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도건설사업 계획단계에서 토공부의 LCA기반 환경부하 산정모델 = An Environmental Load Estimation Model for Road Earthwork in the Planning Phase of National Highway Project Based on LC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846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난 100여 년간 지속되어 온 고도 사업화는 지구의 평균기온을 0.74℃ 상승시키며 전 지구적 기후변화를 유발함으로써 인류의 안전을 위협해 오고 있다. 이에 대한 대응의 일환으로 2015년 전 세계는 파리협약(Paris agreement)을 체결하였고, 우리나라는 이 협약에서 2030년까지 배출전망치(BAU, business as usual) 대비 37%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제시하였다.
      건설산업은 시공과정에서 사용하는 수많은 자재의 생산과정과 건설장비에서 소비하는 에너지로 인해 다량의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다. 따라서, 건설산업의 환경부하 저감을 위한 노력 없이는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특히, 우리나라의 SOC(social overhead capital) 시설물 중 국가재정 투자비율이 가장 높은 도로의 환경부하 저감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도로의 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부하를 줄이기 위해서는 시설물을 기획하는 단계에서 경제성 검토와 함께 환경적 검토를 수행하여 친환경 공법이나 자재가 적극적으로 설계에 반영 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도로의 기획단계와 설계단계에서 환경영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이 필요하며, 최근 ISO 14000시리즈에서 제시하는 LCA(life cycle assessment)가 가장 합당한 방법론으로 평가되고 있다.
      LCA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시설물에 투입되는 자원량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여야하나 건설산업의 경우 설계가 완료되기 전에는 이러한 정보를 확보할 수가 없기 때문에 기획단계와 초기 설계단계에서 LCA를 수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도로 시설중 교량과 터널을 제외한 토공부를 대상으로 기획단계와 설계단계에서 가용할 수 있는 정보만을 활용한 LCA 기반의 환경부하 산정모델을 개발하고 그 유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도로 토공부의 환경부하 산정모델은 노선에 대한 개략적인 정보만 파악할 수 있는 기획단계에 활용할 수 있는 모델과 가용정보의 수준이 더 높아진 설계단계에서 활용하기 위한 모델로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기획단계 환경부하 산정모델은 과거의 유사한 사례로부터 해답을 도출하는 CBR(case-based reasoning)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CBR 기반의 모델에 사용되는 입력변수는 문헌연구를 통해 도로의 기획단계에서 확보할 수 있는 행정구역, 도로높이, 도로등급, 지형, 설계속도, 공사유형, 토공부연장, 토공부면적, 포장두께, 차로수, 도로폭의 11가지 정보로 선정하고, 각 입력변수에 대한 유사도 평가를 통해 가장 유사한 사례로부터 환경부하량을 추정하였다. CBR 방법론을 통해 추정한 기획단계 환경부하량의 정확도는 평균 88.59%로써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기획단계 보다 수준 높은 정보의 확보가 가능한 설계단계 모델은 각 공종이 부담하는 환경부하량을 분석하여 분담비율이 높은 토공, 배수공, 포장공을 대표공종으로 선정하고 이들 공종에 대한 모델을 각각 개발하여 최종 추정값을 합산한 후 나머지 공종의 환경부하량은 비율로써 반영하여 도로 토공부 전체의 환경부하량을 산출하였다.
      설계단계 모델 중 토공은 작업물량과 환경부하량과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기획단계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알고리즘의 CBR 기반 모델로 개발하였다. 배수공과 포장공은 표준단면을 이용하여 작업물량을 산출하고, 이를 통해 자원량을 도출함으로써 환경부하량을 산정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각 대표공종의 모델을 통합하고 나머지 공종을 비율로써 반영한 환경부하량의 최종 산출값을 10개의 사례를 적용하여 검증한 결과 평균 9..78%의 절대오차율과 4.42%의 표준편차를 나타내 정확도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국도건설사업 토공부의 환경부하 산정모델은 기획단계와 설계단계에서 친환경성을 고려한 의사결정에 객관적인 근거자료를 제공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지난 100여 년간 지속되어 온 고도 사업화는 지구의 평균기온을 0.74℃ 상승시키며 전 지구적 기후변화를 유발함으로써 인류의 안전을 위협해 오고 있다. 이에 대한 대응의 일환으로 2015년 전 ...

