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학과평가의 실증분석을 통해 학과단위 성과평가의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제안된 연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세가지이다. 첫 번째 연구문제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909687
청주 : 충북대학교, 2018
학위논문(박사) --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교육행정전공 , 2018. 8
2018
한국어
371 판사항(5)
충청북도
A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College Departments : Focusing on Factors Affecting Rank, Performance Change, and Institutional Efficiency
vii,145 p. : 삽화, 표 ; 26 cm.
충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됩니다.
지도교수:나민주
참고문헌 : p.135-145
I804:43009-00000005098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과평가의 실증분석을 통해 학과단위 성과평가의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제안된 연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세가지이다. 첫 번째 연구문제는...
본 연구의 목적은 학과평가의 실증분석을 통해 학과단위 성과평가의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제안된 연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세가지이다.
첫 번째 연구문제는 ‘학과평가에서 순위를 결정하는 요인의 특징은 무엇인가?’이다. 첫 번째 연구문제는 학과평가의 순위결과에 대한 학과단위 성과의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설정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델타모형을 적용한 회귀분석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학과단위의 성과는 연도에 따라 어떠한 변화 양상을 보이는가?’이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학과특성에 따라 학과단위 성과의 변화양상이 차이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해 설정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활용하였다.
세 번째 연구문제는 ‘학과평가 결과는 효율성 평가결과와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가?’이다. 세 번째 연구문제는 학과단위 성과의 효율성을 확인하여, 학과의 성과평가와 학과의 효율성 평가가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해 설정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DEA 모형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학과단위 성과의 순위결정력 크기순서는 실제 사례대학의 평가 가중치 크기순서와 상이한 양상을 보였다. 실제 학과단위의 성과가 성과평가 결과에 주는 영향력을 고려하여 평가 가중치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성과평가결과를 성과별로 순위를 제시한다면, 더욱 세밀한 학과단위 성과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학과단위 성과는 학과의 전공계열에 따라 상이한 변화양상을 보였다. 향후 학과의 특성에 따라 상이한 변화양상을 보이는 학과단위 성과의 경우, 학과의 특성별 차별적인 평가기준 설정이 필요하다.
셋째, 학과 효율성 순위가 높은 학과들은 실제 학과평가 순위결과보다 월등히 높은 순위를 보였다. 또한 이들은 다른 학과들에 비해 낮은 투입량 대비 높은 실적을 나타냈다. 향후 효율성 개념을 학과단위 성과평가에 반영하여 학과들의 성과향상을 위한 실제적인 개선방향이 제시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과단위의 성과평가에 관한 개선 논의를 위해 실증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둘째, 성과의 순위결정력, 성과의 변화양상, 효율성의 세 가지 측면에서, 학과평가의 평가지표, 배점 가중치, 평가분류 등 학과단위 성과평가체계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셋째, 학과단위 성과평가에 대한 다각적인 논의를 통해 관련 연구분석의 범위를 확대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departments at a university with the direction of improving performance evaluation through objective analysis of evaluation practice. In order to achieve the proposed research goals, this study raised three 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departments at a university with the direction of improving performance evaluation through objective analysis of evaluation practice. In order to achieve the proposed research goals, this study raised three research questions ;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to disclo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that determine the rank in departmental performance evaluation. In other word,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ries to answer the question of what are the defining factors affecting the rank of each individual department in performance evaluation. Trying to addressing the question, the study applied ordered logistic regression.
The next research question to figure out the longitudinal trend of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of departments. The second question focuses on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departments influence the changes in results of academic performance or not. A repeated measure Analysis of Variance (ANOVA) has been applied as the analytic strategy to answe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Lastly, the study tackles the question of how the results of performance evaluation of departments are associated with the efficiency analyses of them. Apply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the third research question confirms the relationship between departmental performance evaluation and efficiency measur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of all, the impact of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rank of each department was different than the weights of predictors in evaluating the departmental performance. The result indicates that it is required to monitor which performance indicator influences the rank of departmental evaluation. Based on the finding, departments might be able to do an intimate performance management by calculating the rank of departmental units by each predictor indicating the performance of the department.
