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북한 음악 장단 변화 연구 : 현행 남·북한 민요장단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64588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단국대학교, 200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단국대학교 대학원 , 국악학과 타악전공 , 2006. 8

      • 발행연도

        2006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789.3507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f variation of Jangdan in North Korean Music

      • 형태사항

        viii, 64장: 삽도;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윤명원
        참고문헌: 59-60장

      • 소장기관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s a thesis paper to analyze the folk song, Jangdan, that the music in used in South and North Korea.
      The folk song Jangdan of the two Koreas began with the premises of national homogeneity in the origin for the starting point of study on the comparative thesis, which is the main comparison topic. Therefore, this research compares the contents of the North Korean folk song, Jangdan, that has been changed due to the difference in ideologies and ruling method with the unchanged Jangdan system in South Korea. And, the contemplation is made on the differences and use in both Koreas on the basis of its characteristics.
      The music of South-North Korea had maintained the same music at the times of Japanese imperialistic ruling, but it had gone through the changes after the liberation. Therefore, the main contents of this thesis are focused more on the evolution of the folk song Jangdan in North Korea than the comparison of the Jangdan of South and North Korea.
      The information that could be accessed on the North Korean music was limited, and the earlier theses and researches in South Korea were used to supplement this study.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South and North Korean Jangdan history, and contents and features of the folk music in both countries are provided with the following summary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
      First, there is a discrepancy in musical terminology for both Koreas. The terms of Jangdan in South Korea, with respect to ‘Jajinmori Jangdan’ and ‘Yeombul Jangdan’, are indicated in North Korea as “Jajeunmori Jangdan’ and ‘Nyeombul Jangdan’ that there is a clear difference of grammars, and the technical terminologies in the music, such as, ‘Kideok’ and ‘Deok’, are expressed as ‘Darak’ and ‘Pyeon’ in the North.
      Second, the North Korean folk songs listed on the folk song collections published in North Korea contain the unique Jangdan used only in North Korea. In North Korean music, there are Anjjang Jangdan, jinsoe Jangdan, man Jangdan, salpuri Jangdan and bakgutgeori Jangdan that are not used in the South Korean music.
      Third, the Jangdan of both countries used in folk songs has difference in speed and regularity. In South Korean folk songs use slow Jangdan and fast Jangdan in even frequency with the relatively slow irregular Jangdan in many occasions, while the North Korean Jangdan frequently use the fast speed of Jangdan, such as anjjang Jangdan.
      Fourth, there is a difference in names and contents used in North Korean Jangdan. There are similarities in names and contents aspects jinyang Jangdan, jungmori Jangdan, jungjungmori Jangdan, yeotmori Jangdan, jateunmori Jangdan and others. There are some Jangdans that have similar contents but different names, such as yanghsado Jangdan and dodeuri Jangdan. And there are same names but different contents in difference for jutgeori Jangdan, jateungukgeori Jangdan, deongdukgung Jangdan. Also, there are clearly different name and contents in ‘Jinswae Jangdan’, ‘Man Jangdan’, ‘Salpuli Jangdan’, ‘Bangutgeori Jangdan’ and others.
      Fifth, in the Jangdan playing method, the two Koreas show the difference. From the jinyang Jangdan, jungmori Jangdan, jungjungmori Jangdan, gutgeori Jangdan, jajinmori Jangdan and others have similar basic Jangdan. In the playing method of Jangdan, South Korea mainly uses the Jangdan modification method of Ki, Kyung, Kyul and Hae along the flow of music, while North Korea shows many variations in jeongak (front part of Jangdan), hugak (real part of Jangdan) and jeon-hugak (entire Jangdan).
      As shown above, the South Korean Jangdan that has been maintaining the frame of traditional music and the North Korean Jangdan that has been through the relatively significant changes over time share some basic common points, but as the result of pursuing the changes in North Korea as mucis a part of political tools, it has used the light and fast Jangdan like the Anddang Jangdan. On the other hand, South Korea has tended to substantiate the original form to separate the two Koreas.
      Korean people that have identical language and history have been maintaining and evolving under the different system in the history of demarcation for the 50 years. And inevitably, South and North Korea have to face the numerous differences in every phase of society, not only in music and culture. However, it is hoped through this study that the changed music of North Korea would be contributing to the creation and heritage of high level of culture for Korea.
      번역하기

      This research is a thesis paper to analyze the folk song, Jangdan, that the music in used in South and North Korea. The folk song Jangdan of the two Koreas began with the premises of national homogeneity in the origin for the starting point of study ...