      지난 100여 년간 지속되어 온 고도 사업화는 지구의 평균기온을 0.74℃ 상승시키며 전 지구적 기후변화를 유발함으로써 인류의 안전을 위협해 오고 있다. 이에 대한 대응의 일환으로 2015년 전 세계는 파리협약(Paris agreement)을 체결하였고, 우리나라는 이 협약에서 2030년까지 배출전망치(BAU, business as usual) 대비 37%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제시하였다.
      건설산업은 시공과정에서 사용하는 수많은 자재의 생산과정과 건설장비에서 소비하는 에너지로 인해 다량의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다. 따라서, 건설산업의 환경부하 저감을 위한 노력 없이는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특히, 우리나라의 SOC(social overhead capital) 시설물 중 국가재정 투자비율이 가장 높은 도로의 환경부하 저감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도로의 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부하를 줄이기 위해서는 시설물을 기획하는 단계에서 경제성 검토와 함께 환경적 검토를 수행하여 친환경 공법이나 자재가 적극적으로 설계에 반영 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도로의 기획단계와 설계단계에서 환경영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이 필요하며, 최근 ISO 14000시리즈에서 제시하는 LCA(life cycle assessment)가 가장 합당한 방법론으로 평가되고 있다.
      LCA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시설물에 투입되는 자원량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여야하나 건설산업의 경우 설계가 완료되기 전에는 이러한 정보를 확보할 수가 없기 때문에 기획단계와 초기 설계단계에서 LCA를 수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도로 시설중 교량과 터널을 제외한 토공부를 대상으로 기획단계와 설계단계에서 가용할 수 있는 정보만을 활용한 LCA 기반의 환경부하 산정모델을 개발하고 그 유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도로 토공부의 환경부하 산정모델은 노선에 대한 개략적인 정보만 파악할 수 있는 기획단계에 활용할 수 있는 모델과 가용정보의 수준이 더 높아진 설계단계에서 활용하기 위한 모델로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기획단계 환경부하 산정모델은 과거의 유사한 사례로부터 해답을 도출하는 CBR(case-based reasoning)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CBR 기반의 모델에 사용되는 입력변수는 문헌연구를 통해 도로의 기획단계에서 확보할 수 있는 행정구역, 도로높이, 도로등급, 지형, 설계속도, 공사유형, 토공부연장, 토공부면적, 포장두께, 차로수, 도로폭의 11가지 정보로 선정하고, 각 입력변수에 대한 유사도 평가를 통해 가장 유사한 사례로부터 환경부하량을 추정하였다. CBR 방법론을 통해 추정한 기획단계 환경부하량의 정확도는 평균 88.59%로써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기획단계 보다 수준 높은 정보의 확보가 가능한 설계단계 모델은 각 공종이 부담하는 환경부하량을 분석하여 분담비율이 높은 토공, 배수공, 포장공을 대표공종으로 선정하고 이들 공종에 대한 모델을 각각 개발하여 최종 추정값을 합산한 후 나머지 공종의 환경부하량은 비율로써 반영하여 도로 토공부 전체의 환경부하량을 산출하였다.
      설계단계 모델 중 토공은 작업물량과 환경부하량과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기획단계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알고리즘의 CBR 기반 모델로 개발하였다. 배수공과 포장공은 표준단면을 이용하여 작업물량을 산출하고, 이를 통해 자원량을 도출함으로써 환경부하량을 산정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각 대표공종의 모델을 통합하고 나머지 공종을 비율로써 반영한 환경부하량의 최종 산출값을 10개의 사례를 적용하여 검증한 결과 평균 9..78%의 절대오차율과 4.42%의 표준편차를 나타내 정확도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국도건설사업 토공부의 환경부하 산정모델은 기획단계와 설계단계에서 친환경성을 고려한 의사결정에 객관적인 근거자료를 제공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xtensive industrialization that has been implemented for the last century has elevated the mean global temperature by 0.74℃, while also causing global climate change, and it has been threatening the safety of humankind. As a part of its countermeasure, the Paris Agreement was signed by nations across the world in 2015, and our country presented its 37% greenhouse gas reduction goal compared to business as usual (BAU) by 2030.
      In construction industry, a significant amount of greenhouse gas is being discharged as a result of energies being consumed by construction equipment, as well as during the process of producing numerous materials that are used in construction. Accordingly, it is not possible to achieve our greenhouse gas reduction goal without making efforts to reduce environmental load in construction industry. In particular, efforts are needed to reduce the environmental load of roads that have the highest rate of national budget investment among social overhead capital (SOC) of our country.
