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푸드카빙데코레이션 교육생의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른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변화와 차이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Changes and Differences in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Food Carving Decoration Trainees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317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food carving decoration trainees change and how the changes in depression and self-esteem differ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at the high schools, universities, private workshops, and academies where food carving decoration classes were held for one year from January 1st to December 31st of 2019. A total of 600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food carving decoration trainees, out of which 528 copi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a decrease in depression and an increase in self-esteem were found in trainees of both genders after receiving the food-carving decoration training.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mean value of △ in both depression and self-esteem between male and female trainees. On the other hand, analysis by age group showed that depression did not decrease significantly after food-carving decoration training in teenagers, and analysis by educational background showed that depression did not decrease at a significant level for trainees attending high school.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food carving decoration trainees change and how the changes in depression and self-esteem differ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food carving decoration trainees change and how the changes in depression and self-esteem differ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at the high schools, universities, private workshops, and academies where food carving decoration classes were held for one year from January 1st to December 31st of 2019. A total of 600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food carving decoration trainees, out of which 528 copi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a decrease in depression and an increase in self-esteem were found in trainees of both genders after receiving the food-carving decoration training.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mean value of △ in both depression and self-esteem between male and female trainees. On the other hand, analysis by age group showed that depression did not decrease significantly after food-carving decoration training in teenagers, and analysis by educational background showed that depression did not decrease at a significant level for trainees attending high schoo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푸드카빙데코레이션 교육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서 우울증과 자아존중감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푸드카빙데코레이션 교육생의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라서 우울증과 자아존중감의 변화량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2019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약 1년간 수업이 진행됐던 고등학교, 대학교, 개인공방, 학원 등에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고, 총 600부를 배부하여 528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성별에 따라서 남녀 모두 푸드카빙데코레이션 교육을 받은 후 우울증이 감소하였고, 자아존중감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고, 남녀에 따라 △평균값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연령대에 따라서 10대의 경우에는 푸드카빙데코레이션 교육 후 우울증이 유의하게 감소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에 따라서도 고등학교 재학중인 경우 유의한 수준으로 우울증이 감소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푸드카빙데코레이션 교육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서 우울증과 자아존중감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푸드카빙데코레이션 교육생의 인구통계학적특...

      본 연구는 푸드카빙데코레이션 교육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서 우울증과 자아존중감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푸드카빙데코레이션 교육생의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라서 우울증과 자아존중감의 변화량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2019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약 1년간 수업이 진행됐던 고등학교, 대학교, 개인공방, 학원 등에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고, 총 600부를 배부하여 528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성별에 따라서 남녀 모두 푸드카빙데코레이션 교육을 받은 후 우울증이 감소하였고, 자아존중감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고, 남녀에 따라 △평균값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연령대에 따라서 10대의 경우에는 푸드카빙데코레이션 교육 후 우울증이 유의하게 감소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에 따라서도 고등학교 재학중인 경우 유의한 수준으로 우울증이 감소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성연, "화예디자인의 관점에서 바라본 푸드스타일링의 시각적 특성 도출"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6) : 3-34, 2012

      2 김기진, "호텔 및 레스토랑 조리사들의 카빙 데코레이션에 대한 중요도 및 필요성 인식에 관한 연구" (사)한국조리학회 14 (14): 150-160, 2008

      3 이민수, "한국우울증척도의 개발"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2 (42): 2003

      4 문혜영, "푸드코디네이터의 역할 인식도에 관한 연구" 한국외식경영학회 10 (10): 249-265, 2007

      5 고윤희, "푸드카빙데코레이션의 교육몰입이 심리적 치유, 러브마크,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연구학회 33 (33): 107-121, 2019

      6 김기진, "푸드카빙데코레이션 마스터" 한국카빙데코레이션협회 2012

      7 손정희, "푸드카빙데코레이션 교육에 의한 자아존중감 향상 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한국조리학회 26 (26): 194-205, 2020

      8 김기진, "푸드카빙데코레이션 교육수준에 따른 주의 집중력 및 취업자신감에 관한 연구: 고등학생 및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외식경영학회 19 (19): 27-47, 2016

      9 손정희, "푸드카빙데코레이션 교육 수강 전과 후의 우울증 변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외식경영학회 23 (23): 369-389, 2020

      10 한국카빙데코레이션협회, "카빙이벤트" (4) : 46-73, 2018

      1 박성연, "화예디자인의 관점에서 바라본 푸드스타일링의 시각적 특성 도출"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6) : 3-34, 2012

      2 김기진, "호텔 및 레스토랑 조리사들의 카빙 데코레이션에 대한 중요도 및 필요성 인식에 관한 연구" (사)한국조리학회 14 (14): 150-160, 2008

      3 이민수, "한국우울증척도의 개발"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2 (42): 2003

