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생 시선으로 미래교육 바라보기 : 학생 주도성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Looking at Future Education from Students’ Points of View: Exploring Application Possibilities of a Student Agency Driven Project in High School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824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problems and prospects of high school education based on the viewpoints of students and explored application possibilities of the student agency driven project in high school education. For this purpose, researchers devised the Student Agency Driven Action Research (SADAR) as a research method. Students in nine high schools in Kyu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project an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the project, five categories of current situations and visions of high school education were found. The categories were: “the purpose of learning and the meaning of school,”“the content and process of learning,”“the way of learning, the way of evaluation, and the future,” and “the voice of students’ life  in school.” This study provides botha possible research model which strengthens student agency in education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future high school educ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problems and prospects of high school education based on the viewpoints of students and explored application possibilities of the student agency driven project in high school education. For this purpose, researchers devised the...

      This study investigated problems and prospects of high school education based on the viewpoints of students and explored application possibilities of the student agency driven project in high school education. For this purpose, researchers devised the Student Agency Driven Action Research (SADAR) as a research method. Students in nine high schools in Kyu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project an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the project, five categories of current situations and visions of high school education were found. The categories were: “the purpose of learning and the meaning of school,”“the content and process of learning,”“the way of learning, the way of evaluation, and the future,” and “the voice of students’ life  in school.” This study provides botha possible research model which strengthens student agency in education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future high school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은 미래 학습의 핵심으로 국제적인 관심을 받고 있지만, 현행 교육 정책은 여전히 학생을 배제한 채 결정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터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시선으로 우리 고등학교 교육의 현실을 바라보고 미래교육을 예측하며, 학습자가 주도하는 프로젝트가 고교 교육에서 어떻게 적용가능한지를 살펴보았다. 학생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담아내고자 본 연구는 학생 주도 프로젝트 실행 기법(Student Agency Driven Action Research, SADAR)을 구안하고 적용하였다. 경기도의 아홉 개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이 제안하고 만들어가는 교육정책’이라는 주제로 ‘미래교육 제안 프로젝트’를 실시한 결과, 고교교육의 현황 및 전망에 대하여 첫째, 배움의 목적과 학교의 의미, 둘째, 배움의 내용과 과정, 셋째, 배움의 방식과 평가, 그리고 사회적 관계, 넷째, 꿈과 진로, 그리고 미래, 다섯째 학교에서의 삶과 학생의 목소리의 총 다섯 개 영역으로 제시하였다. 향후 교육을 고민하고 미래를 전망할 때 학생들을 보다 적극적인 교육의 주체로 인식하는 노력이 요청된다.
      번역하기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은 미래 학습의 핵심으로 국제적인 관심을 받고 있지만, 현행 교육 정책은 여전히 학생을 배제한 채 결정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터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은 미래 학습의 핵심으로 국제적인 관심을 받고 있지만, 현행 교육 정책은 여전히 학생을 배제한 채 결정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터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시선으로 우리 고등학교 교육의 현실을 바라보고 미래교육을 예측하며, 학습자가 주도하는 프로젝트가 고교 교육에서 어떻게 적용가능한지를 살펴보았다. 학생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담아내고자 본 연구는 학생 주도 프로젝트 실행 기법(Student Agency Driven Action Research, SADAR)을 구안하고 적용하였다. 경기도의 아홉 개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이 제안하고 만들어가는 교육정책’이라는 주제로 ‘미래교육 제안 프로젝트’를 실시한 결과, 고교교육의 현황 및 전망에 대하여 첫째, 배움의 목적과 학교의 의미, 둘째, 배움의 내용과 과정, 셋째, 배움의 방식과 평가, 그리고 사회적 관계, 넷째, 꿈과 진로, 그리고 미래, 다섯째 학교에서의 삶과 학생의 목소리의 총 다섯 개 영역으로 제시하였다. 향후 교육을 고민하고 미래를 전망할 때 학생들을 보다 적극적인 교육의 주체로 인식하는 노력이 요청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미경, "학제개편의 쟁점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17

      2 남미자, "학습자 주도성의 교육적 함의와 공교육에서의 실현가능성 탐색" 경기도교육연구원 2019

      3 박상준,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에 기초한 교육의 혁신 방안: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765-787, 2020

      4 김경애, "학생 수 감소 시대의 미래지향적 교육체제조성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5

      5 Rose, T, "평균의 종말" 21세기 북스 2016

      6 여상한, "초등학교 프로젝트중심학습 설계모형의 실행전략 개발" 한국교육공학회 33 (33): 869-900, 2017

      7 Spradley, J. P, "참여관찰법" 시그마프레스 2006

      8 구교준, "자유안정성 혁명: 행복하고 혁신적인 대한민국을 위한 제안" 2018

      9 홍영란, "세대통합을 위한 교육·정보체제 개선 전략연구(II): 미래전망 및 세대통합성 진단검사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2014

