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The Development of a Spoken Language-Focused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and Its Application Effe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317086

      • 저자
      • 발행사항

        익산 : 원광대학교, 200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원광대학교 , 유아교육학과 , 2008. 2

      • 발행연도

        2007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75.1

      • 발행국(도시)

        전북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vii, 199p. ; 26cm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우석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poken language-focused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and find out its effects on their expression and comprehension capabilities as well as their language and thinking abilities. It is also aimed at examining the changes in children's disposition and attitudes with regard to their spoken language skills.
      The following questions are the core research topics:
      1. How should the spoken language-focused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e organized?
      1) What should be the goal and objectives of the program?
      2) What should be the contents of the program?
      3) What should be the teaching method?
      4) How should the program be evaluated?
      2. What are the application effects of the spoken language-focused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1) What effects does the program have on children's expression and comprehension capabilities?
      2) What effects does the program have on children's language and thinking abilities?
      3) What changes does the program bring about in the children's disposition and attitudes regarding their spoken language skills?
      The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dures:
      First, a literature survey regarding the development and education of spoken language;
      Second, in-depth interviews with 20 teachers at education institutes for young children in order to assess the current situation of spoken language education and find out the teachers' needs;
      Third, the preparation of a draft program on the basis of the literature survey and the interview results; and,
      Fourth, verification of the draft program's validity by four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fessors and on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professor.
      Through these development procedures, the program came to be composed of its goal and objectives,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s well as an evaluation syst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children of ages 4, who were enrolled in two classes at a kindergarten located in I city, Jeollabuk-do. One class was assigned to be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to be the control group. For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poken language-focused language education program was applied for 13 weeks. Independent t-tests were administered for these children to evaluate their expression and comprehension capabilities as well as their language and thinking abilities. The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changes in the children's disposition and attitudes regarding their spoken language.
      This study ha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spoken language-focused language education program was composed in the following manner.
      First, the goal and objectives of the program were constructed with the aim of improving young children's spoken language skills in terms of knowledge as well as processes and emotions.
      Second, the contents of this program consisted of materials related to the aspects of knowledge, processes and attitudes. The knowledge of contents were divided into three parts of form, contents, and use. The form-related contents were consisted of phonology, morphology and syntax. The contents and use parts were composed of semantics and pragmatics, respectively. The process of contents were consisted of materials to help children learn procedural techniques needed for thinking based on perception, analytical thinking, synthesis thinking and reasoning thinking. The attitude of contents were organized in such a way as to help children develop positive dispositions to enjoy listening and speaking, and develop attitudes needed for correct listening and speaking.
      Thir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this program consisted of the principles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teacher's role, types of educational activities, group formation,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for spoken language educatio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inciples provided in this study included the following ones; 'Listening and speaking should be considered as a continuous process,' 'Opportunities to listen to a variety of sounds as well as abundant talk materials should be provided,' 'The teacher should use correct pronunciation, words and sentences, thus becoming a desirable model for listening and talking,' and 'The teacher should form an environment that encourages and supports listening and speaking.'
      As teacher's roles, the program offered the following points; 'Providing opportunities for children to listen carefully and speak confidently', 'Setting an example so that children can use correct pronunciation, words and sentences', 'Asking appropriate questions to help children maintain dialogue', 'Showing proper responses so that children can enjoy listening and speaking', 'Fostering a permissive classroom environment that prompts children to listen and speak'.
      The types of educational activities were composed of story sharing, language games, discussion after listening to fairy tales, and drama plays.
      As for group formation, large groups should be the mainstream, but there should be a diversity so that mid-sized and small groups can exist concurrently. Depending on the interest and response of children, there may be transition from group activities to individual ones.
      As for the physical environment, the program called for the arrangement of such items as a felt board, magnet materials, various dolls, story books, puzzle cards, materials for recording and listening, talking game cards, tape recordings of various sounds, photos and picture materials, telephones and microphones.
      Fourth, this program is constructed in such a way that the validity of its goal and objectives, contents as well as i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ould be evaluated through the collection of the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and the products made as a result of the children's activities.