      4 문혜영, "푸드코디네이터의 역할 인식도에 관한 연구" 한국외식경영학회 10 (10): 249-265, 2007

      5 고윤희, "푸드카빙데코레이션의 교육몰입이 심리적 치유, 러브마크,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연구학회 33 (33): 107-121, 2019

      6 김기진, "푸드카빙데코레이션 마스터" 한국카빙데코레이션협회 2012

      7 손정희, "푸드카빙데코레이션 교육에 의한 자아존중감 향상 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한국조리학회 26 (26): 194-205, 2020

      8 김기진, "푸드카빙데코레이션 교육수준에 따른 주의 집중력 및 취업자신감에 관한 연구: 고등학생 및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외식경영학회 19 (19): 27-47, 2016

      9 손정희, "푸드카빙데코레이션 교육 수강 전과 후의 우울증 변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외식경영학회 23 (23): 369-389, 2020

      10 한국카빙데코레이션협회, "카빙이벤트" (4) : 46-73, 2018

      11 한국카빙데코레이션협회, "카빙마스터의 인터뷰" (3) : 83-89, 2018

      12 김기진, "카빙 데코레이션에 대한 인식조사와 필요성에 관한 연구 :조리사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8

      13 김기진, "카빙 데코레이션 인지도와 구매 의도가 가격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대구 지역을 중심으로 -" (사)한국조리학회 16 (16): 28-42, 2010

      14 김기진, "카빙 데코레이션 교육에 대한 조리사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사)한국조리학회 14 (14): 237-248, 2008

      15 김수지, "집단미술치료가 특수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27 (27): 131-151, 2020

      16 성정은, "집단미술치료가 우울 성향 주부의 우울감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0 (30): 257-282, 2014

      17 김선명, "집단미술치료가 대학 운동선수의 우울감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20 (20): 811-834, 2013

      18 장혜경,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성 질환을 앓는 노인들의 의사소통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12 (12): 681-701, 2005

      19 임지향,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 및 결혼만족도에 대한 현실요법 미술치료사례연구" 3 (3): 25-48, 2018

      20 천세경, "주부 우울증을 가진 중년 여성의 미술치료 단일 사례 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8

      21 윤석주, "전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부모양육태도의 조절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22 문진영, "이스털린 역설에 대한 연구-만족점의 존재여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64 (64): 53-77, 2012

      23 하병환, "이러닝의 학습동기 및 학업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9 (9): 69-92, 2009

      24 김성희, "우울증환자 가족의 부담감과 정신건강,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5 Anderson, N. T., "우울증을 극복하기 위한, 내가 누구인지이제 알았습니다" 조이 선교회 2006

      26 문숙재, "예비노인의 은퇴와 경제적 복지의 예측" 12 (12): 115-131, 2001

      27 노대겸, "여성청소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우울에 미치는 효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591-600, 2019

      28 공혜진, "양식 메뉴 푸드 스타일링 디자인과 미각 이미지 연관성 연구" 한국외식경영학회 17 (17): 33-54, 2014

      29 장수경, "식품 조리학" 백산출판사 1990

      30 노혜영, "식공간에서 화예디자인의 고객 만족도에 관한 연구 : 한·양식당 비교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07

      31 이나희, "식공간 연출기법 및 인지도가 소비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32 장혜경, "비행청소년의 불안 감소 및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 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23 (23): 141-166, 2016

      33 김은하, "부인의 우울과 화병이 남편의 우울과 화병에 미치는 영향과 결혼 만족도의 조절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4837-4846, 2013

      34 김유경, "만다라 집단미술치료가 정신분열증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13 (13): 7-7, 2006

      35 최성욱, "대학생의 교양무용수업 참여동기가 생활스트레스와 무망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36 이경은, "내용분석을 통한 외식산업에서의 서비스품질의 영향분석: 소비자와 연구자의 인식의 차이" 한국외식경영학회 11 (11): 7-30, 2008

      37 한국카빙데코레이션협회, "교육" (5) : 34-85, 2019

      38 양승용, "관광객 이미지에 근거한 제주 지역 관광객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연구학회 22 (22): 217-230, 2008

      39 Harter, S., "The development of the self" Academic Press 1985

      40 Stuart, G. W, "The Dynamics of Self-Growth in Nurse-Client Interactin" The C.V. Mosby 348-, 1976

      41 Sim, K., "Subjective quality of life in first episode schizophrenia spectrum disorders with comorbid depression" 12 (12): 141-147, 2004

      42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43 전병제,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11 (11): 107-130, 1974

      44 Rogers, C. R., "On becoming a person" Houghton Mifflin 1961

      45 Harris, T. J. R., "Couples’ experiences of the support process in depression : A phenomenological analysis" 79 (79): 1-21, 2006

      46 Sheikh, J. L., "Clinical gerontology-a guide to assessment and intervention" Haworth Press 198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45 2.45 2.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48 2.37 2.735 0.6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