      This research is a thesis paper to analyze the folk song, Jangdan, that the music in used in South and North Korea.
      The folk song Jangdan of the two Koreas began with the premises of national homogeneity in the origin for the starting point of study on the comparative thesis, which is the main comparison topic. Therefore, this research compares the contents of the North Korean folk song, Jangdan, that has been changed due to the difference in ideologies and ruling method with the unchanged Jangdan system in South Korea. And, the contemplation is made on the differences and use in both Koreas on the basis of its characteristics.
      The music of South-North Korea had maintained the same music at the times of Japanese imperialistic ruling, but it had gone through the changes after the liberation. Therefore, the main contents of this thesis are focused more on the evolution of the folk song Jangdan in North Korea than the comparison of the Jangdan of South and North Korea.
      The information that could be accessed on the North Korean music was limited, and the earlier theses and researches in South Korea were used to supplement this study.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South and North Korean Jangdan history, and contents and features of the folk music in both countries are provided with the following summary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
      First, there is a discrepancy in musical terminology for both Koreas. The terms of Jangdan in South Korea, with respect to ‘Jajinmori Jangdan’ and ‘Yeombul Jangdan’, are indicated in North Korea as “Jajeunmori Jangdan’ and ‘Nyeombul Jangdan’ that there is a clear difference of grammars, and the technical terminologies in the music, such as, ‘Kideok’ and ‘Deok’, are expressed as ‘Darak’ and ‘Pyeon’ in the North.
      Second, the North Korean folk songs listed on the folk song collections published in North Korea contain the unique Jangdan used only in North Korea. In North Korean music, there are Anjjang Jangdan, jinsoe Jangdan, man Jangdan, salpuri Jangdan and bakgutgeori Jangdan that are not used in the South Korean music.
      Third, the Jangdan of both countries used in folk songs has difference in speed and regularity. In South Korean folk songs use slow Jangdan and fast Jangdan in even frequency with the relatively slow irregular Jangdan in many occasions, while the North Korean Jangdan frequently use the fast speed of Jangdan, such as anjjang Jangdan.
      Fourth, there is a difference in names and contents used in North Korean Jangdan. There are similarities in names and contents aspects jinyang Jangdan, jungmori Jangdan, jungjungmori Jangdan, yeotmori Jangdan, jateunmori Jangdan and others. There are some Jangdans that have similar contents but different names, such as yanghsado Jangdan and dodeuri Jangdan. And there are same names but different contents in difference for jutgeori Jangdan, jateungukgeori Jangdan, deongdukgung Jangdan. Also, there are clearly different name and contents in ‘Jinswae Jangdan’, ‘Man Jangdan’, ‘Salpuli Jangdan’, ‘Bangutgeori Jangdan’ and others.
      Fifth, in the Jangdan playing method, the two Koreas show the difference. From the jinyang Jangdan, jungmori Jangdan, jungjungmori Jangdan, gutgeori Jangdan, jajinmori Jangdan and others have similar basic Jangdan. In the playing method of Jangdan, South Korea mainly uses the Jangdan modification method of Ki, Kyung, Kyul and Hae along the flow of music, while North Korea shows many variations in jeongak (front part of Jangdan), hugak (real part of Jangdan) and jeon-hugak (entire Jangdan).
