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기계체조 선수들의 정신력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925808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2010. 2. 졸업

      • 발행연도

        2010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 53 p. : 삽화.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경숙
        참고문헌: p. 45-47

      • 소장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중·고등학교 기계체조선수들의 정신력 수준을 알아보고 나아가 정신력이 경기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방법으로는 국내 중·고등학교 에 소속되어 있는 남녀 기계체조선수 226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응답한 설문지를 회수한 후 Window용 SPSS 17.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설문지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신뢰도 분석 (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연구 대상자들의 정신력 하위수준과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t-검증, 일원분산분석(one wey ANOVA) 및 사후분석(post-hoc test), 단순회귀분석등의 통계분석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기계체조선수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정신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서는 자신감, 각성조절, 주의조절, 긍정적 에너지 부분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요인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상에 따른 정신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정신력의 모든 부분에서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경력에 따른 정신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신감, 시각화와 심상조절, 동기수준, 태도조절에서 경력이 오래될수록 정신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요인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경기력에 따른 정신력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자신감, 시각화와 심상조절, 동기수준, 태도조절에서 우수선수가 비우수 선수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각성조절, 주의조절, 긍정적 에너지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유의한 차이를 보인 자신감, 시각화와 심상조절, 동기수준, 태도조절은 무두 비우수 선수보다 우수선수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정신력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자신감, 시각화와 심상조절, 동기수준, 태도조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각성조절, 주의조절, 긍정적 에너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중·고등학교 기계체조 선수들의 경기력은 정신력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중·고등학교 체조선수들에게 있어 자신감, 시각화와 심상조절, 동기수준, 태도조절이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정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지도자 또한 선수들에게 이러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심리기술훈련을 선수에게 충분히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심리기술 훈련이 선수들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현장의 체육 지도자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 또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국내 중·고등학교 기계체조선수들의 정신력 수준을 알아보고 나아가 정신력이 경기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방...

