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09개정 교육과정의 [과학/실과] 교과군 도입 및 설정의 준거에 대한 타당성 분석 연구 = Validity Analysis on a course grouping [Science/Practical Arts] and its rationale in the 2009 Curriculum Revi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561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a course group [Science/Practical Arts] defined in the 2009 Curriculum Revision in terms of grouping rationale and its validity with the content analysis methodology. More specifically, the authors see and check the resemblance of two areas in educational goals, objectives of learning or academic exploration, educational methodology, and practical life styles. Content analysis, comparison, and reanalysis are executed for this research, to find that two courses are not so close in many ways of references that may not be grouped as one group. That is, they do differ in educational goals, in objectives of learning or academic exploration, in educational methodology, and in practical life styles, except a small piece that may be subject to potential debate.
      The academic finding imply that 2009 Curriculum Revision might have been introduced, lacking serious preview or preparation of expert group in those area, by a small group of unbalanced an biased judgement or perception. It is worthwhile to consider any potential chaos, challenges given to Practical Arts, and internal conflicts between the course and Science, expected to occur at schools adopting the official curriculum.
      번역하기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a course group [Science/Practical Arts] defined in the 2009 Curriculum Revision in terms of grouping rationale and its validity with the content analysis methodology. More specifically, the authors see and check the resem...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a course group [Science/Practical Arts] defined in the 2009 Curriculum Revision in terms of grouping rationale and its validity with the content analysis methodology. More specifically, the authors see and check the resemblance of two areas in educational goals, objectives of learning or academic exploration, educational methodology, and practical life styles. Content analysis, comparison, and reanalysis are executed for this research, to find that two courses are not so close in many ways of references that may not be grouped as one group. That is, they do differ in educational goals, in objectives of learning or academic exploration, in educational methodology, and in practical life styles, except a small piece that may be subject to potential debate.
      The academic finding imply that 2009 Curriculum Revision might have been introduced, lacking serious preview or preparation of expert group in those area, by a small group of unbalanced an biased judgement or perception. It is worthwhile to consider any potential chaos, challenges given to Practical Arts, and internal conflicts between the course and Science, expected to occur at schools adopting the official curriculu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도입된 [과학/실과] 교과군에 대하여 그 설정의 준거 및 그 타당성에 대해 내용분석방법을 통해 고찰한 것이다. 교육과정 개발자에 의해 교과군의 도입배경으로 제시된, 교육목적상의 근접성, 학문탐구대상의 유사성, 학문방법상의 인접성, 실제 생활양식에서의 상호연관성 등이 타당한지 확인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과학과와 실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의 많은 내용을 분석하였고, 제시된 자료의 내용 중 비교의 의미를 갖는 부분을 따로 재분석하거나 표시하면서 위의 준거에 대해 하나씩 고찰하였다.
      그 결과, 과학과와 실과가 하나의 교과군으로 묶일 만큼의 교육목적, 학문탐구대상, 학문방법상의 유사성, 인접성, 근접성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다만, 매우 부분적으로 그러한 유사성, 근접성, 인접성에 대해 논쟁의 근거가 될 만한 부분도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2009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교과군 도입에서 그 준거에 대한 어떠한 사전 연구나 학문적 검증이 없는 채, 비전문가들에 의해, 일부 집단의 왜곡된 판단과 인식에 따라 교과군이 도입되었음을 시사한다. 2009개정 교육과정이 본격 적용시 예상되는 학교현장의 혼란과 실과 교과 입장에서의 많은 도전을, 그리고 과학교과와 실과교과 간 내부간섭현상 등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도입된 [과학/실과] 교과군에 대하여 그 설정의 준거 및 그 타당성에 대해 내용분석방법을 통해 고찰한 것이다. 교육과정 개발자에 의해 교과군의 도입배경...

      본 연구는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도입된 [과학/실과] 교과군에 대하여 그 설정의 준거 및 그 타당성에 대해 내용분석방법을 통해 고찰한 것이다. 교육과정 개발자에 의해 교과군의 도입배경으로 제시된, 교육목적상의 근접성, 학문탐구대상의 유사성, 학문방법상의 인접성, 실제 생활양식에서의 상호연관성 등이 타당한지 확인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과학과와 실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의 많은 내용을 분석하였고, 제시된 자료의 내용 중 비교의 의미를 갖는 부분을 따로 재분석하거나 표시하면서 위의 준거에 대해 하나씩 고찰하였다.
      그 결과, 과학과와 실과가 하나의 교과군으로 묶일 만큼의 교육목적, 학문탐구대상, 학문방법상의 유사성, 인접성, 근접성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다만, 매우 부분적으로 그러한 유사성, 근접성, 인접성에 대해 논쟁의 근거가 될 만한 부분도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2009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교과군 도입에서 그 준거에 대한 어떠한 사전 연구나 학문적 검증이 없는 채, 비전문가들에 의해, 일부 집단의 왜곡된 판단과 인식에 따라 교과군이 도입되었음을 시사한다. 2009개정 교육과정이 본격 적용시 예상되는 학교현장의 혼란과 실과 교과 입장에서의 많은 도전을, 그리고 과학교과와 실과교과 간 내부간섭현상 등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광우, "핵심역량 기반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방안 탐색을 위한 세미나" 2009

      2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수학, 과학, 실과-" 2008

      3 김용익, "초등 실과 전기ㆍ전자 교육 내용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8 (8): 1-22, 2002

      4 교육과학기술부,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2007

      5 전세경, "실과 교육과정 내용을 중심으로 한 교과 간 교육내용 중복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18 (18): 115-142, 2005

      6 전세경, "실과 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 나타난 실과교과의 본질과 현상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19 (19): 195-218, 2006

      7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위원회, "미래형 교육과정 구상(안)" 2009

      8 교육과학기술부, "과학 교육과정" 2007

      9 교육과학기술부, "2009개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2009

      10 전세경, "2009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본 실과 교과에 대한 도전과 전망"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1-28, 2010

      1 이광우, "핵심역량 기반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방안 탐색을 위한 세미나" 2009

      2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수학, 과학, 실과-" 2008

      3 김용익, "초등 실과 전기ㆍ전자 교육 내용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8 (8): 1-22, 2002

      4 교육과학기술부,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2007

      5 전세경, "실과 교육과정 내용을 중심으로 한 교과 간 교육내용 중복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18 (18): 115-142, 2005

      6 전세경, "실과 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 나타난 실과교과의 본질과 현상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19 (19): 195-218, 2006

      7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위원회, "미래형 교육과정 구상(안)" 2009

      8 교육과학기술부, "과학 교육과정" 2007

      9 교육과학기술부, "2009개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2009

      10 전세경, "2009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본 실과 교과에 대한 도전과 전망"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1-28, 2010

      11 교육과학기술부, "2009개정 교육과정 바로알기. in: 교육과정 심의회 참고자료"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5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7 1.367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