test group and aroma inhalation massage to the comparison group 3 times a week for 2 weeks. Then, in order to identify any change in pain before and after the test, the study employed a visual analogue scale for producing a pain point, and measured the threshold value of pain from pressure for each case by using a pressure algometer.
      The study used the SPSS v.10 for a data analysis, and utilized a paired sample t-test to identify the pre- and post-changes between the two groups as well as an independent sample t-test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a vector between the groups. In addition, the study employed 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for measur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pain score and the threshold value of pain from pressure. The finding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in the test group, the subjective pain score of those given aroma skin massage was shown to decrease more than one before receiving the massage, but the threshold value of pain from pressure increased (p<.05).
      Second, in comparison group, the subjective pain score of those given aroma inhalation massage was shown to decrease more than one before receiving the massage, but the threshold value of pain from pressure increased (p<.05).
      Third, the threshold value of pain from pressure of those given aroma skin massage in the test group was shown to significantly increase more than those given aroma inhalation massage in the comparison group, but the pain score did not post a significant decrease statistically (p<.05).
      In conclusion, both aroma skin massage and aroma inhalation massage performed for 2 weeks for cervical pain reduction were found significantly effective for reducing pain, and are supposed to be utilized as an aggressive therapy for pain reduction. Also, in comparison to the pain reduction effect between aroma skin massage and aroma inhalation massage, it was shown that massage with the application of aroma oil onto skin was more effective than massage with aroma flavor inhalation and the use of a general oil when based on the threshold value of pain from pressure, which is an objective scale. Further research using scientific tests that employ a greater number of various application methods is necessary.
      번역하기

      This study is pre-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for verifying the influence of aroma oil massage using the spread of oil onto skin versus general oil massage using the inhalation of aroma flavor on pain reduction in patients with cervical pain, and fo...

      This study is pre-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for verifying the influence of aroma oil massage using the spread of oil onto skin versus general oil massage using the inhalation of aroma flavor on pain reduction in patients with cervical pain, and for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The study targeted 30 patients with cervical pain who were composed of employees in S special school in Seoul and students aged 20 years or over, and who agreed to receive the test.
      The test lasted from October 22 to November 4, 2007, and the 30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ith 15 people in a test group and 15 people in a comparison group each.
      The study offered aroma skin massage to the test group and aroma inhalation massage to the comparison group 3 times a week for 2 weeks. Then, in order to identify any change in pain before and after the test, the study employed a visual analogue scale for producing a pain point, and measured the threshold value of pain from pressure for each case by using a pressure algometer.
      The study used the SPSS v.10 for a data analysis, and utilized a paired sample t-test to identify the pre- and post-changes between the two groups as well as an independent sample t-test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a vector between the groups. In addition, the study employed 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for measur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pain score and the threshold value of pain from pressure. The finding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in the test group, the subjective pain score of those given aroma skin massage was shown to decrease more than one before receiving the massage, but the threshold value of pain from pressure increased (p<.05).
      Second, in comparison group, the subjective pain score of those given aroma inhalation massage was shown to decrease more than one before receiving the massage, but the threshold value of pain from pressure increased (p<.05).
      Third, the threshold value of pain from pressure of those given aroma skin massage in the test group was shown to significantly increase more than those given aroma inhalation massage in the comparison group, but the pain score did not post a significant decrease statistically (p<.05).
      In conclusion, both aroma skin massage and aroma inhalation massage performed for 2 weeks for cervical pain reduction were found significantly effective for reducing pain, and are supposed to be utilized as an aggressive therapy for pain reduction. Also, in comparison to the pain reduction effect between aroma skin massage and aroma inhalation massage, it was shown that massage with the application of aroma oil onto skin was more effective than massage with aroma flavor inhalation and the use of a general oil when based on the threshold value of pain from pressure, which is an objective scale. Further research using scientific tests that employ a greater number of various application methods is necessa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 1
      • 제2절 연구 목적 = 3
      • 제3절 연구 가설 = 4
      • 제4절 용어의 정의 = 4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 1
      • 제2절 연구 목적 = 3
      • 제3절 연구 가설 = 4
      • 제4절 용어의 정의 = 4
      • 제2장 이론적 배경 = 7
      • 제1절 경부통증 = 7
      • 제2절 아로마 에센셜오일의 통증 감소 효과 = 9
      • 제3절 아로마 치료 = 12
      • 제3장 연구 방법 = 17
      • 제1절 연구 설계 = 17
      • 제2절 연구 대상 = 17
      • 제3절 연구 수행 절차 = 19
      • 제4절 자료의 수집 과정 및 측정 도구 = 20
      • 제4장 연구 결과 = 22
      • 제1절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비교 = 22
      • 제2절 통증 점수, 압통 역치의 동질성 검정 = 23
      • 제3절 통증 점수의 변화 = 23
      • 제4절 압통 역치의 변화 = 24
      • 제5절 통증 점수와 압통 역치의 상관관계 계수 = 25
      • 제5장 논의 = 26
      • 제6장 결론 및 제언 = 31
      • 참고문언 = 33
      • 부록 = 41
      • Abstract = 4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