The performance of each department varied by the major. The finding provides a good rationale why universities might need to set differentiated evaluation schema depending an departmental characteristics.
Third, a department showing a higher efficiency level revealed a far greater rank than the results of practical departmental rank in performance evaluation. In addition, those departments showed higher outcomes compared to the amount of inputs. The finding indicates that universities need to consider the concept of efficiency through which a practical improvement of departments might be able to be achieved.
Relying 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ovided : First, the study firstly attempted to analyze a hard data to provide policy suggestions to improve departmental performance evaluation. Another achievement of this study is to guide a way in which departmental performance evaluation could be improved by making evaluation criteria, weights of them, and evaluation categorization better from the perspective of performance rank determination, the trend of performance, and efficiency. Lastly, the resultant findings of this study enlarged the territory of relevant study by providing a broader ground for the discourse of departmental performance evalu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SAS데이터분석, 김충련, 21세기사, 파주: 21세기사, , 2011
2. DEA 경영효율성, 이준배, 명진, 서울: 명진출판사, , 2013
3. 고급통계분석론, 이희연, 법문사, 파주: 법문사, , 2012
4. 고급 SPSS 이해와 활용, 김성수, 황현식, 박성현, 한나래, 서울:한나래출판사, , 2011
5. 효율성과 생산성 분석, 박만희, 한국학술정보, 파주:한국학술정보(주), , 2008
6. 대학 학과 효율성 분석, 이정열, 교육문제연구, 44. 37-69, , 2012
7. 「정부정책과 성과평가」, 김영록, 한국학술정보, 파주: 한국학술정보, , 2011
8. 반복측정자료의 분산분석, 김유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3
9. 분산분석과 반복측정자료, 박동권, 민영사, 서울:민영사, , 2002
10. 대학평가제도에 관한 연구, 허귀진, 경희대학교 기업경영연구소, 기업경영연구, 8(1), 73-113, , 2002
1. SAS데이터분석, 김충련, 21세기사, 파주: 21세기사, , 2011
2. DEA 경영효율성, 이준배, 명진, 서울: 명진출판사, , 2013
3. 고급통계분석론, 이희연, 법문사, 파주: 법문사, , 2012
4. 고급 SPSS 이해와 활용, 김성수, 황현식, 박성현, 한나래, 서울:한나래출판사, , 2011
5. 효율성과 생산성 분석, 박만희, 한국학술정보, 파주:한국학술정보(주), , 2008
6. 대학 학과 효율성 분석, 이정열, 교육문제연구, 44. 37-69, , 2012
7. 「정부정책과 성과평가」, 김영록, 한국학술정보, 파주: 한국학술정보, , 2011
8. 반복측정자료의 분산분석, 김유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3
9. 분산분석과 반복측정자료, 박동권, 민영사, 서울:민영사, , 2002
10. 대학평가제도에 관한 연구, 허귀진, 경희대학교 기업경영연구소, 기업경영연구, 8(1), 73-113, , 2002
11. 성과관리 유형과 경영성과, 류량도,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8
12. 언론사 대학평가의 문제점, 윤태일, 관훈클럽, 관훈저널 겨울호, 129, 49-57, , 2013
13. 국립대학 성과평가모형 개발, 권혁주, 나민주, 김 용, 교육과학기술부, , 2011
14. 목표관리제도입에 관한 연구, 박준우,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0
15. 학문계열평가의 방향과 과제, 맹광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과, 연세의학교육, 2(1), 17-30, , 2000
16. 대학 구조개혁 평가결과 발표, 교육부, 교육부 보도자료, , 2015
17. 언론기관 대학평가 모형 탐색, 김병주,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18(3), 45-77, , 2000
18. 《효율성 분석, 이론과 활용》, 이동원, 최태성, 김성호, 서울: 서울경제경 영, , 2007
19. 대학의 성과 평가에 관한 연구, 신현대,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4
20. 대학의 학과평가 지표 개선방안, 김길훈, 제주대학교 관광과경영경제연구소, 산경논집, 34, 55-76, , 2015
