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차치료가 종료된 유방암 환자의 부부친밀도에 따른 정신건강과 삶의 질 = The Influence of Marital Intimacy on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Surviv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994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d how marital intimacy affects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among disease-free breast cancer patients who completed primary treatment.
      Methods: The descriptive survey design was conducted using a convenient sample including 185 women who had completed primary breast cancer treatment. They completed surveys on marital intimacy, mental health,and quality of lif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alysis of variance,and analysis of covariance.
      Results: The high, moderate, and low marital intimacy groups consisted of 33.0%, 41.1%, and 25.9% of the subjects respectively. Differences in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three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high marital intimacy group scored lower in perceived anger (P=0.001), anxiety (P=0.003), confusion (P=0.010), and depression (P<0.001) than the low marital intimacy group. For total quality of life (P<0.001) and social well-being (P<0.001), the high marital intimacy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low marital group.
      Conclusions: Marital intimac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enriching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survivors.
      번역하기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d how marital intimacy affects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among disease-free breast cancer patients who completed primary treatment. Methods: The descriptive survey design was conducted using a convenient sampl...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d how marital intimacy affects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among disease-free breast cancer patients who completed primary treatment.
      Methods: The descriptive survey design was conducted using a convenient sample including 185 women who had completed primary breast cancer treatment. They completed surveys on marital intimacy, mental health,and quality of lif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alysis of variance,and analysis of covariance.
      Results: The high, moderate, and low marital intimacy groups consisted of 33.0%, 41.1%, and 25.9% of the subjects respectively. Differences in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three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high marital intimacy group scored lower in perceived anger (P=0.001), anxiety (P=0.003), confusion (P=0.010), and depression (P<0.001) than the low marital intimacy group. For total quality of life (P<0.001) and social well-being (P<0.001), the high marital intimacy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low marital group.
      Conclusions: Marital intimac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enriching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survivo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유방암관련 일차치료가 종료된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부부친밀도, 정신건강과 삶의 질을 파악하고 부부친밀도에 따른 정신건강과 삶의 질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 소재 일 대학병원과 일 여성전문병원의 유방클리닉을 방문하여 배우자가 있는 유방암 환자 총 185명으로, 자료수집기간은 2008년 3월부터2008년 12월까지이었다. 부부친밀도는 Waring23)이 개발한Marital Intimacy 질문지를 Kim24)이 번역, 수정한 도구를이용하였고, 삶의 질은 한국어판 FACT-B, 정신건강은Sutherland, Walker와 Till25)이 개발한 LASA Scale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부부친밀도 평균 점수는 20.36점이었으며 상위 25%인 높은 부부친밀도를 보인 대상자는 33.0%,중간 50%인 중간정도의 부부친밀도를 보인 대상자는41.1%, 하위 25%인 낮은 부부친밀도군은 25.9%이었다.
      부부친밀도에 따른 정신건강과 삶의 질의 차이에서는 부부친밀도가 높은 대상자가 부부친밀도가 낮은 대상자보다분노, 불안, 혼돈 및 우울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에서도 부부친밀도가 높을수록 전체 삶의 질 점수도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하부영역에서는 사회적안녕에서 부부친밀도가 높은 대상자의 삶의 질 점수가 부부친밀도가 낮은 대상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부부친밀도는 일차치료가 종료된 유방암 환자의정신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주요요인으로 유방암생존자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 방안의 하나로 부부친밀도를 높이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번역하기

      연구배경: 유방암관련 일차치료가 종료된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부부친밀도, 정신건강과 삶의 질을 파악하고 부부친밀도에 따른 정신건강과 삶의 질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배경: 유방암관련 일차치료가 종료된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부부친밀도, 정신건강과 삶의 질을 파악하고 부부친밀도에 따른 정신건강과 삶의 질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 소재 일 대학병원과 일 여성전문병원의 유방클리닉을 방문하여 배우자가 있는 유방암 환자 총 185명으로, 자료수집기간은 2008년 3월부터2008년 12월까지이었다. 부부친밀도는 Waring23)이 개발한Marital Intimacy 질문지를 Kim24)이 번역, 수정한 도구를이용하였고, 삶의 질은 한국어판 FACT-B, 정신건강은Sutherland, Walker와 Till25)이 개발한 LASA Scale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부부친밀도 평균 점수는 20.36점이었으며 상위 25%인 높은 부부친밀도를 보인 대상자는 33.0%,중간 50%인 중간정도의 부부친밀도를 보인 대상자는41.1%, 하위 25%인 낮은 부부친밀도군은 25.9%이었다.
      부부친밀도에 따른 정신건강과 삶의 질의 차이에서는 부부친밀도가 높은 대상자가 부부친밀도가 낮은 대상자보다분노, 불안, 혼돈 및 우울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에서도 부부친밀도가 높을수록 전체 삶의 질 점수도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하부영역에서는 사회적안녕에서 부부친밀도가 높은 대상자의 삶의 질 점수가 부부친밀도가 낮은 대상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부부친밀도는 일차치료가 종료된 유방암 환자의정신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주요요인으로 유방암생존자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 방안의 하나로 부부친밀도를 높이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연실, "중년기 기혼남녀의 부부의사소통과 부부친밀감이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5 (25): 1-23, 2007

