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만 2세 영아를 대상으로 한 로봇을 활용한 어린이집 적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보육 현장에의 R-러닝 도입의 가능성을 알아보고 지속가능한 학제 간 융합실천 모델로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259872
201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79-111(33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만 2세 영아를 대상으로 한 로봇을 활용한 어린이집 적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보육 현장에의 R-러닝 도입의 가능성을 알아보고 지속가능한 학제 간 융합실천 모델로서...
본 연구는 만 2세 영아를 대상으로 한 로봇을 활용한 어린이집 적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보육 현장에의 R-러닝 도입의 가능성을 알아보고 지속가능한 학제 간 융합실천 모델로서의 다양한 영아보육에 대한 접근과 영아 기관적응 프로그램 개선 방안에 대한 통찰력과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관련 문헌 고찰,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한 실태 및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로봇을 활용한 영아 어린이집 적응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을 설정하여 시안을 개발한 후 전문가 협의를 통해 타당성을 검토 받았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적용을 위한 연구대상은 B시 소재 어린이집 2곳에 재원 중인 만 2세 영아 42명으로, 실험집단에 속한 21명의 영아에게는 18회기의 프로그램 활동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게는 기존의 보육과정에 준한 초기 적응 프로그램 활동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만 2세 영아의 기관적응력과 놀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robot-based early adaptation support program for toddlers in child care program. It also aimed at enhancing the quality of the early adaptation support program through the convergence of technology and edu-c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robot-based early adaptation support program for toddlers in child care program. It also aimed at enhancing the quality of the early adaptation support program through the convergence of technology and edu-care. Throughout this endeavor, it was expected that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robot-based child care program could be examined. Prior to the actual development of the program, a review of literature and surveying 250 child care teachers for identifying elements of the program and their needs were carried out. The program elements and teachers’ needs for the program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objectives, cont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e developed program was implemented in 42 toddlers enrolled in two child care centers in B metropolitan city. In findings, the progra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oddler’s level of organizational adaptation and playfulness in positive manner. Based on the findings, it was concluded that the unique aspects of the robot used in the program such as mobility, motional function, interactivity were vital to make differences in toddlers’ early adaptation. Therefore, child care teachers’ successful early adaptation support program would be implemented, if teachers could make their role under supportive environments in which the well designed early adaptation program and adequate teacher education were provid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전현주, "학기 중 입학한 영아의 초기 적응 과정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533-558, 2012
2 임명희, "초기적응과정에 대한 영아 사례 연구" 한국보육학회 8 (8): 73-103, 2008
3 황선영, "첫 입소시기에 따른 만 2세 영아의 보육시설 적응과정 연구: 사회·정서적 유능성, 외현적·내면적 문제행동, 조절 문제 중심으로"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1 (11): 149-168, 2012
4 김영실, "지능형 로봇을 활용한 동시활동이 4세 유아의 음운인식과 단어재인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389-409, 2011
5 현은자, "지능형 로봇을 활용한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175-196, 2008
6 유구종, "지능형 로봇 제니보와의 놀이상황 분석을 통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의미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281-312, 2011
7 보건복지부,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보건복지부 2013
8 구수연, "적응적 측면을 고려한 1∼2세 영아 프로그램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9 (9): 191-210, 2005
9 구수연, "재원영아의 적응 특성 이해"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331-359, 2006
10 박민혜, "유치원의 신입 원아 오리엔테이션 및 초기적응 과정의 운영실태와 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 전현주, "학기 중 입학한 영아의 초기 적응 과정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533-558, 2012
2 임명희, "초기적응과정에 대한 영아 사례 연구" 한국보육학회 8 (8): 73-103, 2008
3 황선영, "첫 입소시기에 따른 만 2세 영아의 보육시설 적응과정 연구: 사회·정서적 유능성, 외현적·내면적 문제행동, 조절 문제 중심으로"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1 (11): 149-168, 2012
4 김영실, "지능형 로봇을 활용한 동시활동이 4세 유아의 음운인식과 단어재인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389-409, 2011
5 현은자, "지능형 로봇을 활용한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175-196, 2008
6 유구종, "지능형 로봇 제니보와의 놀이상황 분석을 통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의미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281-312, 2011
7 보건복지부,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보건복지부 2013
8 구수연, "적응적 측면을 고려한 1∼2세 영아 프로그램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9 (9): 191-210, 2005
9 구수연, "재원영아의 적응 특성 이해"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331-359, 2006
10 박민혜, "유치원의 신입 원아 오리엔테이션 및 초기적응 과정의 운영실태와 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1 이연승, "유치원의 로봇활용 현황 및 수업 운영 실태"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107-132, 2013
12 황윤세, "유치원 운영시간에 따른 유아 행동과 적응 간의 관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9 (9): 187-203, 2010
13 김광웅,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3 (3): 5-42, 2003
14 정은혜,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15 현은자, "유아의 교육용 로봇에 대한 인식과 사용경험과의 관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9 (9): 189-205, 2010
16 현은자, "유아의 교사보조로봇에 대한 정서와 역할인식 변화"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171-186, 2010
17 윤현민, "유아교육용 서비스 로봇에 대한 교사의 수용과 유아-로봇 상호작용"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0
18 전은경, "유아교육기관의 오리엔테이션과 초기적응 프로그램에 관한 운영실태 및 교사 인식"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1 (11): 131-167, 2012
19 현은자,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교사보조 로봇에 대한 유아의 경험과 인식" 한국아동학회 31 (31): 267-282, 2010
20 현은자, "유아교육 기관용 지능형 로봇의 ‘우리반’ 콘텐츠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9 (9): 482-491, 2009