      2. The spoken language-focused language education program brought about the following effects.
      The program produced positive effects in terms of knowledge, process and attitudes regarding their spoken language skills. Specifically, there was improvement in the children's expression and comprehension capabilities as well as in their procedural skills needed for listening and speaking while thinking perceptively, analytically, synthetically and reasonably. The children also be to develop positive dispositions to enjoy listening and speaking assertively, curiously, fluently, flexibly, sensitively and exquisitely. They also developed attitudes that made them respect others by taking turns in listening and speaking.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poken language-focused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and find out its effects on their expression and comprehension capabilities as well as their language and thinking abilities. It is also 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poken language-focused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and find out its effects on their expression and comprehension capabilities as well as their language and thinking abilities. It is also aimed at examining the changes in children's disposition and attitudes with regard to their spoken language skills.
      The following questions are the core research topics:
      1. How should the spoken language-focused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e organized?
      1) What should be the goal and objectives of the program?
      2) What should be the contents of the program?
      3) What should be the teaching method?
      4) How should the program be evaluated?
      2. What are the application effects of the spoken language-focused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1) What effects does the program have on children's expression and comprehension capabilities?
      2) What effects does the program have on children's language and thinking abilities?
      3) What changes does the program bring about in the children's disposition and attitudes regarding their spoken language skills?
      The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dures:
      First, a literature survey regarding the development and education of spoken language;
      Second, in-depth interviews with 20 teachers at education institutes for young children in order to assess the current situation of spoken language education and find out the teachers' needs;
      Third, the preparation of a draft program on the basis of the literature survey and the interview results; and,
      Fourth, verification of the draft program's validity by four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fessors and on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professor.
      Through these development procedures, the program came to be composed of its goal and objectives,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s well as an evaluation syst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children of ages 4, who were enrolled in two classes at a kindergarten located in I city, Jeollabuk-do. One class was assigned to be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to be the control group. For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poken language-focused language education program was applied for 13 weeks. Independent t-tests were administered for these children to evaluate their expression and comprehension capabilities as well as their language and thinking abilities. The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changes in the children's disposition and attitudes regarding their spoken language.
      This study ha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spoken language-focused language education program was composed in the following manner.
      First, the goal and objectives of the program were constructed with the aim of improving young children's spoken language skills in terms of knowledge as well as processes and emotions.
      Second, the contents of this program consisted of materials related to the aspects of knowledge, processes and attitudes. The knowledge of contents were divided into three parts of form, contents, and use. The form-related contents were consisted of phonology, morphology and syntax. The contents and use parts were composed of semantics and pragmatics, respectively. The process of contents were consisted of materials to help children learn procedural techniques needed for thinking based on perception, analytical thinking, synthesis thinking and reasoning thinking. The attitude of contents were organized in such a way as to help children develop positive dispositions to enjoy listening and speaking, and develop attitudes needed for correct listening and speaking.
      Thir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this program consisted of the principles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teacher's role, types of educational activities, group formation,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for spoken language educatio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inciples provided in this study included the following ones; 'Listening and speaking should be considered as a continuous process,' 'Opportunities to listen to a variety of sounds as well as abundant talk materials should be provided,' 'The teacher should use correct pronunciation, words and sentences, thus becoming a desirable model for listening and talking,' and 'The teacher should form an environment that encourages and supports listening and speaking.'
      As teacher's roles, the program offered the following points; 'Providing opportunities for children to listen carefully and speak confidently', 'Setting an example so that children can use correct pronunciation, words and sentences', 'Asking appropriate questions to help children maintain dialogue', 'Showing proper responses so that children can enjoy listening and speaking', 'Fostering a permissive classroom environment that prompts children to listen and speak'.
      The types of educational activities were composed of story sharing, language games, discussion after listening to fairy tales, and drama plays.
      As for group formation, large groups should be the mainstream, but there should be a diversity so that mid-sized and small groups can exist concurrently. Depending on the interest and response of children, there may be transition from group activities to individual ones.
