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임파워먼트, 학업탄력성이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Empowerment and Academic Resilience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Nursing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23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파워먼트, 학업탄력성, 긍정심리자본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Y시와 S시에 소재하고 있는 3개 대학교 간호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9년 4월 20일부터 5월 10일까지 설문조사를 통해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은 임파워먼트(r=.610, p<.001), 학업탄력성(r=669, p<.001)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업탄력성이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58.7이었다(F=19.47, p<.001).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을 강화하기 위해 학업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파워먼트, 학업탄력성, 긍정심리자본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Y시와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파워먼트, 학업탄력성, 긍정심리자본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Y시와 S시에 소재하고 있는 3개 대학교 간호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9년 4월 20일부터 5월 10일까지 설문조사를 통해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은 임파워먼트(r=.610, p<.001), 학업탄력성(r=669, p<.001)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업탄력성이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58.7이었다(F=19.47, p<.001).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을 강화하기 위해 학업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empowerment, academic resilience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nursing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0 nursing students in the three colleges located Y and S city and 20 April 2019 to 10 May 2019.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20.0. program.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nursing student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mpowerment(r=.610, p<.001) and academic resilience(r=669, p<.001). The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indicates the academic resilience predict 58.7%(F=19.47, p<.001)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cademic resilience increase education program for strateg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nursing students.
      번역하기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empowerment, academic resilience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nursing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empowerment, academic resilience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nursing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0 nursing students in the three colleges located Y and S city and 20 April 2019 to 10 May 2019.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20.0. program.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nursing student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mpowerment(r=.610, p<.001) and academic resilience(r=669, p<.001). The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indicates the academic resilience predict 58.7%(F=19.47, p<.001)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cademic resilience increase education program for strateg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nursing stud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미라,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임파워먼트와 의료관련감염 관리 표준주의지침 인지도가 수행도에 미치는 요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259-267, 2019

      2 어용숙, "임상간호사의 임파워먼트, 사회적 지지, 조직몰입, 소진 및 이직의도간의 경로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17 (17): 1683-1697, 2015

      3 강수돌, "인적자원 개발과 학문의 식민화" 역사문제연구소 (92) : 43-73, 2010

      4 이규용, "심리적자본이 임파워먼트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안전경영과학회 12 (12): 289-300, 2010

      5 박진영, "성인대학생용 학업탄력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안암교육학회 15 (15): 215-239, 2009

      6 이순늠,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개념분석" 간호행정학회 23 (23): 181-190, 2017

      7 최익성, "긍정심리자본,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창의성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3571-3586, 2014

      8 서가원, "간호대학생의 학업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229-240, 2016

      9 신수진, "간호대학생의 학업탄력성과 대인관계유능성이 행복감에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20 (20): 156-163, 2018

      10 서요한, "간호대학생의 학업탄력성과 내현적자기애, 대인관계능력 및 자기효능감과의 인과적 관계"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35 (35): 1156-1174, 2018

      1 정미라,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임파워먼트와 의료관련감염 관리 표준주의지침 인지도가 수행도에 미치는 요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259-267, 2019

      2 어용숙, "임상간호사의 임파워먼트, 사회적 지지, 조직몰입, 소진 및 이직의도간의 경로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17 (17): 1683-1697, 2015

      3 강수돌, "인적자원 개발과 학문의 식민화" 역사문제연구소 (92) : 43-73, 2010

      4 이규용, "심리적자본이 임파워먼트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안전경영과학회 12 (12): 289-300, 2010

      5 박진영, "성인대학생용 학업탄력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안암교육학회 15 (15): 215-239, 2009

      6 이순늠,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개념분석" 간호행정학회 23 (23): 181-190, 2017

      7 최익성, "긍정심리자본,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창의성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3571-3586, 2014

      8 서가원, "간호대학생의 학업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229-240, 2016

      9 신수진, "간호대학생의 학업탄력성과 대인관계유능성이 행복감에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20 (20): 156-163, 2018

      10 서요한, "간호대학생의 학업탄력성과 내현적자기애, 대인관계능력 및 자기효능감과의 인과적 관계"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35 (35): 1156-1174, 2018

      11 배영주, "간호대학생의 학업탄력성 설명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1615-1622, 2014

      12 신소홍,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학업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22 (22): 14-24, 2016

      13 진종임, "간호대학생의 투지(Grit), 학업탄력성 및 심리적 안녕감" 한국간호교육학회 23 (23): 175-183, 2017

      14 김영경, "간호대학생의 지각한 스트레스, 우울, 긍정심리자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20 (20): 1579-1593, 2018

      15 이하나,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임파워먼트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292-300, 2016

      16 노기옥, "간호대학생의 완벽주의와 학업탄력성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 23 (23): 205-213, 2017

      17 김유미,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112-122, 2016

      18 최연희,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및 임파워먼트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4604-4613, 2015

      19 박인숙, "간호대학생의 셀프 임파워먼트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및 성과의 관계" 경영연구원 7 (7): 13-26, 2013

      20 정승은, "간호대학생의 성격유형, 셀프리더십, 긍정심리자본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 25 (25): 393-404, 2019

      21 이소영,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융합적 영향요인" 한국융합학회 9 (9): 269-279, 2018

      22 김동옥,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신체적 건강상태, 우울, 대인관계 및 학습몰입의 관련성 연구" 한국융합학회 11 (11): 349-357, 2020

      23 정은,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 학업스트레스, 학업성취도가 그릿(Grit)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309-317, 2018

      24 김유미,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이 긍정심리자본과 심리적 웰빙에 주는 교육적 함의"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309-323, 2017

      25 E. Y. Jeong, "The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on career barriers and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girls" Myongji University 2013

      26 E. H. Kim., "Relationships of nursing professionalism, self-leadership and empowerment of nursing students" 4 (4): 532-541, 2016

      27 G. M. Spreitzer.,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place : Dimension, measurement and validation" 38 (38): 1442-1465, 1996

      28 F. Luthans,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in the workplace : The impact of hope, optimism, and resiliency" 33 (33): 774-800, 2007

      29 F. Luthans.,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 Developing and managing psychological strengths" 16 (16): 57-75, 2002

      30 B. D. Ku, "Effects to transformation leadership and paternalistic leadership on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2-06-01 평가 등재학술지 취소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디지털정책연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3-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디지털정책학회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9 1.59 1.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5 1.34 1.61 0.6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