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00년대 시의 키치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Kitsch Patterns in the 2000s Poe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959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at this article uses as the subject of discussion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oetry and pop culture in the 2000s. Analyzing these aspects, this paper was overwhelmed by the popular culture of poetry in the 2000sContrary to the conclusions of previo...

      What this article uses as the subject of discussion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oetry and pop culture in the 2000s. Analyzing these aspects, this paper was overwhelmed by the popular culture of poetry in the 2000sContrary to the conclusions of previous studies that they lost political and social consciousness, it is concluded that poetry in the 2000s was established within the agony of various ways of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and society.
      This study distinguished the tendency to use kitsch as a sanction and to induce kitsch itself after examining the kitsch aspect of poetry in the 2000s. Chapter 2 examines works that use kitsch as a sanction in the digital society as a whole. We were able to reveal that these works are reproducing the ambivalent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society and human subjects while conducting criticism on Kitch.
      Meanwhile, Chapters 3 and 4 confirmed that there were two aspects in the 2000s of humanizing kitsch. Chapter 3 confirmed the use of kitsch in a way that alleviates internal conflict by adding cartoon and fairy tale images to anxiety and hostility toward reality. Conversely, Chapter 4 confirmed the tendency to strengthen the kitsch nature of kitsch reality by using pornographic images. Pornistic kitschish has the problem of being a mouthpiece of immoral desire, but it has the potential to be a way of confessing Queer's desire that is not socially approv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이 논의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2000년대 시와 대중문화가 관계 맺는 양상이다. 이러한 양상을 분석하며 본고는 2000년대 시가 대중문화에 압도되었다거나 정치적‧사회적 의식을 상실했...

      이 글이 논의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2000년대 시와 대중문화가 관계 맺는 양상이다. 이러한 양상을 분석하며 본고는 2000년대 시가 대중문화에 압도되었다거나 정치적‧사회적 의식을 상실했다는 선행연구의 결론과 달리 2000년대 시는 자아와 사회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정립 방식에 대한 고뇌 안에서 성립한다는 결론을 얻는다.
      본 연구는 2000년대 시의 키치 양상을 광범하게 살핀 이후 일차적으로 키치를 제재로 삼는 시와 키치 자체를 인유하는 경향을 구분하였다. 2장에서는 디지털 사회 전반의 키치를 제재로 삼은 작품을 살펴보았다. 우리는 이 작품들이 키치에 비판을 수행하면서 디지털 사회와 인간 주체가 맺는 양가적 관계를 재현하고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한편 3장과 4장에서는 좀 더 세밀하게 키치를 인유하는 2000년대 시에 두 가지 양상이 있음을 확인했다. 3장에서는 현실에 대한 불안의식과 적개심에 만화적‧동화적인 이미지를 덧씌움으로써 내적 갈등을 완화하는 방식으로 키치를 활용하는 것을 확인했다. 반대로 4장에서는 포르노적 이미지를 할용하여 키치적 현실의 키치성을 강화하는 경향을 확인했다. 포르노적 키치시는 자칫 비도덕적인 욕망의 발화구가 될 수 있다는 문제를 지니지만, 사회적으로 승인 받지 못하는 퀴어의 욕망을 고백하는 하나의 방식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엄경희, "현대시와 추의 미학" 보고사 2018

      2 이재복, "한국 현대시와 키치" 한국언어문화학회 (36) : 223-248, 2008

      3 유형진, "피터래빗 저격사건" 문예중앙 2005

      4 이승훈, "포스트모더니즘 시론" 세계사 1992

      5 밀란 쿤데라, "커튼" 민음사 2012

      6 카를 로젠크란츠, "추의 미학" 나남 2008

      7 토마스 라마, "전시기(戰時期)애니메이션에 있어 인종의 동물로의 번역" 문학과학사 (93) : 294-323, 2018

      8 정진경, "잔혹한 연애사" 북인 2009

      9 김용수, "자크 라캉" 살림 2008

      10 박석우, "이발소그림" 동연 1999

      1 엄경희, "현대시와 추의 미학" 보고사 2018

      2 이재복, "한국 현대시와 키치" 한국언어문화학회 (36) : 223-248, 2008

      3 유형진, "피터래빗 저격사건" 문예중앙 2005

      4 이승훈, "포스트모더니즘 시론" 세계사 1992

      5 밀란 쿤데라, "커튼" 민음사 2012

      6 카를 로젠크란츠, "추의 미학" 나남 2008

      7 토마스 라마, "전시기(戰時期)애니메이션에 있어 인종의 동물로의 번역" 문학과학사 (93) : 294-323, 2018

      8 정진경, "잔혹한 연애사" 북인 2009

      9 김용수, "자크 라캉" 살림 2008

      10 박석우, "이발소그림" 동연 1999

      11 이민하, "음악처럼 스캔들처럼" 문학과지성사 2008

      12 황병승, "여장남자 시코쿠" 랜덤하우스코리아 2005

      13 이원, "야후! 의 강물에 천개의 달이 뜬다" 문학과지성사 2001

      14 로브 쉴즈, "앙리 르페브르의 재조명; 앙리 르페브르 일상생활의 철학" 한국공간환경학회 (14) : 10-35, 2000

      15 장세룡, "앙리 르페브르의 일상생활 비판 - 문화이론적 접근 -" 호남사학회 (25) : 283-317, 2005

      16 유하, "안 이쁜 신부도 있나 뭐" 세계사 1991

      17 이브-알랭 부아, "비정형" 미진사 2013

      18 신형철, "몰락의 에티카" 문학동네 2008

      19 M. 칼리니스쿠, "모더니티의 다섯 얼굴" 시각과 언어 1993

      20 앙리 르페브르, "모더니티 입문" 동문선 1999

      21 김홍중, "마음의 사회학" 문학동네 2009

      22 앙리 르페브르, "리듬분석" 갈무리 2013

      23 조창섭, "독일현대문학"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24 조주연, "대중문화와 키치" 현대미술학회 2 : 207-245, 1999

      25 김민정, "날으는 고슴도치 아가씨" 열림원 2005

      26 김경주, "기담" 문학과지성사 2009

      27 김현, "글로리홀" 문학과지성사 2014

      28 앙리 르페브르, "공간의 생산" 에코리브르 2011

      29 테오도르 아도르노, "계몽의 변증법" 문학과지성사 1993

      30 아즈마 히로키, "게임적 리얼리즘의 탄생" 현실문화 2012

      31 Ruth Holliday, "Kitsch!"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12

      32 함돈균, "2000년대 시의 니힐리즘 연구" 한국문예창작학회 7 (7): 75-101,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