21. 세계대학간 상대적 효율성 평가, 서인석, 신현대, 권기헌,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정책분석평가학 회보, 19(4), 95-128, , 2009
22. DEA를 이용한 학과별 효율성 평가, 송미자, 김우제, 서울산업대학교 논문집, 54(1), 287-294, , 2005
23. 성과관리를 위한 공공정책평가론, 김명수, 한국학술정보, 파주: 한국학술정보, , 2013
24. 대학교육성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홍희정,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 2009
25.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이해와 응용, 김순귀, 정동빈, 박영술, 서울: (주) 데이타솔루션, , 2003
26.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효율성 연구, 윤건호, 이훈병,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교육논총, 33(2), 101-118, , 2013
27. 한국 대학조직성과의 효율성 분석, 권오영, 이은국, 고제혁,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 보, 48(1), 133-155, , 2014
28. DEA를 활용한 대학원의 효율성 분석, 엄준용,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 2010
29. SPSS를 이용한 실험설계와 분산분석, 허명회, 강현철, 한상태, 서울: (주)데이타솔루션, , 2004
30. 대학 순위평가의 국가간 비교 연구, 이영학(Lee Younghak), 한국비교교육학회, 비교교육연구, 17(3), 139-165, , 2007
31. “대학특성별 대학경영 성과분석”, 염성수, 이도희, 한국회계정보학회, 재무와회계정보저널, 15(2), 57-80, , 2015
32. 한국 대학의 질적 수준 분석 연구(I), 정진철, 이정미, 최정윤, 성태제, 한국교육개발원, , 2007
33. 불완전한 반복측정 자료의 보정방법, 윤인진, 우해봉, 한국조사연구학회, 조사연구, 9(2), 1-27, , 2008
34. 학과평가 및 교원업적평가 운영방안, 최병태, 이택영, 서승교, 박영순, 대구산업정보대학, 대 구산업정보대학 논문지, 14, 391-406, , 2000
35. 대학 성과측정에 관한 차이분석 연구, 김경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 2009
36. 효율성 분석이론: DEA 자료포락분석법, 오동현, 지필미디어, 서울:(주)지필 미디어, , 2012
37. DEA와 MPI를 이용한 대학의 효율성 분석, 김화영,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3
38. DEA를 이용한 특수교육과의 효율성 분석, 김현태, 중부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 2012
39. 대학교육의 효과성 변인의 측정과 분석, 서민원,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1996
40. 우리나라 전문대학의 효율성 평가 연구, 정대범,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2011
41. DEA를 활용한 대학의 상대적 효율성 평가, 이황원(Lee Hwang Won), 한국경영교육학회, 경영교육연구, 55, 25-52, , 2009
42. 대학 경쟁력 평가를 위한 지표 개발 연구, 서영인(Seo Young In), 한국교육행정학회, 한국교육행정학연구, 27(2), 105-427, , 2009
43. 노인의 식품미보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자영(Cho, Jayoung),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사회연구, 35(4), 375-406, , 2015
44. 한국대학의 경쟁력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김범규, 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 2006
45. 한국의 실험대학의 도입과 전개과정 소고, 김성혜, 한국교육사학회, 한국교육사학, 21, 119-139, , 1999
46. 대학 경쟁력 제고를 위한 효율성 개선방안, 윤종운,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 2011
47.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대학평가체제 분석, 서영인, 중앙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 2003
48. 대학 성과정보 관리 및 평가체제 개선 연구, 채재은, 김진영, 교육과학기술부, , 2008
49. 우리나라 대학교육의 경쟁력 강화방안 연구, 이주헌, 한국교육현상해석학회, 현상해석학적 교 육연구, 11(1), 109-134, , 2014
50. 국립대학 행정의 성과관리 도입에 관한 연구, 정영균, 순천대학교, 순천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 2007
51. 대학교육역량의 성과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김경일,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 2013
52. 대학종합평가인정제의 평가체제에 관한 연구, 최금진, 연세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 2001
