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1905년에 조사․작성된 평안북도 자성군 호적을 검토한 것이다. 1905년 당시 자성군은 세종대 4군 가운데 여연․자성․우예의 3군 영역에 해당하는 방대한 지역을 아우르고 있었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826127
2015
Korean
광무호적 ; 평안북도 ; 자성군 ; 4군 ; 판가 ; Pyeonganbuk-do(平安北道) ; Jasung-gun(慈城郡) ; 4gun(四郡) ; ‘board’ house(板家)
380
KCI등재
학술저널
269-291(23쪽)
6
학회 요청에 의해 무료로 제공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1905년에 조사․작성된 평안북도 자성군 호적을 검토한 것이다. 1905년 당시 자성군은 세종대 4군 가운데 여연․자성․우예의 3군 영역에 해당하는 방대한 지역을 아우르고 있었다. ...
이 논문은 1905년에 조사․작성된 평안북도 자성군 호적을 검토한 것이다. 1905년 당시 자성군은 세종대 4군 가운데 여연․자성․우예의 3군 영역에 해당하는 방대한 지역을 아우르고 있었다. 총 1,806㎢으로 1,848㎢의 제주도와 거의 비슷한 규모이다. 1433년 세종은 4군을 개척하고, 1442년에 4군 지역에 대규모의 徙民을 실시했다. 하지만 1459년에 세조가 4군을 철폐한 뒤로 1869년 자성군이 다시 설치되기까지 이 지역은 여진족이 횡행하는 곳이었다.
본고에서 검토의 대상으로 삼은 1905년 평안북도 자성군 호적은 자성군이 다시 설치되고 불과 36년이 경과한 시점의 기록이다. 현존하는 자성군 호적은 다른 지역에 비해 인쇄나 기록 상태가 매우 좋지 않다. 항목명이나 칸이 제대로 보이지 않고, 먹이 번지거나 흐려서 내용을 파악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던 것이다. 질이 좋지 못한 값싼 먹과 종이를 사용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기록자의 글씨체도 매끄럽지 못하고 졸렬한 편이었다. 게다가 1905년 자성군 호적은 戶口의 누락이 심하고, 직업 기재시 날품팔이를 빼거나 상공업 종사자의 비중을 축소하는 등 부실하게 기재되었다.
이처럼 성의가 부족하고 부실하게 작성한 호적이라는 커다란 한계에도 불구하고, 자성군 호적은 당시 해당 지역의 상황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기도 하다. 자성군 호적을 분석한 결과, 1905년 자성군에는 兩班戶가 존재하지 않았고 커다란 집도 없었으며, 사회․경제적으로 매우 균질적인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자성군에는 당시 한반도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던 동족촌도 없었다. 가옥의 형태도 한반도의 여타 지역과 달랐다. 가옥은 통나무로 만들었으며, 지붕은 약 2cm 두께의 참나무 판을 50cm 정도로 잘라 얹는 형태로 조성하였다. 이러한 가옥을 ‘板家’라고 표현하였는데, 자성군의 모든 가옥이 板家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viewed the family register of Jasung-gun, Pyunganbuk-do, which was made in 1905. In 1905, Jasung-gun covered large area, composed of 3 guns (i.e., Yeyoun, Jasung, and Wooye) among Sejongdae 4 guns. The total area was 1,806㎢, which was a...
This study reviewed the family register of Jasung-gun, Pyunganbuk-do, which was made in 1905. In 1905, Jasung-gun covered large area, composed of 3 guns (i.e., Yeyoun, Jasung, and Wooye) among Sejongdae 4 guns. The total area was 1,806㎢, which was about the size of Jeju island (1,848㎢). King Sejong established the 4 guns in 1433 and moved a large number of people to the 4 guns in 1942. However, Jurchen dominated the land after King Sejo closed the 4 guns until Jasung-gun was reestablished in 1869.
The Jasung-gun family register in 1905 was a record only 36 years after it was reestablished. The existing Jasung-gun family register has poorer print and recording condition than other regions. Item name and squares are barely readable and often it was impossible to read the contents because Chinese ink was spread or lightened. It would be because low quality Chinese ink and paper was used. Moreover, the recorder’s handwriting was not smooth, rather poor. Moreover, the Jasung-gun family register in 1905 was poorly recorded. For example, it seriously missed too many houses; it omitted day labor in job recording; it reduced the number of commercial and industrial workers.
The Jasung-gun family register is a valuable historic record showing the status of the region at that time, although it was poorly and incompletely recorded<SUP>*</SUP>. Analysis on the Jasung-gun family register showed that Jasung-gun was composed of socially homogenous groups in 1905 and it did not have a house of nobleman and a mansion. The Jasung-gun did not have a town of a same last name, which was very common in the Korean peninsula<SUP>**</SUP>. The shape of houses was also different with that in other regions. All houses were made out of log and roof was made of 2㎝ thick and 50㎝ wide oak board. It was called ‘board’ house and all houses in the Jasung-gun were board hous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주, "한말 황해도 殷栗郡 南上里坊 호적표로 본 가족과 마을" 역사연구소 (81) : 155-181, 2014
2 김일환, "한국군사사 6-조선전기 2" 육군군사연구소 2012
3 岩井敬太郞, "顧問警察小誌" 韓國內部警務局 1910
4 丁若鏞, "與猶堂全書"
5 朝鮮總督府, "簡易國勢調査結果表"
6 "朝鮮王朝實錄"
7 주남철, "朝鮮時代 住宅建築의 空間特性論" 22 (22): 1978
8 박기서, "日帝의 朝鮮警察權 侵奪過程에 대한 硏究" 경희사학회 19 : 1995
9 越智唯七, "新舊對照 朝鮮全道府郡面里洞名稱一覽"
10 자성군지편찬위원회, "慈城郡誌"
1 이정주, "한말 황해도 殷栗郡 南上里坊 호적표로 본 가족과 마을" 역사연구소 (81) : 155-181, 2014
2 김일환, "한국군사사 6-조선전기 2" 육군군사연구소 2012
3 岩井敬太郞, "顧問警察小誌" 韓國內部警務局 1910
4 丁若鏞, "與猶堂全書"
5 朝鮮總督府, "簡易國勢調査結果表"
6 "朝鮮王朝實錄"
7 주남철, "朝鮮時代 住宅建築의 空間特性論" 22 (22): 1978
8 박기서, "日帝의 朝鮮警察權 侵奪過程에 대한 硏究" 경희사학회 19 : 1995
9 越智唯七, "新舊對照 朝鮮全道府郡面里洞名稱一覽"
10 자성군지편찬위원회, "慈城郡誌"
11 이헌창, "『民籍統計表』의 檢討" 한국고문서학회 9·10 : 1996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9-12-3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rklife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lklife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3 | 0.63 | 0.6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8 | 0.66 | 1.486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