      10 Babbie, E. R, "사회조사방법론" CENGAGE Learning 2007

      1 정미경, "학제개편의 쟁점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17

      2 남미자, "학습자 주도성의 교육적 함의와 공교육에서의 실현가능성 탐색" 경기도교육연구원 2019

      3 박상준,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에 기초한 교육의 혁신 방안: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765-787, 2020

      4 김경애, "학생 수 감소 시대의 미래지향적 교육체제조성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5

      5 Rose, T, "평균의 종말" 21세기 북스 2016

      6 여상한, "초등학교 프로젝트중심학습 설계모형의 실행전략 개발" 한국교육공학회 33 (33): 869-900, 2017

      7 Spradley, J. P, "참여관찰법" 시그마프레스 2006

      8 구교준, "자유안정성 혁명: 행복하고 혁신적인 대한민국을 위한 제안" 2018

      9 홍영란, "세대통합을 위한 교육·정보체제 개선 전략연구(II): 미래전망 및 세대통합성 진단검사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2014

      10 Babbie, E. R, "사회조사방법론" CENGAGE Learning 2007

      11 Greenwood, D. J., "사회개혁과 교육실천을 위한 실행연구 입문" 학지사 2007

      12 김도기, "미래학교의 개념 및 공간 설계의 방향 탐색" 교육연구원 35 (35): 119-146, 2019

      13 조윤정, "미래학교 체제 연구: 학습자 주도성을 중심으로" 경기도교육연구원 2017

      14 우천식, "미래지향적 정책지식생태계의 활성화" 25 : 12-15, 2015

      15 김지하, "미래지향적 대입제도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7

      16 김흥주, "미래지향적 교육생태계 조성을 위한 교육체제 재구조화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6

      17 남운, "미래사회를 대비하는 통섭교육과 통섭교사" 교육연구원 24 (24): 1-16, 2008

      18 박선화, "미래사회 대비 교육과정, 교수학습, 교육평가 비전 연구(II): 유치원 및 초·중등학교의 교수학습 방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19 이근호, "미래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탐색: 교육과정, 교수·학습, 및 교육평가 연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20 최상덕,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핵심역량 교육 및 혁신적 학습생태계 구축(Ⅰ)" 한국교육개발원 2013

      21 박진용, "미래 사회 교육 환경 변화에 따른 교과서 발전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22 박재윤, "미래 교육비전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0

      23 이정현, "마을교육과 길잡이교사" 경인일보

      24 정광희,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대학의교육운영체제 개선방안 연구-대학 진학수요 맞춤형 교육운영체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14

      25 이쌍철, "교육환경 변화를 고려한 방송통신고등학교 역할 재정립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5

      26 Bruner, J. S, "교육의 과정" 배영사 2010

      27 정미경, "교육개혁 전망과 과제(Ⅰ):초·중등교육 영역" 한국교육개발원 2016

      28 유현숙, "고등교육 미래비전 2040 수립을 위한정책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29 신철균, "고교 교육 환경 변화 전망과 과제:학생들의 시선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18

      30 조윤정, "경기도 혁신고등학교 교육과정 구성 및 실행에 관한 사례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4

      31 한국교육개발원, "‘학생들이 제안하고 만들어가는 교육정책’ 학생포럼-미래교육 정책마켓, 우리가 열어요" 한국교육개발원 2018

      32 OECD,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Position paper" 2018

      33 Leadbeater, C, "Student Agency" 2017

      34 김아미, "OECD 학습 나침반 2030: 변혁적 역량과 민주시민교육의 접점" 경기도교육연구원 2019

      35 OECD, "OECD 대한민국 정책센터 역OECD(2016), How’s Life? 2015 웰빙의 측정" OECD 대한민국 정책센터 2015

      36 이상은, "OECD 교육 2030 참여 연구: 역량의 교육 정책적 적용 과제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2018

      37 최수진, "OECD 교육 2030 참여 연구: 역량개념틀 타당성 분석 및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체제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2017

      38 OECD, "OECD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2030–concept note: Student agency for 2030"

      39 Steinberg, L., "OECD Learning Compass 2030 Transformative Competencies: Taking Responsibility" OECD 2019

      40 Bray, B., "How to Personalize Learning :A Practical Guide for Getting Started and Going Deeper" Corwin Publishers 2017

      41 Ministry of Education and Culture, "Eleven most important changes in the reform of general upper secondary education"

      42 Sergiovanni, T. G., "Educational Governance and Administration" Pearson 2009

      43 OECD, "Education at a Glance 2018" OECD Indicators 2018

      44 Ontario Ministry of Education, "Creating Pathways to Success: An Education and Career/Life Planning Program for Ontario Schools" Queen’s Printer for Ontario 2013

      45 Schoon, I, "Conceptualising Learner Agency: A Socio-Ecological Development Approach in OECD, Education and Skills 2030: Conceptual Learning Framework" 2018

      46 최상덕, "21세기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의 미래전략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47 이현우, "2030세대와 참여정치 거버넌스"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3 1.544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