53. 한국대학의 성과분석 모형 및 지표 개발 연구, 서영인,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 , 2013
54. 성과중심 학교재정효율성 평가 예비모델 연구, 천세영,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18(3), 359-384, , 2000
55. 대학 자체평가보고서 내용 분석과 시사점 탐색, 이석열, 교육종합연구소, 교육종합연구, 9(3), 207-227, , 2011
56. 응용 로지스틱 회귀분석: 이론, 방법론, SAS활용, 성웅현, 서울: 도서 출판 탐진, , 2009
57. DEA와 AHP를 이용한 대학의 성과 평가에 관한 연구, 한유정, 한양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4
58. SPSS를 활용한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이 해와 응용, 김순귀, 박영술, 정동빈, 서울: 한나래출판사, , 2012
59. 고등교육의 국제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향과 과제, 이현청, 한국교육학회, 2004 한국교 육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23-51, , 2004
61. 언론사 대학평가의 문제점 논란을 다시 생각한다, 주현태, 대학교육, 185, 75-80, , 2014
62. DEA를 활용한 전국 대학 유아교육과의 효율성 분석, 이성룡,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교육재정 경제연구, 22(1), 163-183, , 2013
63. 가구특성을 고려한 주택구입자금 대출에 관한 분석, 구만수, 영산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 2014
64. 가중치를 적용한 교수업적 평가 결과의 종단적 분석, 김영록, 전남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0
65. 대학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사립대학 재정변인 분석, 김무영, 영남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4
66. 언론기관 자국 내 대학순위평가의 현황과 쟁점 분석, 이기석, 남수경, 한국비교교육학회, 비 교교육연구, 22(5), 99-125, , 2012
67. 한국 고등 교육의 성과 분석: 개념 정립과 지표 설정, 강무섭,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 육개발원, , 1984
68. 학령인구감소, 대학재정지원사업과 지역간 대학격차, 반상진, 교육종합연구소, 교육종합 연구, 14(2), 213-242, , 2016
69. 「대학평가정책의 변화와 지속에 대한 제도적 분석」, 박진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4
70. 자료포락분석을 통한 대학평가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우상규, 경운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8
71. 평가지표의 통계적 특성을 고려한 대학순위 결정 모형, 박영선, 대한산업공학회, 대한산 업공학회지, 40(1), 140-150, , 2014
72. 방송대 학과의 성공적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김정현, 전용오, 변지원 , 주형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원격교육연구소, , 2015
73. “우리나라 대학의 균형성과표 도입효과에 관한 연구”, 이성재, 경원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 2010
74. 자료포락분석과 토빗분석을 활용한 대학의 효율성 분석, 이건남, 인문사 회과학연구, 13(2), 267-293, , 2012
75. 중앙일보 대학평가 평가지표와 대학순위의 관련성 분석, 정은하, 중앙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2
76. 정부의 고등교육 재정지원사업 평가항 목 개선방안 연구, 김미란, 이다은, 김병주, 서영인, 한국교육개발원, , 2014
77. “지하상가 환경이 임대료 수준평가에 미치는 영향 분석”, 최열, 김종경,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46(3), 269-279, , 2011
78. 학과 및 지역대학평가 기준정비 및 지 표 신뢰도 점검 연구, 황지원, 김명진, 남나라, 양창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원격교육연구소, , 2016
79. 학문분야별 평가인증제 도입과 운영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곽진숙(Jin-Sook Kwak), 한국교육평가학회, 교 육평가연구, 24(3), 567-593, , 2011
80. 대형할인점의 효율성 분석을 위한 DEA모형 적용에 관 한 연구, 임영록, 박진희, 한국유통경영학회, 유통경영학회지, 10(2), 103-129, , 2007
81. 2000~2005년 수리영역 성취도 변화와 학교효과의 종단적 분 석, 임현정,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6
82. 사이버대학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재정요인 교육여건 분석, 김경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5