      As shown above, the South Korean Jangdan that has been maintaining the frame of traditional music and the North Korean Jangdan that has been through the relatively significant changes over time share some basic common points, but as the result of pursuing the changes in North Korea as mucis a part of political tools, it has used the light and fast Jangdan like the Anddang Jangdan. On the other hand, South Korea has tended to substantiate the original form to separate the two Koreas.
      Korean people that have identical language and history have been maintaining and evolving under the different system in the history of demarcation for the 50 years. And inevitably, South and North Korea have to face the numerous differences in every phase of society, not only in music and culture. However, it is hoped through this study that the changed music of North Korea would be contributing to the creation and heritage of high level of culture for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남·북한 음악에 쓰이는 민요장단을 중심으로 하여 북한 음악 장단의 변화 양상을 고찰한 분석 논문이다.
      본 고에서의 비교 주제인 남·북한 민요장단에 관한 연구의 출발점은 근원적으로는 민족적 동질성을 전제로 시작되었다. 따라서 전통음악의 틀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남한 장단과 사상과 통치 방법상의 차이로 인하여 변화된 북한 민요 장단의 내용을 비교하고, 그 특징을 바탕으로 남북한 음악 장단의 차이점과 쓰임새에 대해 고찰하였다.
      남북한의 음악이 일제 강점기기 까지는 동일한 음악으로 유지되어오다가 해방이후 변화과정을 거치게 된 것으로 볼 수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된 내용은 남북한 민요장단을 비교 하는 것 보다는 과연 전통 민요장단이 북한에서는 어떻게 변화하였는가에 치중하였다.
      북한음악 자료의 확보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남한에서 발행된 선행 연구자들의 논문이나 연구물을 참고로 하여 장단의 이론적 배경, 남·북한 장단 연구사, 남·북한 민요장단의 내용과 특징에 대하여 순서대로 살펴 도출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북한의 음악용어는 철자법과 구음에서 차이점이 있다. 남한에서 장단용어로 사용되는 자진모리장단 염불장단 등은 북한에서 잦은모리장단, 념불장단 등으로 표기함으로써 연철-분철, 두음법칙과 같은 차이점을 보이며 연주기법용어인 ‘기덕’과 ‘덕’은 ‘다락’, ‘편’ 등으로 사용하여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둘째, 북한 발행 민요곡집에 수록된 북한의 민요장단에는 북한에서만 사용하는 고유의 장단들이 있다. 북한음악에서는 남한음악에서 사용되고 있지 않은 안땅장단, 진쇄장단, 만장단, 살푸리장단, 반굿거리장단 등이 있다.
      셋째, 민요에 사용된 남북한 음악 장단은 속도와 규칙성에서 차이점이 있다. 남한 민요에서는 느린장단과 빠른장단이 고르게 쓰이고, 비교적 속도가 느린 불규칙 장단 사용도 적지 않다. 한편, 북한 민요에서는 안땅장단과 같이 속도가 빠른 장단의 사용이 많다.
      넷째, 북한의 민요에 사용된 장단은 명칭과 내용면에 차이가 있다.먼저 명칭과 내용면에서 같은 것으로는 진양장단, 중모리장단, 중중모리장단, 엇모리장단, 잦은 모리장단 등이 있고, 내용은 같으나 명칭이 다른 것으로는 양산도장단과 도드리장단이 있으며, 명칭은 같지만 내용면에서 다소 차이점을 보이는 것으로는 굿거리장단, 잦은굿거리장단, 덩덕궁장단 등이 있다. 명칭과 내용면에서 확연히 다른 장단으로는 만장단, 진쇄장단, 살푸리장단, 반굿거리장단 등이 있다.
      다섯째, 장단 변주 방법에 있어서 남·북한이 차이점을 보인다. 진 양장단, 중모리장단, 중중모리장단, 굿거리장단, 자진모리장단 등은 기본 장단에서는 유사하다. 장단의 변주방법에 있어서 남한에서는 음악적 흐름에 따라 기,경, 결,해(起,經,結,解)의 장단 변형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반면, 북한에서는 전각(장단의 앞부분)변형, 후각(장단의 뒷부분)변형, 전·후각(장단전체)변형이 많이 나타나고 있는 점이 서로 다른 점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결과, 전통음악의 틀을 잘 유지해온 남한의 음악 장단과 비교적 변화 과정을 거쳐온 북한의 음악 장단은 서로 기본적인 공통점은 가지고 있지만, 북한에서는 음악을 정치적 도구로 보는 관점에서 변화를 추구해온 결과 안땅장단 등과 같은 경쾌하고 빠른 장단을 즐겨 사용하고 있는 반면, 남한에서는 원형에 충실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 두드러진 차이점이라고 하겠다.
      동일한 언어와 역사를 가진 한 민족이 50여년 분단의 역사 속 에서 각기 다른 체제를 유지하며 변화해온 결과 남·북한은 음악문화뿐 아니라 사회의 모든 부분에서 필연적으로 수 많은 이질성을 가질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 연구를 통하여 북한의 변화된 음악이 한국의 수준 높은 문화의 창조와 전승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남·북한 음악에 쓰이는 민요장단을 중심으로 하여 북한 음악 장단의 변화 양상을 고찰한 분석 논문이다. 본 고에서의 비교 주제인 남·북한 민요장단에 관한 연구의 출발점은 근...