      For reducing environmental load that occur in the road construction process, it is necessary to conduct environmental review as well as economic feasibility review in the facility planning phase to allow eco-friendly construction method or material to be applied in design. This requires a method of objectively assessing environmental impact in the road planning & design phases, and the life cycle assessment (LCA) that has recently been presented in the ISO 14000 series is being regarded as the most rational method.
      For performing LCA,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resources used for facilities is needed, but such information is not available before completing design in the case of construction industry. Accordingly, it is not possible to perform LCA in the planning & early design phases.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LCA-based environmental load assessment model only using information available in the planning & design phases for the earthwork of road construction except for bridge and tunnel.
      In regards to the environmental load assessment model of road earthwork, it was developed by dividing it into a model that can be used in the planning phase during which only rough information on route can be identified, as well as a model to be used in the design phase with a higher level of available information.
      For the environmental load assessment model in the planning phase, case-based reasoning (CBR) method for deducing answer from past similar cases was applied. In regards to the input variables used for the CBR-based model, 11 types of information were selec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at can be obtained in the road planning phase. Namely, they are administrative district, road height, road division, geographical feature, design speed, project type, earthwork length, earthwork area, pavement thickness, number of lanes and road width. In addition, environmental load amount was estimated from the most similar case based on similarity evaluation of input variables. In regards to the accuracy of the environmental load in the planning phase estimated through the CBR method, it was 88.59% in average, thereby showing favorable result.
      In regards to the design phase model for which a higher level of information than the planning phase can be obtained, environmental load taken on by each construction works was analyzed to select earthwork, drainage work and paving work with high percentage of share as major work, while developing respective models for the construction works to add up final estimation values before reflecting in percentage the environmental load of remaining construction works to calculate the total environmental load of road earthwork.
      As for the earthwork among the design phase models, it was developed through the CBR-based model with the same algorithm as that used in the planning phase as a result of the uncertainty of work volume and environmental load amount. As for drainage & paving works, work volume was calculated by using standard section through which resource amount was deduced to develop a model for calculating environmental load. The final computation value of environmental load, which combined the models of each major work and reflected remaining construction types, was verified by applying ten cases and it showed mean absolute error rate and standard deviation of respectively 9.78% and 4.42%, thereby showing excellent accuracy level.
      Thus, the environmental load assessment model for road earthwork as-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effectively utilized in providing objective basis data in decision-making considering eco-friendliness in the planning and design phases.
      번역하기