83. BSC를 활용한 전문대학 계열학과의 전략적 성과관리제도 구 축, 조진석,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0
84. 공공부문의 효율성 측정과 평가 : 프런티어분석의 이론과 적용, 유금록, 대영문화사, 서울: 대영문화사, , 2004
85. 대학의 교육 및 연구성과에 미치는 대학도서관 영향요인 연 구, 서만덕,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5
86. “실업 장애인의 구직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강은나, 맹진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장애와 고용, 21(2), 103-129, , 2011
87. 계층분석과정에 의한 학과(전공) 경쟁우위 평가요인에 대한 분 석, 이상석, 한국상업교육학회, 상업교육연구, 25(1), 65-84, , 2011
88. 민간자율 평가기구에 의한 학문분야평가의 평가체제에 관한 연 구, 최금진, 한국교육정치학회, 교육정치학연구, 18(1), 111-141, , 2011
89. 우리나라에 있어서 성과관리를 위한 평가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윤식,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7(3), 1-30, , 2007
90. 자료포락분석(DEA) 모형에 따른 대학의 효율성 과 대학평가결과 비교, 이호섭, 김성훈, 한국교육평가학회, 교육평가연구, 21(1), 1-26, , 2008
91. 대학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기 위해 고등교육평가원 설립이 필요 하다, 김경회,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교육, 143, PP.5-10, , 2006
92. 대학생의 커리어 적응성 예측을 위한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 모형 검증, 하선영,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6
93. 부가가치 모형을 적용한 고등교육 성과 평가: 취업률 지표를 중심으로, 이필남,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33(2), 343-368, , 2015
94. 대학의 질 개념에 근거한 주요국 언론기관 대학순위평 가의 문제점 분석, 최정윤, 이정미,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26(3), 301-324, , 2008
95. 대학 교육역량강화사업의 성과지표와 여건지표의 타당도와 신뢰 도 분석, 박경호,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교육재정경제연구, 19(4), 135-151, , 2010
96. 고등교육의 책무성 평가-회귀분석을 활용한 성과 기반 재정지원 방안 연구-, 이길재,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31(2), 279-296, , 2013
97. 아시아대학 순위 평가(THEAUR)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 준거 및 주요국 비교 분석, 이일용, 한국비교교육학회, 비교교육연구, 25(4), 145-167, , 2015
98. 언론기관의 대학평가 문제점과 개선방안 탐색: 중앙일보의 평가 를 중심으로, 이석열, 교육종합연구소, 교육종합연구, 6(1), 45-67, , 2008
99. “도 농노인의 삶의 만족도 분석을 통한 지역별 노인복지정책 우선순위 결정”, 조덕호, 최경희, 도시행정학보, 26(3), 49-70, , 2013
100. 대학간 M&A가 대학도서관 운영효율성에 미치는 효과 연구: DEA를 이용한 실증분석, 서재원,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6
101. 효율적인 국내은행의 순위변화 분석에 관한 연구: Super 효 율성 모형을 중심으로, 김호중, 조선대학교 대학원,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6
102. 한국의 전략적 성과관리정책에 관한 연구: 중앙부처의 성과 평가제도를 중심으로, 이창길,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7
103. 성과기준의 수준에 따른 외적 보상의 효과_집단 간 설계의 반복 측정 분석을 통하여, 정은실,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8
104. 우리나라 대학의 효율적인 성과관리제도 구축방안에 관한 연 구: 대학행정조직을 중심으로, 배재완, 한국정부학회(구 대구경북행정학회),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2
105. DEA모형을 활용한 사범대학 학과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교육 학과와 수학교육과를 중심으로, 차지철, 충북대학교,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5
107. 「공공조직 성과평가에서의 전략적 행위에 관한 연구 -공공 기관 경영평가 계량지표를 중심으로-」, 백승주,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6
108. 네트워크 효율성과 생산성지수를 활용한 대학운영의 효율성 비교분석: 대학정보공시자료를 중심으로, 최희선, 한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7
111. 자료포락분석(DEA)을 활용한 대학의 특성별 효율성 평가 연 구: 자료포락분석을 활용한 대학의 특성별 효율성 평가 연구, 이호섭, 동국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