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서벌턴이 말하는 방식: 서벌턴 타자들과의 윤리적 만남을 위하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481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 과제는 탈식민의 시대에 특정 계층의 여성들이 경험하는 폭압적인 식민의 경험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그러한 식민의 구조를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을 펼치는 과정에 대한 연...

      본 연구 과제는 탈식민의 시대에 특정 계층의 여성들이 경험하는 폭압적인 식민의 경험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그러한 식민의 구조를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을 펼치는 과정에 대한 연구이다. 특히 이러한 노력의 과정 속에서 그들의 탈식민적 주체성이 형성되는 과정에 대해서 연구한다. 이 연구는 서벌턴 타자에 대한 연구이면서, 동시에 탈식민주의 연구자들의 탈식민적 주제를 연구함에서 있어서의 종종 직면하게 되는 연구 윤리의 문제에 대한 연구이기도 하다. 이는 탈식민주의 연구자들이 서벌턴 타자를 연구의 수단으로서 취급하게 되는 문제를 어떻게 극복하며, 그들과의 이러한 수직적인 만남을 극복하고 좀 더 수평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는 그들과의 윤리적인 만남이 과연 어떻게 이루어 질 수 있는가 하는가의 문제이다. 이러한 연구 주제를 수행함에 있어서, 인도의 부족 여성들 (tribal women)의 탈식민적 주체성의 형성에 대한 연구를 위해서는 마하스웨타 데비 (Mahasweta Devi)의 단편 소설 중의 하나인 "Douloti the Bountiful"을 분석하고자 하며, 한국의 종군위안부들의 탈식민적 주체성에 대한 연구를 위해서는 변영주의 낮은 목소리 삼부작이라고 하는 기록 영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연구 주제를 심도 있게 이해/분석하기 위해서, 거야트리 스피박의 서벌턴에 대한 오랜 기간 축적된 연구가 이론적인 측면에서 상당한 도움을 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project aims to study the ways in which certain groups of women continue to be subject to violent colonial experiences even during the postcolonial period and attempt to overcome such colonial social structure. This paper gives particula...

      This research project aims to study the ways in which certain groups of women continue to be subject to violent colonial experiences even during the postcolonial period and attempt to overcome such colonial social structure. This paper give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ways in which those women form their postcolonial subjectivities in their efforts to overcome such colonial realities. This study is about subaltern others, and it also is concerned with the way in which scholars in postcolonial studies have to cope with ethical questions as they deal with postcolonial issues such as the subaltern. This is related to how postcolonial scholars deal with the reality that they have to use subaltern others as the means of their research and how they can overcome their vertical relationship with the subaltern and instead pursue a horizontal relationship with them that can possibly lead to their ethical relationship with them. To this end, this paper analyzes Mahasweta Devi’s “Douloti the Bountiful” to see how tribal women in India attempt to form postcolonial subjectivities, and director Byon Young-ju’s Nazen Moksori trilogy, documentary films to see how Korean surviving “comfort women” attempt to form their postcolonial subjectivities. Gayatri Spivak’s writings on the subaltern will pr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