      The extensive industrialization that has been implemented for the last century has elevated the mean global temperature by 0.74℃, while also causing global climate change, and it has been threatening the safety of humankind. As a part of its counter...

      The extensive industrialization that has been implemented for the last century has elevated the mean global temperature by 0.74℃, while also causing global climate change, and it has been threatening the safety of humankind. As a part of its countermeasure, the Paris Agreement was signed by nations across the world in 2015, and our country presented its 37% greenhouse gas reduction goal compared to business as usual (BAU) by 2030.
      In construction industry, a significant amount of greenhouse gas is being discharged as a result of energies being consumed by construction equipment, as well as during the process of producing numerous materials that are used in construction. Accordingly, it is not possible to achieve our greenhouse gas reduction goal without making efforts to reduce environmental load in construction industry. In particular, efforts are needed to reduce the environmental load of roads that have the highest rate of national budget investment among social overhead capital (SOC) of our country.
      For reducing environmental load that occur in the road construction process, it is necessary to conduct environmental review as well as economic feasibility review in the facility planning phase to allow eco-friendly construction method or material to be applied in design. This requires a method of objectively assessing environmental impact in the road planning & design phases, and the life cycle assessment (LCA) that has recently been presented in the ISO 14000 series is being regarded as the most rational method.
      For performing LCA,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resources used for facilities is needed, but such information is not available before completing design in the case of construction industry. Accordingly, it is not possible to perform LCA in the planning & early design phases.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LCA-based environmental load assessment model only using information available in the planning & design phases for the earthwork of road construction except for bridge and tunnel.
      In regards to the environmental load assessment model of road earthwork, it was developed by dividing it into a model that can be used in the planning phase during which only rough information on route can be identified, as well as a model to be used in the design phase with a higher level of available information.
      For the environmental load assessment model in the planning phase, case-based reasoning (CBR) method for deducing answer from past similar cases was applied. In regards to the input variables used for the CBR-based model, 11 types of information were selec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at can be obtained in the road planning phase. Namely, they are administrative district, road height, road division, geographical feature, design speed, project type, earthwork length, earthwork area, pavement thickness, number of lanes and road width. In addition, environmental load amount was estimated from the most similar case based on similarity evaluation of input variables. In regards to the accuracy of the environmental load in the planning phase estimated through the CBR method, it was 88.59% in average, thereby showing favorable result.
      In regards to the design phase model for which a higher level of information than the planning phase can be obtained, environmental load taken on by each construction works was analyzed to select earthwork, drainage work and paving work with high percentage of share as major work, while developing respective models for the construction works to add up final estimation values before reflecting in percentage the environmental load of remaining construction works to calculate the total environmental load of road earthwork.
      As for the earthwork among the design phase models, it was developed through the CBR-based model with the same algorithm as that used in the planning phase as a result of the uncertainty of work volume and environmental load amount. As for drainage & paving works, work volume was calculated by using standard section through which resource amount was deduced to develop a model for calculating environmental load. The final computation value of environmental load, which combined the models of each major work and reflected remaining construction types, was verified by applying ten cases and it showed mean absolute error rate and standard deviation of respectively 9.78% and 4.42%, thereby showing excellent accuracy level.
      Thus, the environmental load assessment model for road earthwork as-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effectively utilized in providing objective basis data in decision-making considering eco-friendliness in the planning and design phas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 1.1 연구의 배경
      • 1.2 연구의 목적
      • 1.3 연구의 범위와 방법
      • 1.4 선행연구 동향
      • 제 1 장 서 론
      • 1.1 연구의 배경
      • 1.2 연구의 목적
      • 1.3 연구의 범위와 방법
      • 1.4 선행연구 동향
      • 1.4.1 환경부하 측정에 관한 연구
      • 1.4.2 LCA를 활용한 환경부하 평가에 관한 연구
      • 1.4.3 본 연구의 방향 및 차별성
      • 제 2 장 환경부하평가 및 모델개발 이론고찰
      • 2.1 환경영향 평가방법론
      • 2.1.1 우리나라의 환경영향평가 제도
      • 2.1.2 ISO 14000 시리즈 – 환경경영체계
      • 2.1.3 전과정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
      • 2.1.4 국내외 건설산업의 LCA적용 현황
      • 2.2 사례 데이터에 의한 추론 방법론
      • 2.2.1 사례기반추론(CBR, Case-Based Reasoning)
      • 2.2.2 다중회귀분석
      • 제 3 장 기획단계 환경부하 산정모델
      • 3.1 CBR 기반의 환경부하 산정모델 개발
      • 3.1.1 모델의 개발방향
      • 3.1.2 CBR 기반 모델의 입력정보
      • 3.1.3 CBR 기반 모델의 구성
      • 3.2 모델의 정확도 검증
      • 3.2.1 국도건설사업 사례 수집
      • 3.2.2 LCA에 의한 사례별 환경부하량 산출 및 DB화
      • 3.2.3 사례의 적용을 통한 모델의 정확도 평가
      • 3.2.4 모델의 정확도 개선
      • 제 4 장 설계단계 환경부하 산정모델
      • 4.1 설계단계 모델의 개발
      • 4.1.1 모델의 개발방향
      • 4.1.2 공종별 환경부하 특성과 대표공종
      • 4.1.3 토공 모델의 구성
      • 4.1.4 배수공 모델의 구성
      • 4.1.5 포장공 모델의 구성
      • 4.2 모델의 정확도 검증
      • 4.2.1 공종별 모델의 검증
      • 4.2.2 공종별 모델의 통합
      • 제 5 장 사례연구
      • 5.1 국도건설사업 사례분석
      • 5.1.1 사례 개요
      • 5.1.2 환경부하 평가 시나리오
      • 5.2 사업수행 단계별 모델의 활용
      • 5.2.1 노선선정
      • 5.2.2 공종별 대안검토
      • 5.2.3 상세설계
      • 5.2.4 설계변경
      • 5.2.5 환경영향 검토결과
      • 제 6 장 결 론
      • 6.1 연구결과
      • 6.2 기대효과 및 연구의 한계
      • 참고문헌
      • ABSTRACT
      • 부 록 1 : 용어의 정의
      • 부 록 2 : LCI 데이터베이스
      • 부 록 3 : 사례 데이터베이스
      • 부 록 4 : 표준자원 데이터베이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환경부, "null", 한국형 환경영향평가지수 방법론, 2003