      As for the physical environment, the program called for the arrangement of such items as a felt board, magnet materials, various dolls, story books, puzzle cards, materials for recording and listening, talking game cards, tape recordings of various sounds, photos and picture materials, telephones and microphones.
      Fourth, this program is constructed in such a way that the validity of its goal and objectives, contents as well as i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ould be evaluated through the collection of the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and the products made as a result of the children's activities.
      2. The spoken language-focused language education program brought about the following effects.
      The program produced positive effects in terms of knowledge, process and attitudes regarding their spoken language skills. Specifically, there was improvement in the children's expression and comprehension capabilities as well as in their procedural skills needed for listening and speaking while thinking perceptively, analytically, synthetically and reasonably. The children also be to develop positive dispositions to enjoy listening and speaking assertively, curiously, fluently, flexibly, sensitively and exquisitely. They also developed attitudes that made them respect others by taking turns in listening and speak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만 4세 유 아에게 적용하여 유아의 표현언어 및 이해언어 능력, 언어 및 사고 능력에 미치는 효 과를 검증하고, 음성언어의 성향 및 태도 변화를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 구성은 어떠한가?
      1)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2)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은 어떠한가?
      3)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의 교수방법은 어떠한가?
      4)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떠한가?
      2.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 적용 효과는 어떠한가?
      1)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유아 표현언어 및 이해언어 능력 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유아 언어 및 사고 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3)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유아 음성언어의 성향과 태도 변 화에는 어떠한가?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해 개발되었다. 첫째, 음성언어 발달과 교육에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였다. 둘째, 음성언어 교육 실태 및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를 2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하였다. 셋째, 관련문헌 분석 결과와 음성언어 교육 실태 및 요구 조사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프로그램 시안을 구성하였다. 넷째, 유아교육학과 교수 4인과 국어국문학과 교수 1인에게 프로그램 시안에 대해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이러한 개발 과정에 따라 유아 음성언어 중심의 언어교육 프로그램 교육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 습 방법, 평가 체제가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I 시에 소재한 M 유치원의 만 4세 유아 40명이다. 연구 자는 2학급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임의 배정하였다. 실험집단 유아에 게는 음성언어 중심의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13주 동안 적용되었다. 실험 집단 유아에 게는 표현언어 및 이해언어와 언어 및 사고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전-사후 증가 분에 대한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교사의 반성적 저널을 분석하여 음성언어 의 성향과 태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음성언어 중심의 언어교육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첫째, 본 프로그램의 교육 목적 및 목표는 유아 음성언어의 지식적 측면과 과정적 측면의 향상, 그리고 정의적 측면의 형성을 위하여 구성되었다.
      둘째, 본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은 지식, 과정기술, 성향 및 태도에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지식에 대한 교육내용은 언어의 구조에 따라 형식·내용·사용 측면으로 분류하고, 형식은 음운론·형태론·구문론으로, 내용은 의미론으로, 사용은 화용론에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과정기술에 대한 교육내용은 지각적·분석적·종합적· 추리적으로 사고하며 듣고 말하는 과정기술을 익히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성 향과 태도에 대한 교육내용은 듣기와 말하기를 즐기는 긍정적인 성향과 바르게 듣고 말하는 태도가 형성될 수 있도록 내용이 구성되었다.
      셋째, 본 프로그램의 교수·학습방법은 교수·학습의 원리, 교사의 역할, 교육활동 의 유형, 집단구성의 형태, 음성언어 교육을 위한 물리적 환경으로 구성되었다.
      교수·학습원리로는 ‘듣기와 말하기를 연속적인 과정으로 간주한다’, ‘다양한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경험과 풍부한 말할 거리를 제공해야 한다’, ‘교사는 정확한 발음·단 어·문장을 사용하여 듣기와 말하기의 바람직한 모델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듣기와 말하기를 격려하고 지지해 주는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로 구성되었다.
