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기술의 발전과 함께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의류제품 구매에 있어서 가상피팅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소비자 행동 연구가 부족하여 다양한 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623649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13(1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기술의 발전과 함께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의류제품 구매에 있어서 가상피팅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소비자 행동 연구가 부족하여 다양한 연...
최근 기술의 발전과 함께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의류제품 구매에 있어서 가상피팅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소비자 행동 연구가 부족하여 다양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에서 가상피팅을 이용하여 의류제품을 구매할 때 소비자들의 혁신성에 따라 가상피팅 유형이 사용의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가상피팅 관련 변수 중 구매의도 영향변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온라인에서 의류제품 가상피팅에 관련된 마케팅 전략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자료는 모바일 등 온라인을 통하여 의류제품을 구매한 적이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설문지전 가상피팅 유형에 대한 동영상을 시청하도록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test, 회귀분석,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혁신 소비자들이 저혁신 소비자들에 비하여 가상피팅 유형 중 간접피팅과 실재감을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가상피팅의 실재감이 높을수록 사용의도가 높았으며 이는 구매의도로 이어졌다. 그러나 직접피팅과 간접피팅의 영향은 소비자의 혁신성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소비자들의 구매의도 여부를 의미 있게 구별해줄 수 있는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수는 사용의도였고 다음으로 실재감, 간접피팅, 혁신성 순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자의 혁신성 등을 고려하여 가상피팅 사용의도를 높여 구매의도로 이어질 수 있도록 마케팅 전략을 구사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creasing interest in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virtual fittings are emerging in the purchase of apparel products.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consumer behavior, and various studi...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creasing interest in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virtual fittings are emerging in the purchase of apparel products.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consumer behavior, and various studies are neede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virtual fitting type on use intention and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the innovation of consumers when purchasing apparel products using virtual fitting online. Next, we tried to check the purchase intention influencing variables among the virtual fitting related variables. These findings could help marketing strategies related to virtual fitting of apparel products online. Data from the study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or college students who had purchased apparel products online. Before the questionnaire, the video about the virtual fitting type was watch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to analyze frequency, factor, reliability, t-test, regression, and discriminative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igh-innovation consumers are more aware of indirect fitting and presence among virtual fitting types than low-innovation consumers. Second, most consumers had higher intentions to use virtual fittings, which led to purchase intentions. However, the effects of direct and indirect fittings differ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sumer innovation. Third,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that can distinguish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was use intention, followed by presence, indirect fitting, and innov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ill use marketing strategies to increase the intention to use virtual fittings in consideration of consumer’s innovation tendencies and lead to purchase inten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현희, "혁신성과 가격민감도가 스마트의류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36 (36): 218-230, 2012
2 김성호, "증강현실을 이용한 3D 가상 피팅룸 시뮬레이터의 개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449-454, 2013
3 배승빈, "증강현실 패션제품의 이용경험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확장된 기술수용모형(ETAM)을 중심으로" 한양사이버대학교 경영대학원 2014
4 김서윤, "증강현실 체험, 실재감, 방문 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방문 경험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7 (27): 49-64, 2019
5 허철무, "증강현실 스포츠브랜드 광고의 프레즌스, 즐거움, 브랜드태도와 구매의도의 구조적 관계"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9 (19): 461-470, 2018
6 윤향련, "증강현실 기반 가상피팅 특성이 중국 소비자의 사용의도 및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2019
7 김진규, "인터넷 패션 쇼핑몰의 아바타 활용 개선 방안 연구"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2002
8 황수연, "의류 인터넷 쇼핑몰의 가상 아바타 피팅 모델이 소비자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기존 온라인 쇼핑몰 모델과 가상 피팅 아바타 모델 비교"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17 (17): 57-69, 2013
9 정지연,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의도에 관한 실증 연구: 수정된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205-212, 2017
10 김효경, "스타마케팅을 이용한 광고태도가 브랜드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대명리조트 비발디파크 오션월드를 중심으로 -" 대한관광경영학회 25 (25): 229-251, 2010
1 박현희, "혁신성과 가격민감도가 스마트의류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36 (36): 218-230, 2012
2 김성호, "증강현실을 이용한 3D 가상 피팅룸 시뮬레이터의 개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449-454, 2013
3 배승빈, "증강현실 패션제품의 이용경험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확장된 기술수용모형(ETAM)을 중심으로" 한양사이버대학교 경영대학원 2014
4 김서윤, "증강현실 체험, 실재감, 방문 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방문 경험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7 (27): 49-64, 2019
5 허철무, "증강현실 스포츠브랜드 광고의 프레즌스, 즐거움, 브랜드태도와 구매의도의 구조적 관계"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9 (19): 461-470, 2018
6 윤향련, "증강현실 기반 가상피팅 특성이 중국 소비자의 사용의도 및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2019
7 김진규, "인터넷 패션 쇼핑몰의 아바타 활용 개선 방안 연구"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2002
8 황수연, "의류 인터넷 쇼핑몰의 가상 아바타 피팅 모델이 소비자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기존 온라인 쇼핑몰 모델과 가상 피팅 아바타 모델 비교"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17 (17): 57-69, 2013
9 정지연,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의도에 관한 실증 연구: 수정된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205-212, 2017
10 김효경, "스타마케팅을 이용한 광고태도가 브랜드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대명리조트 비발디파크 오션월드를 중심으로 -" 대한관광경영학회 25 (25): 229-251, 2010
11 소문화, "스마트폰의 브랜드 인지도와 이미지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2018
12 양희순, "소비자의 기술 준비성, 패션 혁신성 및 참여수준 지각이 3차원 가상 피팅 시스템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36 (36): 269-281, 2012
13 소요한, "가상현실 디바이스의 해상도가 수용자 프레즌스 경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9 (19): 393-401, 2019
14 음효민, "가상피팅 경험을 위한 모바일 미디어 증강현실 사용성 평가요소 연구" 홍인대학교 2014
15 이경미, "가상 피팅 서비스 유형에 따른 성향조절초점이 패션브랜드 호의도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플로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5 (15): 315-323, 2014
16 "https://www.youtube.com/watch?v=k5UQl47d0Wk"
17 "https://www.youtube.com/watch?v=L9EwtGUTNz0"
18 허지연, "VR 파노라마의 사용자 경험과 디자인 요소가 쇼핑몰 태도와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림대학교 2019
19 Fiore A. M., "Influence of Image Interactivity Technology on Approach Responses Towards an Online Retailer" 13 (13): 2001
20 손명수, "AR가상 피팅 시스템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 (20): 991-1000, 2019
21 유승철, "AR 가상피팅 디지털사이니지가 쇼퍼에게 미치는 영향: 여성복 패션 매장에서 VMD 연출 기법과 제품 유형에 따른 광고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21 (21): 135-167, 2019
22 한광석, "3D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의 실재감과 상호작용성이 브랜드 경험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299-307, 2019
제조 데이터 분석 플랫폼의 모바일 터미널 사용자 연구 -창원 스마트산단 사례를 중심으로-
증강현실(AR)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패키지디자인 사례 및 요소 분석
Gestalt 시지각 법칙을 통해 분석한 모바일 UI디자인 연구 -삼성·애플 모바일 폰을 중심으로-
성인여성의 연령대에 따른 차이연령, 소비가치, 화장행동과 화장품 구매 행동 비교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5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2 | 0.5 | 0.732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