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의 소학교 영어과 교육과정 분석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북한의 신교육강령에 따라서 집필된 영어과 교육과정 중에서 그동안 접하기 어려웠던 소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하여 소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

      본 연구는 최근 북한의 신교육강령에 따라서 집필된 영어과 교육과정 중에서 그동안 접하기 어려웠던 소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하여 소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북한의 소학교는 5년제이기 때문에 신교육강령에 따른 소학교 교수안 4학년과 5학년, 인민교육에 나온 신교육강령 해설서, 김정일선집등을 기본적인 자료로 입수 가능한 자료로 하였다. 분석방법은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를 분석대상 자료와 함께 김정일 선집에 나타난 외국어교육에 대한 언급을 중심으로 발췌 또는 취합하여 자료를 있는 그대로 기술하고, 내용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며, 북한 소학교 분석연구인 본 연구의 매락에서 평가한다. 북한의 교육과정은 우리와 달리 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로 구분하여 제시하지는 않고 섞여서 함께 제시되는데 이들 내용을 분류하여 우리한테 익숙한 서구식 교육과정의 범주인 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로 구분하여 분석한 내용을 기술한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신교육강령의 소학교 영어과 목표는 영어에 대한 흥미를 유지하고 영어 자모와 일상생활 소재를 중심으로 한 기초적인 영어를 익혀서 중학교 영어의 기초를 쌓는데 있다. 이에 따라서 4학년 1학기 때는 문자 없이 구어를 익히고 2학기에는 문자를 주로 익히고 5학년에서는 일상생활의 친숙한 주제를 영어로 익힌다. 교수방법은 교실영어를 사용하여 학생들이 영어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도록 격려하고 칭찬하면서 동시에 익혀야 될 언어적 요소는 반복 연습을 자주 시킨다. 평가는 과정중심의 평가를 통해서 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를 자극할 수 있도록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analyze and introduce the primary English curriculum of North Korea reformulated according to the New Educational Program. Sources for analysis are the 4th and 5th primary school English syllabus based on the New Educational Program...

      This paper aims to analyze and introduce the primary English curriculum of North Korea reformulated according to the New Educational Program. Sources for analysis are the 4th and 5th primary school English syllabus based on the New Educational Program, explanations of the New Educational Program appeared in People’s Education and Kim, Jeong-Il’s selected writings. The analytical sources are classified into characteristics, objectives,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primary English education aims to reach to the basis of middle school English by learning English alphabets and basic English expressions. 4th graders learn basic oral English such as pronunciation, stress and intonation for the first semester and learn English alphabets and their sounds for the second semester. 5th graders learn familiar topics in English and repeatedly practice the important components of English such as pronunciation, vocabulary and grammar. The method is to maintain students’ interests in English and encourage students to use classroom English. Also, structural practice is an important part of the method. Evaluation is primarily process-oriented and must motivate students to excel in English rather than fail in Englis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2. 연구방법
      • 3. 분석결과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2. 연구방법
      • 3. 분석결과
      • 4.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국신, "통일협상 과정에서 남북예멘 내부의 권력투쟁" 통일연구원 10 (10): 73-98, 2001

      2 김진숙, "통일 및 미래사회 대비 남북한 초중등학교의 통일교육과정 개발 방향" 교육과정평가원 2014

      3 리우석, "중등 일반교육 수준을 결정적으로 높일데대한 사상은 보통교육 부분에서 튼튼히 틀어쥐고 나가야 할 강령적 지침" (681) : 13-14, 2017

      4 오명수, "전반적 12년제 의무교육 강령의 특징" (681) : 21-22, 2017

      5 김용욱, "예멘과 독일의 통일사례 비교와 시사점: 통합 합의과정 및 통일방식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8 (28): 257-296, 2006