      교사의 역할로는 '유아가 주의 깊게 듣고 자신감 있게 말할 수 있도록 기회 제공하 기', '유아가 정확한 발음·단어·문장을 사용할 수 있도록 모범 보이기', '유아가 대화 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질문하기', '유아가 듣고 말하기를 즐길 수 있도록 적절 한 반응하기', '유아의 듣기와 말하기를 촉진할 수 있는 허용적인 교실 분위기 조성하 기'로 구성되었다.
      교육활동의 유형은 이야기 나누기, 언어게임, 동화 듣고 토의하기, 극놀이로 구성되 었다. 집단구성의 형태는 대집단을 중심으로 하되, 중집단, 소집단이 병행될 수 있게 다양하게 구성하고, 유아의 흥미와 반응에 따라 개별활동으로 전이될 수 있도록 하였 다.
      물리적 환경으로는 융판자료, 자석자료, 각종 인형, 동화책, 이야기 꾸미기 자료, 수 수께끼카드, 녹음하고 들을 수 있는 자료, 말하기 게임카드, 다양한 소리가 녹음된 테 이프, 사진 및 그림 자료, 전화기, 마이크가 비치되도록 구성되었다.
      넷째, 본 프로그램의 평가는 교사의 반성적 저널과 유아의 활동 결과물을 수집하여 프 로그램의 교육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의 적절성을 평가하도록 구성 되었다.
      2.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 적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음성언어 지식·과정·정의적 측면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즉, 유아의 표현언어 및 이해언어 능력이 향상되었 고, 지각적·분석적·종합적·추리적으로 사고하면서 듣고 말하는 과정기술이 향상되 었다. 그리고 음성언어의 성향 및 태도 변화 관련해서 유아는 도전적이며 호기심 많 게, 유창하고 융통성 있게, 민감하고 정교하게 듣기와 말하기를 즐기는 긍정적인 성향 을 형성하였으며, 태도 변화 관련해서 교대로 듣고 말하는 태도와 상대방을 배려하는 태도가 형성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만 4세 유 아에게 적용하여 유아의 표현언어 및 이해언어 능력, 언어 및 사고 능력에 미치는 효 과를 검증하고, 음성...

      본 연구의 목적은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만 4세 유 아에게 적용하여 유아의 표현언어 및 이해언어 능력, 언어 및 사고 능력에 미치는 효 과를 검증하고, 음성언어의 성향 및 태도 변화를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 구성은 어떠한가?
      1)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2)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은 어떠한가?
      3)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의 교수방법은 어떠한가?
      4)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떠한가?
      2.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 적용 효과는 어떠한가?
      1)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유아 표현언어 및 이해언어 능력 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유아 언어 및 사고 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3)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유아 음성언어의 성향과 태도 변 화에는 어떠한가?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해 개발되었다. 첫째, 음성언어 발달과 교육에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였다. 둘째, 음성언어 교육 실태 및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를 2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하였다. 셋째, 관련문헌 분석 결과와 음성언어 교육 실태 및 요구 조사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프로그램 시안을 구성하였다. 넷째, 유아교육학과 교수 4인과 국어국문학과 교수 1인에게 프로그램 시안에 대해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이러한 개발 과정에 따라 유아 음성언어 중심의 언어교육 프로그램 교육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 습 방법, 평가 체제가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I 시에 소재한 M 유치원의 만 4세 유아 40명이다. 연구 자는 2학급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임의 배정하였다. 실험집단 유아에 게는 음성언어 중심의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13주 동안 적용되었다. 실험 집단 유아에 게는 표현언어 및 이해언어와 언어 및 사고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전-사후 증가 분에 대한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교사의 반성적 저널을 분석하여 음성언어 의 성향과 태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음성언어 중심의 언어교육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첫째, 본 프로그램의 교육 목적 및 목표는 유아 음성언어의 지식적 측면과 과정적 측면의 향상, 그리고 정의적 측면의 형성을 위하여 구성되었다.