      2 환경부, "null", 교토의정서 이후 신 기후체제 파리협정 길라잡이, 2016

      3 환경부, "null", 환경영향평가 항목 범위 등의 결정을 위한 가이드라인, 2008

      4 김태근, "U-Can회귀분석", 인간과복지, 인간과 복지, 2006

      5 서혜선, "SPSS를활용한회귀분석", SPSS 아카데미, SPSS 아카데미, 2001

      6 소재철, 임창수, 윤세의, 송주일, "“비노출 배수로의 도로배수 효과분석”", 한 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pp.180, 2011

      7 김병수, 장원석, "“건설장비 CO2 배출량 산출결과 비교연구”", 대한토목학회,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33권, 제4호, pp.1675-1682, 2013

      8 노동운, "“최근 세계 온실가스 배출추이와 시사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 이트, 제16-5호, pp.3-17, 2016

      9 권석현, "건설사업의 환경경제성 평가모델 개발 연구", 박사학위논문. 중앙 대학교, 2008

      10 김성순, 황용우, 서성원, "“건설산업에 따른 CO2배출량의 정량적 평가”", 대 한토목학회논문집, 제18권, 제Ⅱ-4호, pp.395-495, 1998

      1 환경부, "null", 한국형 환경영향평가지수 방법론, 2003

      2 환경부, "null", 교토의정서 이후 신 기후체제 파리협정 길라잡이, 2016

      3 환경부, "null", 환경영향평가 항목 범위 등의 결정을 위한 가이드라인, 2008

      4 김태근, "U-Can회귀분석", 인간과복지, 인간과 복지, 2006

      5 서혜선, "SPSS를활용한회귀분석", SPSS 아카데미, SPSS 아카데미, 2001

      6 소재철, 임창수, 윤세의, 송주일, "“비노출 배수로의 도로배수 효과분석”", 한 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pp.180, 2011

      7 김병수, 장원석, "“건설장비 CO2 배출량 산출결과 비교연구”", 대한토목학회,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33권, 제4호, pp.1675-1682, 2013

      8 노동운, "“최근 세계 온실가스 배출추이와 시사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 이트, 제16-5호, pp.3-17, 2016

      9 권석현, "건설사업의 환경경제성 평가모델 개발 연구", 박사학위논문. 중앙 대학교, 2008

      10 김성순, 황용우, 서성원, "“건설산업에 따른 CO2배출량의 정량적 평가”", 대 한토목학회논문집, 제18권, 제Ⅱ-4호, pp.395-495, 1998

      11 박광호, 황용우, 서성원, 박중현, "“고속도로 수명주기에 따른 환경부하 평 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0권, 제3D호, pp.311~321, 2000

      12 김승진, 최욱, 박인방, "“건설업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 운영계획”", 한 국시설안전공단, 제40호, pp.254-268, 2012

      13 박준영, "기획단계에서의 도로유형별 공사비 예측모델 개발", 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2011

      14 이광수,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닐센아치교의 최적설계",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2010

      15 서성원, 황용우, "“주거용 건축물의 전과정에 따른 CO2 배출량 평가”", 대한토목학회, 대한 토목학회논문집, 제18권, pp.521-529, 1998

      16 최대영, "국내 천연가스 플랜트의 탄소배출량산정 및 저감방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7 곽인호, 황용우, 박지형, 박광호, "“도로의 전과정 탄소배출량 산정방법 개 발 및 적용”", 대한환경공학회, 대한환경공학회지, 제34권, 제6호, pp382-390, 2012

