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의 국어 수업 문화에 대한 두가지 시선  :  H교사의 수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lass culture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208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lass culture and to gain insights on in what direction we may have to improve the teaching practice in Korea. In order to survey the Korean class culture, we decided to look into a class and find any instructional event or situation. From the event or situation, we tried to deduce the fundamental class culture. This study was a new attempt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lass culture. Studying how a Korean class is viewed by foreigners provided us with a chance to reflect on the teaching practice in Korea. Though the foreigners in this study had elementary education in their countries, they were very young at the time and teaching culture may have been changed since. If the same study was done with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other countries, more discussion on the lesson itself would have been possible. This has to be left for a future study.
      번역하기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lass culture and to gain insights on in what direction we may have to improve the teaching practice in Korea. In order to survey the Korean class culture, we decided to look into a cla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lass culture and to gain insights on in what direction we may have to improve the teaching practice in Korea. In order to survey the Korean class culture, we decided to look into a class and find any instructional event or situation. From the event or situation, we tried to deduce the fundamental class culture. This study was a new attempt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lass culture. Studying how a Korean class is viewed by foreigners provided us with a chance to reflect on the teaching practice in Korea. Though the foreigners in this study had elementary education in their countries, they were very young at the time and teaching culture may have been changed since. If the same study was done with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other countries, more discussion on the lesson itself would have been possible. This has to be left for a future stud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선, "초등학교문화의 탐구" 교육과학사 2002

      2 이정선, "초등학교 수업 중 진도 나가기의 유형과 사회적 맥락" 한국교육인류학회 7 (7): 131-174, 2004

      3 고창규, "초등학교 수업 문화와 수업개선"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9 : 59-98, 2005

      4 선주원, "초등학교 문학 교사의 수업 기법 평가 방법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7) : 103-134, 2005

      5 권순희, "초등학교 국어과 수업에 나타난 교사의 질문, 피드백 양상과 개선 방안" 한국어교육학회 (118) : 65-100, 2005

      6 이경화, "초등국어 수업 평가 기준 설정 및 수업 평가의 실제"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3 : 59-90, 2011

      7 김미혜, "초등 교사의 국어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PDS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3) : 63-102, 2010

      8 김병수, "참여 관찰을 통한 국어수업 문화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5) : 79-104, 2007

      9 이혁규, "자료집: 교실 수업 관찰과 비평" 청주교육대학교 2003

      10 Sünkel, W., "수업 현상학" 학지사 1996

      1 이정선, "초등학교문화의 탐구" 교육과학사 2002

      2 이정선, "초등학교 수업 중 진도 나가기의 유형과 사회적 맥락" 한국교육인류학회 7 (7): 131-174, 2004

      3 고창규, "초등학교 수업 문화와 수업개선"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9 : 59-98, 2005

      4 선주원, "초등학교 문학 교사의 수업 기법 평가 방법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7) : 103-134, 2005

      5 권순희, "초등학교 국어과 수업에 나타난 교사의 질문, 피드백 양상과 개선 방안" 한국어교육학회 (118) : 65-100, 2005

      6 이경화, "초등국어 수업 평가 기준 설정 및 수업 평가의 실제"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3 : 59-90, 2011

      7 김미혜, "초등 교사의 국어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PDS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3) : 63-102, 2010

      8 김병수, "참여 관찰을 통한 국어수업 문화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5) : 79-104, 2007

      9 이혁규, "자료집: 교실 수업 관찰과 비평" 청주교육대학교 2003

      10 Sünkel, W., "수업 현상학" 학지사 1996

      11 류현종, "사회과 수업 비평 : 예술비평적 접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12 이정숙, "문화현상으로서의 국어수업비평"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9) : 277-314, 2005

      13 조용환, "문화와 교육의 갈등-상생 관계" 한국교육인류학회 4 (4): 1-27, 2001

      14 최영환, "국어과 교수·학습 모형과 수업 설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6) : 419-445, 2008

      15 정재찬, "국어 수업 비평론" 국어교육학회 (25) : 389-420, 2006

      16 서현석, "국어 수업 관찰의 방법과 전망"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8) : 159-184, 2008

      17 이재승, "과정 중심의 작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국어교육학회 62 : 93-116, 2001

      18 박태호, "개선해야 할 초등 국어 수업 문화와 교사 대응" 청람어문교육학회 (38) : 7-36, 2008

      19 徐根源, "初等學校 “討議式 授業”의 文化記述的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2-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1 1.01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96 1.335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