      본 연구는 국내 중·고등학교 기계체조선수들의 정신력 수준을 알아보고 나아가 정신력이 경기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방법으로는 국내 중·고등학교 에 소속되어 있는 남녀 기계체조선수 226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응답한 설문지를 회수한 후 Window용 SPSS 17.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설문지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신뢰도 분석 (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연구 대상자들의 정신력 하위수준과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t-검증, 일원분산분석(one wey ANOVA) 및 사후분석(post-hoc test), 단순회귀분석등의 통계분석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기계체조선수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정신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서는 자신감, 각성조절, 주의조절, 긍정적 에너지 부분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요인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상에 따른 정신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정신력의 모든 부분에서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경력에 따른 정신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신감, 시각화와 심상조절, 동기수준, 태도조절에서 경력이 오래될수록 정신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요인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경기력에 따른 정신력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자신감, 시각화와 심상조절, 동기수준, 태도조절에서 우수선수가 비우수 선수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각성조절, 주의조절, 긍정적 에너지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유의한 차이를 보인 자신감, 시각화와 심상조절, 동기수준, 태도조절은 무두 비우수 선수보다 우수선수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정신력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자신감, 시각화와 심상조절, 동기수준, 태도조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각성조절, 주의조절, 긍정적 에너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중·고등학교 기계체조 선수들의 경기력은 정신력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중·고등학교 체조선수들에게 있어 자신감, 시각화와 심상조절, 동기수준, 태도조절이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정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지도자 또한 선수들에게 이러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심리기술훈련을 선수에게 충분히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심리기술 훈련이 선수들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현장의 체육 지도자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 또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ntal toughness of secondary school artistic gymnasts and the impact of their mental toughness on performan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26 secondary school boys and girls who were artistic gymnasts.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answer sheets were analyzed with a SPSS/WIN Ver. 17.0 program. A reliability analysis was carried out to check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study, and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ost-hoc test and simple regression procedures were utilized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their mental toughness on performa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background variables involving gender and mental toughness, the boys excelled the girls in confidence, awakening control, attention regulation and positive energy, and no gender gaps were found in the other factors. In terms of mental toughness, the middle school players were ahead of the high school players in every aspect of mental toughness. As to connections between career and mental toughness, a longer career led to better confidence, better visualization, better image control, higher motivation level and better attitude regul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ther factors.
      Second, in relation to the influence of performance on mental toughness, the excellent players surpassed the nonexcellent ones in confidence, visualization, image control, motivation level and attitude regulation, and no significant gaps were found in awakening control, attention regulation and positive energ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fidence, visualization, image control, motivation level and attitude regulation, and the excellent players outdid the nonexcellent ones in those regards.
      Third, as for the impact of mental toughness on performance, mental toughness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confidence, visualization, image control, motivation level and attitude regulation, but that exert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awakening control, attention regulation and positive energy.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ary school artistic gymnasts was under the influence of their mental toughness. Specifically, their performance was affected by confidence, visualization, image control, motivation level and attitude regulation. Therefore the kind of programs that aim at boosting mental toughness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for players to undergo sufficient psychological training. Besides, P.E. instructors should receive systematic reeducation in order to provide superb psychological training to playe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ntal toughness of secondary school artistic gymnasts and the impact of their mental toughness on performan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26 secondary school boys and girls who were artistic gymna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ntal toughness of secondary school artistic gymnasts and the impact of their mental toughness on performan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26 secondary school boys and girls who were artistic gymnasts.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answer sheets were analyzed with a SPSS/WIN Ver. 17.0 program. A reliability analysis was carried out to check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study, and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ost-hoc test and simple regression procedures were utilized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their mental toughness on performa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background variables involving gender and mental toughness, the boys excelled the girls in confidence, awakening control, attention regulation and positive energy, and no gender gaps were found in the other factors. In terms of mental toughness, the middle school players were ahead of the high school players in every aspect of mental toughness. As to connections between career and mental toughness, a longer career led to better confidence, better visualization, better image control, higher motivation level and better attitude regul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ther factors.
      Second, in relation to the influence of performance on mental toughness, the excellent players surpassed the nonexcellent ones in confidence, visualization, image control, motivation level and attitude regulation, and no significant gaps were found in awakening control, attention regulation and positive energ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fidence, visualization, image control, motivation level and attitude regulation, and the excellent players outdid the nonexcellent ones in those regards.
      Third, as for the impact of mental toughness on performance, mental toughness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confidence, visualization, image control, motivation level and attitude regulation, but that exert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awakening control, attention regulation and positive energy.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ary school artistic gymnasts was under the influence of their mental toughness. Specifically, their performance was affected by confidence, visualization, image control, motivation level and attitude regulation. Therefore the kind of programs that aim at boosting mental toughness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for players to undergo sufficient psychological training. Besides, P.E. instructors should receive systematic reeducation in order to provide superb psychological training to play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B. 연구문제 = 5
      • C. 연구의 제한점 = 5
      • D. 용어의 정의 = 6
      • Ⅰ. 서론 =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B. 연구문제 = 5
      • C. 연구의 제한점 = 5
      • D. 용어의 정의 = 6
      • Ⅱ. 이론적 배경 = 8
      • A. 기계 체조의 이해와 역사 = 8
      • 1. 세계 기계체조의 역사 = 8
      • 2. 한국 기계체조의 역사 = 9
      • B. 체조경기 세부 종목별 특성 = 11
      • C. 정신력의 정의와 요인 = 15
      • 1. 정신력 정의 = 15
      • 2. 정신력 요인 = 17
      • D. 경기력과 정신력의 관계 = 23
      • Ⅲ. 연구 방법 = 25
      • A. 연구 대상 = 25
      • B. 연구도구 = 26
      • C. 설문지의 신뢰도 = 27
      • D. 자료분석 = 28
      • Ⅳ. 연구결과 = 29
      • A. 배경변인(성별, 대상, 경력)에 따른 정신력 차이 = 29
      • B. 경기력에 따른 정신력 차이 = 36
      • C. 정신력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 38
      • Ⅴ. 논의 및 결론 = 40
      • A. 논의 = 40
      • B. 결론 = 43
      • 참고문헌 = 45
      • 부록 설문지 = 48
      • ABSTRACT = 5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