      2 구본진, "중년 여성의 극복력, 희망, 부부친밀감 및 가족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 17 (17): 421-430, 2008

      3 조옥희, "유방암 환자의 수술 후 심리사회적 적응, 부부친밀도 및 가족지지" 대한종양간호학회 9 (9): 129-135, 2009

      4 박진희, "유방암 생존자의 신체적 증상, 정서적 증상과 삶의 질" 한국간호과학회 39 (39): 613-621, 2009

      5 황종귀, "암환자가 지각한 가족지지와 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부담감 및 신체적·심리적 건강" 한국가족관계학회 10 (10): 173-198, 2005

      6 Waring EM, "The measurement of marital intimacy" 10 (10): 185-192, 1984

      7 Falagas ME, "The effect of psychosocial factors on breast cancer outcome: a systematic review" 9 (9): R44-, 2007

      8 Sutherland HJ, "The development of a method for determining oncology patients' emotional distress using linear analogue scales" 11 (11): 303-308, 1988

      9 Yoo YS, "Spouse support, sexual satisfaction and marital intimacy of post-mastectomy patients" 15 (15): 145-156, 2001

      10 Pelusi J, "Sexuality and body image" 106 : 32-38, 2006

      1 최연실, "중년기 기혼남녀의 부부의사소통과 부부친밀감이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5 (25): 1-23, 2007

      2 구본진, "중년 여성의 극복력, 희망, 부부친밀감 및 가족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 17 (17): 421-430, 2008

      3 조옥희, "유방암 환자의 수술 후 심리사회적 적응, 부부친밀도 및 가족지지" 대한종양간호학회 9 (9): 129-135, 2009

      4 박진희, "유방암 생존자의 신체적 증상, 정서적 증상과 삶의 질" 한국간호과학회 39 (39): 613-621, 2009

      5 황종귀, "암환자가 지각한 가족지지와 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부담감 및 신체적·심리적 건강" 한국가족관계학회 10 (10): 173-198, 2005

      6 Waring EM, "The measurement of marital intimacy" 10 (10): 185-192, 1984

      7 Falagas ME, "The effect of psychosocial factors on breast cancer outcome: a systematic review" 9 (9): R44-, 2007

      8 Sutherland HJ, "The development of a method for determining oncology patients' emotional distress using linear analogue scales" 11 (11): 303-308, 1988

      9 Yoo YS, "Spouse support, sexual satisfaction and marital intimacy of post-mastectomy patients" 15 (15): 145-156, 2001

      10 Pelusi J, "Sexuality and body image" 106 : 32-38, 2006

      11 Holmberg SK, "Relationship issues of wowen with breast cancer" 24 (24): 53-60, 2001

      12 Kim Y, "Quality of life of couples dealing with cancer: dyadic and individual adjustment among breast and prostate cancer survivors and their spousal caregivers" 35 (35): 230-238, 2008

      13 Dizon DS, "Quality of life after breast cancer: survivorship and sexuality" 15 (15): 500-504, 2009

      14 Phillips KA, "Psychosocial factors and survival of young women with breast cancer: a population-based prospective cohort study" 26 (26): 4666-4671, 2008

      15 Nezu AM, "Project Genesis: assessing the efficacy of problem-solving therapy for distressed adult cancer patients" 71 (71): 1036-1048, 2003

      16 Manne S, "Partner unsupportive responses, avoidance and distress among women with early stage breast cancer: patient and partner perspectives" 24 (24): 635-641, 2005

      17 Yang HC, "Marital quality and survivorship: slowed recovery for breast cancer patients in distressed relationships" 115 (115): 217-228, 2009

      18 McNair DM, "Manual for the profile of mood states" Educational and Industrial Testing Service 1971

      19 Manne S, "Intimacy and relationship processes in couples' psychosocial adaptation to cancer" 112 (112): 2541-2555, 2008

      20 Wimberly SR, "Harris SD, Antoni MH. Perceived partner reactions to diagnosis and treatment of breast cancer: impact on psychosocial and psychosexual adjustment" 73 (73): 300-311, 2005

      21 Waring EM, "Dimensions of intimacy in marriage" 44 (44): 169-175, 1981

      22 Dorval M, "Couples who get closer after breast cancer: frequency and predictors in a prospective investigation" 23 (23): 3588-3596, 2005

      23 Cappiello M, "Breast cancer survivors: information and support after treatment" 16 (16): 278-293, 2007

      24 Paskett ED, "Breast cancer survivor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acial differences and comparisons with noncancer controls" 113 (113): 3222-3230, 2008

      25 Ganz PA, "Breast cancer in younger women: reproductive and late health effects of treatment" 21 (21): 4184-4193, 2003

      26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Breast cancer facts and figures 2006-2008"

      27 Fobair P, "Body image and sexual problems in young women with breast cancer" 15 (15): 579-594, 2006

      28 Pielage SB, "Adult attachment, intimacy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a clinical and community sample" 12 (12): 455-464, 2005

      29 Rowland JH, "Addressing intimacy and partner communication after breast cancer: a randomized controlled group intervention" 118 (118): 99-111, 2009

      30 Kim SN, "A structural model for quality of life in women having hysterectomies [disertation]" Yonsei University 1998

      31 Mellon S, "A population-based study of the quality of life of cancer survivors and their family caregivers" 29 (29): 120-131,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11-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5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4 0.80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