      18 김성근, "“자동화 토공을 위한 3D 토량배분과 탄소발생량 추정”", 대한토목학회, 대한토목 학회논문집, 제33권, 제3호, pp.1191-1202, 2013

      19 문진석, "도로건설공사의 환경요인 전과정(LCA) 분석 및 사례 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0 김윤식, "사업초기단계의 공사비 예측을 위한 CBR기반 MRA 보정모델",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1 김병수, 전진구, "“ZigBee 센서를 활용한 건설장비의 CO2 배출량 측정방 법”", 대한토목학회,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32권 제2D호, pp.167-174, 2012

      22 김지훈, "VBR기반 공사비 예측모델에서 정성변수를 반영한 보정방법",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23 김성완, 김종엽, 손장열, "건축물 LCA를 위한 건설자재의 환경부하 원단 위 산출 연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0권, 제7호, pp.211-218, 2004

      24 이강희, 이경회, "건축활동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추정",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2권, 제7호, pp.197-204, 1996

      25 배은석, "“전과정평가를 이용한 아파트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분석”", 석사학 위논문, 한양대학교, 2013

      26 문진석, 서명배, 주기범, Seo, MyoungBae, Ju, Kibeom, Moon, Jinseok, 강인석, Kang, Leenseok, "전과정평가기법에 의한 도로건설공사 환경부하량 평가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5권, 제6호, pp.83-91, 2014

      27 임소연, "공동주택 개발사업의 초기공사비 예측정확도 향상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2010

      28 김병수, "“토공장비 조합에 따른 공사기간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분석”", 대 한토목학회논문집 제31권, 제4D호, pp.603-611, 2011

      29 서성원, "주거용 건축물의 전과정에 따른 CO2 배출량 평가 및 전산체계 구 축",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1998

      30 한승원, "시공단계 공법에 따른 투입자원과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관한 연 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2011

      31 민성규, "LCA 분석을 활용한 공항포장의 환경부하 저감 방안 수립을 위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3

      32 지창윤, "공동주택 건설공사의 공사비 예측정확도 향상을 위한 CBR-Revision Model",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2009

      33 전해표, "건설분야의 환경영향평가를 위한 전과정평가 적용 방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07

      34 정영선, "주거건물의 전과정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 예측모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2009

      35 이재영, 황용우, 정우성, 이철, "“LCA를 이용한 고속철도 건설단계에서의 환경부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학회, 한국철도학회논문집, 제17권, 제3호, pp.178-185, 2014

      36 손휘림, "LCA 기법을 이용한 산업용 철골구조 건물의 환경성 평가 및 방 법론 개발",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2013

      37 이무춘, "“우리나라의 환경영향평가제도의 발전과정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 구”", 환경영향평가, 제9권, 제1호, pp.47-59, 2000

      38 곽수남, "가용정보를 활용한 기획 및 초기 설계단계의 도로사업 공사비 예 측모델",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007

      39 강경인, 김광희, "“사례기반추론 기법을 이용한 공동주택 초기공사비 예측 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제20권 제5호, pp.83-92, 2004

      40 김우철, 조균형, 유호천, "“건축시공단계에서 LCA방법론에 의한 에너지소 비량과 환경부하량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1권, 제1호, pp.601-604, 2001

      41 김민지, "사례기반추론(CBR) 기법을 이용한 개략공사비 추정모델 구축연구 -교량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2010

      42 금원석, "탄소배출량 저감을 위한 대안템플릿 기술기반 건축물 전과정 CO2 평가프로그램 개발",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013

      43 장주환, "「경량콘크리트 패널 적용을 통한 공동주택의 생산성 및 환경부하 평가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몬, 2013

      44 정병길, "“우리나라 환경영향평가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소고 - 공학적 관점에서의 검토”", 한국비교공법학회, 공법학연구, 제10권, 제2호, pp.327-349, 2009

      45 강경인, 안성훈, "“전문가 지식을 활용한 공동주택 초기단계 공사비 예측에 관한 연구: 사례기반추론과 계층분석과정을 기반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 조계), 제21권, 제6호, pp.81-88, 2005

      46 송두삼, 이승복, "“건축물의 라이프사이클을 고려한 환경부하 산정에 관한 연구: 주택건설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산정”", 대한건축 학회논문집, 제13권, 제6호, pp.175-183,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