21 심숙영, "유아교사 대상 로봇과 로봇활용효과에 대한 인식과 구성주의 신념의 관계분석" 한국아동권리학회 15 (15): 227-250, 2011
22 박성덕, "유아 교육용 교사보조로봇 경험 이야기"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253-276, 2011
23 최지영, "영아의 초기 어린이집 적응이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5 (15): 75-100, 2011
24 소재진,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을 위한 교사의 지도 방법 연구"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2007
25 구수연,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5
26 이용주, "영아의 어린이집 생활세계 구성 과정"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27 오종은, "영아의 애착안정성과 어린이집 초기적응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8 홍윤정, "영아의 보육시설 초기 적응 지도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9 서소정, "영아의 보육기관적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영아발달, 기질, 교사-영아간의 상호작용, 어머니의 양육 및 보육신념과 적응지원 전략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 16 (16): 259-288, 2009
30 장은미, "영아의 기질, 조기교육경험,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어린이집 초기적응에서의 문제행동"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1 구수연, "영아-교사 상호작용의 이론과 실제" 정민사 2010
32 김희진, "영아 초기적응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5-25, 2008
33 김윤숙, "영아 초기적응 과정에서의 교사-영아, 교사-부모와의 관계에서 드러난 교사의 어려움"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121-146, 2011
34 김민지, "어머니의 격리불안 및 걸음마기 아동의 기질과 그들의 종일반 탁아기관에서의 적응"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35 김혜수, "어머니와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기질과 유치원에서의 행동 및 적응과의 관계"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36 이은경, "어린이집에서의 영아 초기 적응프로그램 실시 현황"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7 이용주, "어린이집 적응과정에 나타난 만 1세 영아의 체험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9 (9): 169-193, 2004
38 金映希, "아동의 놀이성 군(群) 확인과 관련 변인 탐색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39 신나민, "아동-로봇 친밀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아동학회 29 (29): 97-111, 2008
40 신현정, "보육시설 초기적응에 대한 보육교사 인식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41 김현주, "보육시설 적응 프로그램의 개별 실시에서 나타난 영아의 적응과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42 김희진, "보육시설 유형에 따른 영아 초기적응 지도 실태: 국공립과 민간 보육 시설을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소 40 (40): 131-157, 2009
43 김경은, "만 2세반 신입원아와 재원아를 위한 적응 지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4 김민영, "만 2세 영아의 놀이성과 보육시설 기관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65-89, 2009
45 임명희, "만 1세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에 관한 소규모 연구" 한국보육학회 7 (7): 1-32, 2007
46 한정혜, "로봇콘텐츠 프로듀서 되기" 성안당 2011
47 이정욱, "로봇기반교육(R-Learning) 실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에 대한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353-378, 2011
48 이종향, "로봇 활용 수업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0 (30): 153-171, 2012
49 현은자, "교육용 지능형 서비스로봇에 대한 유아의 인식" 2009
50 정지현, "교사보조로봇에 대한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양상과 이미지"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9 (9): 1-30, 2010
51 김경철, "교사보조로봇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25-42, 2010
52 정한울, "교사들이 인식한 유치원 R-러닝 수업활동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1 (11): 27-47, 2012
53 한정혜, "교사 보조 로봇의 교육적 활용" 한국정보교육학회 10 (10): 155-162, 2006
54 단현국, "교과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개발 및 활용방안 모색" 한국교원대학교 출판부 3-13, 2004
55 우현경, "걸음마기 유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교육과학연구소 27 (27): 29-50, 1998
56 Ladd, G. W., "The role of chronic peer difficulties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psychological adjustment problems" 74 : 1344-1367, 2003
57 Jewsuwan, R.,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perceptions of temperament and children’s adjustment to preschool" 8 : 33-51, 1992
58 Howes, C., "The changing experience of child care : changes in teachers and in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social relationship" 8 : 15-32, 1993
59 Mashburn, A., "Socal relationships and school readiness" 17 : 151-176, 2006
60 김경철, "R-러닝을 경험한 유치원 교사들의 R-러닝 수용에 대한 인식 연구: 콘텐츠와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9 (9): 249-269, 2010
61 Ladd, G. W., "Predicting children’s social and school adjustment following the transition from preschool to kindergarten" 58 : 1168-1189, 1987
62 Lieberman, J. N., "Playfulness : its relationship to imagination and creativity" Academic Press 1977
63 Kanda, T., "Interactive robots as social partners and peer tutors for children : A field trial" 19 : 61-84, 2004
64 Fox, N. A., "Individual differences in preschool entry behavior" 9 : 211-216, 1989
65 Hartup, W. W.,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4. Socialization,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 Wiley 103-196, 1983
66 Cole, P. M., "Emotion regulation as a scientific construct : methodological challenges and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research" 75 (75): 317-333, 2004
67 Barnett, L. A., "Developmental benefit of play for children" 22 (22): 138-153, 1998
68 Howes, C., "Children’s relationship with peers : differential associations with aspects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65 : 253-263, 1994
69 Howes, C., "Attachment and child care : Relationship with mother and care giver" 3 : 403-415, 1988
70 박은미, "3세 유아의 유치원 생활적응에 관한 질적연구 교사와의 사회적 관계형성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7 (7): 9-234, 2003
71 보건복지부, "2010년 보육통계" 보건복지부 2011
72 채영란, "1세 영아의 보육시설 적응 프로그램 및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2 (12): 41-67, 2008
나눔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나눔 교육 활동이 유아의 행복감 및 또래 놀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4-2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For Children`S Media ->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Joural of Children's Media -> Journal of Children’s Media & Education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 | 1.6 | 1.9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6 | 1.85 | 2.256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