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미경, "학제개편의 쟁점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17
2 남미자, "학습자 주도성의 교육적 함의와 공교육에서의 실현가능성 탐색" 경기도교육연구원 2019
3 박상준,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에 기초한 교육의 혁신 방안: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765-787, 2020
4 김경애, "학생 수 감소 시대의 미래지향적 교육체제조성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5
5 Rose, T, "평균의 종말" 21세기 북스 2016
6 여상한, "초등학교 프로젝트중심학습 설계모형의 실행전략 개발" 한국교육공학회 33 (33): 869-900, 2017
7 Spradley, J. P, "참여관찰법" 시그마프레스 2006
8 구교준, "자유안정성 혁명: 행복하고 혁신적인 대한민국을 위한 제안" 2018
9 홍영란, "세대통합을 위한 교육·정보체제 개선 전략연구(II): 미래전망 및 세대통합성 진단검사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2014
10 Babbie, E. R, "사회조사방법론" CENGAGE Learning 2007
1 정미경, "학제개편의 쟁점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17
2 남미자, "학습자 주도성의 교육적 함의와 공교육에서의 실현가능성 탐색" 경기도교육연구원 2019
3 박상준,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에 기초한 교육의 혁신 방안: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765-787, 2020
4 김경애, "학생 수 감소 시대의 미래지향적 교육체제조성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5
5 Rose, T, "평균의 종말" 21세기 북스 2016
6 여상한, "초등학교 프로젝트중심학습 설계모형의 실행전략 개발" 한국교육공학회 33 (33): 869-900, 2017
7 Spradley, J. P, "참여관찰법" 시그마프레스 2006
8 구교준, "자유안정성 혁명: 행복하고 혁신적인 대한민국을 위한 제안" 2018
9 홍영란, "세대통합을 위한 교육·정보체제 개선 전략연구(II): 미래전망 및 세대통합성 진단검사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2014
10 Babbie, E. R, "사회조사방법론" CENGAGE Learning 2007
11 Greenwood, D. J., "사회개혁과 교육실천을 위한 실행연구 입문" 학지사 2007
12 김도기, "미래학교의 개념 및 공간 설계의 방향 탐색" 교육연구원 35 (35): 119-146, 2019
13 조윤정, "미래학교 체제 연구: 학습자 주도성을 중심으로" 경기도교육연구원 2017
14 우천식, "미래지향적 정책지식생태계의 활성화" 25 : 12-15, 2015
15 김지하, "미래지향적 대입제도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7
16 김흥주, "미래지향적 교육생태계 조성을 위한 교육체제 재구조화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6
17 남운, "미래사회를 대비하는 통섭교육과 통섭교사" 교육연구원 24 (24): 1-16, 2008
18 박선화, "미래사회 대비 교육과정, 교수학습, 교육평가 비전 연구(II): 유치원 및 초·중등학교의 교수학습 방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19 이근호, "미래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탐색: 교육과정, 교수·학습, 및 교육평가 연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20 최상덕,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핵심역량 교육 및 혁신적 학습생태계 구축(Ⅰ)" 한국교육개발원 2013
21 박진용, "미래 사회 교육 환경 변화에 따른 교과서 발전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22 박재윤, "미래 교육비전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0
23 이정현, "마을교육과 길잡이교사" 경인일보
24 정광희,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대학의교육운영체제 개선방안 연구-대학 진학수요 맞춤형 교육운영체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14
25 이쌍철, "교육환경 변화를 고려한 방송통신고등학교 역할 재정립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5
26 Bruner, J. S, "교육의 과정" 배영사 2010
27 정미경, "교육개혁 전망과 과제(Ⅰ):초·중등교육 영역" 한국교육개발원 2016
28 유현숙, "고등교육 미래비전 2040 수립을 위한정책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29 신철균, "고교 교육 환경 변화 전망과 과제:학생들의 시선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18
30 조윤정, "경기도 혁신고등학교 교육과정 구성 및 실행에 관한 사례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4
31 한국교육개발원, "‘학생들이 제안하고 만들어가는 교육정책’ 학생포럼-미래교육 정책마켓, 우리가 열어요" 한국교육개발원 2018
32 OECD,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Position paper" 2018
33 Leadbeater, C, "Student Agency" 2017
34 김아미, "OECD 학습 나침반 2030: 변혁적 역량과 민주시민교육의 접점" 경기도교육연구원 2019
35 OECD, "OECD 대한민국 정책센터 역OECD(2016), How’s Life? 2015 웰빙의 측정" OECD 대한민국 정책센터 2015
36 이상은, "OECD 교육 2030 참여 연구: 역량의 교육 정책적 적용 과제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2018
37 최수진, "OECD 교육 2030 참여 연구: 역량개념틀 타당성 분석 및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체제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2017
38 OECD, "OECD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2030–concept note: Student agency for 2030"
39 Steinberg, L., "OECD Learning Compass 2030 Transformative Competencies: Taking Responsibility" OECD 2019
40 Bray, B., "How to Personalize Learning :A Practical Guide for Getting Started and Going Deeper" Corwin Publishers 2017
41 Ministry of Education and Culture, "Eleven most important changes in the reform of general upper secondary education"
42 Sergiovanni, T. G., "Educational Governance and Administration" Pearson 2009
43 OECD, "Education at a Glance 2018" OECD Indicators 2018
44 Ontario Ministry of Education, "Creating Pathways to Success: An Education and Career/Life Planning Program for Ontario Schools" Queen’s Printer for Ontario 2013
45 Schoon, I, "Conceptualising Learner Agency: A Socio-Ecological Development Approach in OECD, Education and Skills 2030: Conceptual Learning Framework" 2018
46 최상덕, "21세기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의 미래전략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47 이현우, "2030세대와 참여정치 거버넌스"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