      6 조상현, "예멘 내전의 사적(史的) 재조명과 한반도 통일에 주는 함의" 육군군사연구소 (132) : 221-249, 2011

      7 리명희, "신교육강령에 따른소학교 영어교수안 4" 외국문도서출판사 2016

      8 안혜순, "신교육강령에 따른 소학교영어교수안 5" 외국문도서출판사 2016

      9 윤혁, "신교육 강령에 따른 영어과 평가" (681) : 62-64, 2017

      10 이동윤, "분단과 갈등, 그리고 통일: 독일, 예멘,베트남의 갈등관리 사례 비교" 통일연구원 11 (11): 179-204, 2002

      1 김국신, "통일협상 과정에서 남북예멘 내부의 권력투쟁" 통일연구원 10 (10): 73-98, 2001

      2 김진숙, "통일 및 미래사회 대비 남북한 초중등학교의 통일교육과정 개발 방향" 교육과정평가원 2014

      3 리우석, "중등 일반교육 수준을 결정적으로 높일데대한 사상은 보통교육 부분에서 튼튼히 틀어쥐고 나가야 할 강령적 지침" (681) : 13-14, 2017

      4 오명수, "전반적 12년제 의무교육 강령의 특징" (681) : 21-22, 2017

      5 김용욱, "예멘과 독일의 통일사례 비교와 시사점: 통합 합의과정 및 통일방식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8 (28): 257-296, 2006

      6 조상현, "예멘 내전의 사적(史的) 재조명과 한반도 통일에 주는 함의" 육군군사연구소 (132) : 221-249, 2011

      7 리명희, "신교육강령에 따른소학교 영어교수안 4" 외국문도서출판사 2016

      8 안혜순, "신교육강령에 따른 소학교영어교수안 5" 외국문도서출판사 2016

      9 윤혁, "신교육 강령에 따른 영어과 평가" (681) : 62-64, 2017

      10 이동윤, "분단과 갈등, 그리고 통일: 독일, 예멘,베트남의 갈등관리 사례 비교" 통일연구원 11 (11): 179-204, 2002

      11 이소영, "북한의 영어교과서 연구에 대한 비판적 개관: 1994년부터 2013년까지의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외국학연구소 (28) : 83-109, 2014

      12 유희연, "북한의 2013교육과정 개정 전·후 영어 교과서 구성 체제 비교" 한국콘텐츠학회 18 (18): 412-422, 2018

      13 김정원, "북한 초・중등 교육과정 및 교과서 정책 변화 방향" 한국교육개발원 42 (42): 29-55, 2015

      14 황서연, "북한 제1중학교 영어교과서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7 (17): 242-251, 2017

      15 홍정실, "북한 영어교과서의 통치 권력별 통시적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599-619, 2019

      16 김지영, "북한 영어 교과서 어휘의 통시적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7 (17): 331-341, 2017

      17 이소영, "북한 소학교 4학년 영어교과서의 ‘수정 완성된 전개된 집필요강’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983-1000, 2019

      18 주윤하, "북한 고급중학교 영어 교과서 읽기 지문의 코퍼스 분석" 21세기영어영문학회 32 (32): 201-220, 2019

      19 유희연, "북한 2013 교육과정 개정 전·후 영어교과서 코퍼스 기반 비교: 고급 중학교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603-622, 2019

      20 박약우, "남북한 중등학교 영어과 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7 (7): 163-194, 2000

      21 정채관, "남북한 공통 영어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외국어교육연구소 32 (32): 47-82, 2018

      22 김정일, "김정일선집, 제10권" 조선로동당출판사 2011

      23 정채관, "김정은 체제 북한 중학교 교육과정 연구: 총론과 영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외국학연구소 (39) : 147-166, 2017

      24 NK조선일보사, "北소학교서 컴퓨터, 영어 정규수업시작"

      25 H. D. Brown, "Teaching by principles: An interactive approach to language pedagogy" Pearson Education 2007

      26 J. Richards, "Curriculum development in language teach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27 김영숙, "2015 개정 초등영어 교육과정 내용체계표 분석"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4 (24): 31-51,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