      본 연구는 남·북한 음악에 쓰이는 민요장단을 중심으로 하여 북한 음악 장단의 변화 양상을 고찰한 분석 논문이다.
      본 고에서의 비교 주제인 남·북한 민요장단에 관한 연구의 출발점은 근원적으로는 민족적 동질성을 전제로 시작되었다. 따라서 전통음악의 틀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남한 장단과 사상과 통치 방법상의 차이로 인하여 변화된 북한 민요 장단의 내용을 비교하고, 그 특징을 바탕으로 남북한 음악 장단의 차이점과 쓰임새에 대해 고찰하였다.
      남북한의 음악이 일제 강점기기 까지는 동일한 음악으로 유지되어오다가 해방이후 변화과정을 거치게 된 것으로 볼 수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된 내용은 남북한 민요장단을 비교 하는 것 보다는 과연 전통 민요장단이 북한에서는 어떻게 변화하였는가에 치중하였다.
      북한음악 자료의 확보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남한에서 발행된 선행 연구자들의 논문이나 연구물을 참고로 하여 장단의 이론적 배경, 남·북한 장단 연구사, 남·북한 민요장단의 내용과 특징에 대하여 순서대로 살펴 도출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북한의 음악용어는 철자법과 구음에서 차이점이 있다. 남한에서 장단용어로 사용되는 자진모리장단 염불장단 등은 북한에서 잦은모리장단, 념불장단 등으로 표기함으로써 연철-분철, 두음법칙과 같은 차이점을 보이며 연주기법용어인 ‘기덕’과 ‘덕’은 ‘다락’, ‘편’ 등으로 사용하여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둘째, 북한 발행 민요곡집에 수록된 북한의 민요장단에는 북한에서만 사용하는 고유의 장단들이 있다. 북한음악에서는 남한음악에서 사용되고 있지 않은 안땅장단, 진쇄장단, 만장단, 살푸리장단, 반굿거리장단 등이 있다.
      셋째, 민요에 사용된 남북한 음악 장단은 속도와 규칙성에서 차이점이 있다. 남한 민요에서는 느린장단과 빠른장단이 고르게 쓰이고, 비교적 속도가 느린 불규칙 장단 사용도 적지 않다. 한편, 북한 민요에서는 안땅장단과 같이 속도가 빠른 장단의 사용이 많다.
      넷째, 북한의 민요에 사용된 장단은 명칭과 내용면에 차이가 있다.먼저 명칭과 내용면에서 같은 것으로는 진양장단, 중모리장단, 중중모리장단, 엇모리장단, 잦은 모리장단 등이 있고, 내용은 같으나 명칭이 다른 것으로는 양산도장단과 도드리장단이 있으며, 명칭은 같지만 내용면에서 다소 차이점을 보이는 것으로는 굿거리장단, 잦은굿거리장단, 덩덕궁장단 등이 있다. 명칭과 내용면에서 확연히 다른 장단으로는 만장단, 진쇄장단, 살푸리장단, 반굿거리장단 등이 있다.
      다섯째, 장단 변주 방법에 있어서 남·북한이 차이점을 보인다. 진 양장단, 중모리장단, 중중모리장단, 굿거리장단, 자진모리장단 등은 기본 장단에서는 유사하다. 장단의 변주방법에 있어서 남한에서는 음악적 흐름에 따라 기,경, 결,해(起,經,結,解)의 장단 변형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반면, 북한에서는 전각(장단의 앞부분)변형, 후각(장단의 뒷부분)변형, 전·후각(장단전체)변형이 많이 나타나고 있는 점이 서로 다른 점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결과, 전통음악의 틀을 잘 유지해온 남한의 음악 장단과 비교적 변화 과정을 거쳐온 북한의 음악 장단은 서로 기본적인 공통점은 가지고 있지만, 북한에서는 음악을 정치적 도구로 보는 관점에서 변화를 추구해온 결과 안땅장단 등과 같은 경쾌하고 빠른 장단을 즐겨 사용하고 있는 반면, 남한에서는 원형에 충실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 두드러진 차이점이라고 하겠다.
      동일한 언어와 역사를 가진 한 민족이 50여년 분단의 역사 속 에서 각기 다른 체제를 유지하며 변화해온 결과 남·북한은 음악문화뿐 아니라 사회의 모든 부분에서 필연적으로 수 많은 이질성을 가질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 연구를 통하여 북한의 변화된 음악이 한국의 수준 높은 문화의 창조와 전승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 1
      • 1. 연구 목적 = 1
      • 2. 연구 범위 및 방법 = 2
      • Ⅱ. 이론적 배경 = 4
      • 1. 장단의 정의 = 4
      • I. 서 론 = 1
      • 1. 연구 목적 = 1
      • 2. 연구 범위 및 방법 = 2
      • Ⅱ. 이론적 배경 = 4
      • 1. 장단의 정의 = 4
      • 2. 남?북한 장단 용어 비교 = 6
      • 3. 남·북한 장단 연구사 = 8
      • Ⅲ. 남·북한 장단 비교 분석 = 12
      • 1. 남·북한 민요장단 분석 = 12
      • 1) 북한 민요곡집 내용분석 = 12
      • 2) 남한 민요곡집 내용분석 = 20
      • 2. 남·북한 민요장단의 음악적 특징 비교 분석 = 24
      • 1) 진양장단 = 24
      • 2) 중모리장단 = 27
      • 3) 중중모리장단 = 29
      • 4) 굿거리장단 = 31
      • 5) 자진굿거리장단 = 34
      • 6) 세마치장단 = 36
      • 7) 자진모리장단 = 39
      • 8) 엇모리장단 = 41
      • 9) 기타장단 (반굿거리장단외 6종) = 44
      • Ⅳ. 결 론 = 57
      • 참 고 문 헌 = 59
      • Abstract = 6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