      둘째, 본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은 지식, 과정기술, 성향 및 태도에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지식에 대한 교육내용은 언어의 구조에 따라 형식·내용·사용 측면으로 분류하고, 형식은 음운론·형태론·구문론으로, 내용은 의미론으로, 사용은 화용론에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과정기술에 대한 교육내용은 지각적·분석적·종합적· 추리적으로 사고하며 듣고 말하는 과정기술을 익히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성 향과 태도에 대한 교육내용은 듣기와 말하기를 즐기는 긍정적인 성향과 바르게 듣고 말하는 태도가 형성될 수 있도록 내용이 구성되었다.
      셋째, 본 프로그램의 교수·학습방법은 교수·학습의 원리, 교사의 역할, 교육활동 의 유형, 집단구성의 형태, 음성언어 교육을 위한 물리적 환경으로 구성되었다.
      교수·학습원리로는 ‘듣기와 말하기를 연속적인 과정으로 간주한다’, ‘다양한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경험과 풍부한 말할 거리를 제공해야 한다’, ‘교사는 정확한 발음·단 어·문장을 사용하여 듣기와 말하기의 바람직한 모델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듣기와 말하기를 격려하고 지지해 주는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로 구성되었다.
      교사의 역할로는 '유아가 주의 깊게 듣고 자신감 있게 말할 수 있도록 기회 제공하 기', '유아가 정확한 발음·단어·문장을 사용할 수 있도록 모범 보이기', '유아가 대화 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질문하기', '유아가 듣고 말하기를 즐길 수 있도록 적절 한 반응하기', '유아의 듣기와 말하기를 촉진할 수 있는 허용적인 교실 분위기 조성하 기'로 구성되었다.
      교육활동의 유형은 이야기 나누기, 언어게임, 동화 듣고 토의하기, 극놀이로 구성되 었다. 집단구성의 형태는 대집단을 중심으로 하되, 중집단, 소집단이 병행될 수 있게 다양하게 구성하고, 유아의 흥미와 반응에 따라 개별활동으로 전이될 수 있도록 하였 다.
      물리적 환경으로는 융판자료, 자석자료, 각종 인형, 동화책, 이야기 꾸미기 자료, 수 수께끼카드, 녹음하고 들을 수 있는 자료, 말하기 게임카드, 다양한 소리가 녹음된 테 이프, 사진 및 그림 자료, 전화기, 마이크가 비치되도록 구성되었다.
      넷째, 본 프로그램의 평가는 교사의 반성적 저널과 유아의 활동 결과물을 수집하여 프 로그램의 교육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의 적절성을 평가하도록 구성 되었다.
      2.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 적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음성언어 지식·과정·정의적 측면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즉, 유아의 표현언어 및 이해언어 능력이 향상되었 고, 지각적·분석적·종합적·추리적으로 사고하면서 듣고 말하는 과정기술이 향상되 었다. 그리고 음성언어의 성향 및 태도 변화 관련해서 유아는 도전적이며 호기심 많 게, 유창하고 융통성 있게, 민감하고 정교하게 듣기와 말하기를 즐기는 긍정적인 성향 을 형성하였으며, 태도 변화 관련해서 교대로 듣고 말하는 태도와 상대방을 배려하는 태도가 형성되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B. 연구문제 = 4
      • C. 용어의 정의 = 5
      • Ⅱ. 이론적 배경 = 6
      • Ⅰ. 서론 =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B. 연구문제 = 4
      • C. 용어의 정의 = 5
      • Ⅱ. 이론적 배경 = 6
      • A. 음성언어의 성격 = 6
      • 1. 음성언어의 정의 = 6
      • 2. 음성언어의 특성 = 8
      • 3. 음성언어의 과정 = 13
      • 4. 음성언어의 유형 = 25
      • B. 유아 음성언어의 발달 = 30
      • 1. 음성언어의 형식적 측면 = 31
      • 2. 음성언어의 내용적 측면 = 37
      • 3. 음성언어의 사용적 측면 = 39
      • C. 유아 음성언어의 교육 = 43
      • 1. 음성언어 교육의 목적 및 목표 = 43
      • 2 음성언어 교육의 내용 = 48
      • 3. 음성언어 교수·학습 방법 = 58
      • 4. 음성언어의 평가 = 68
      • Ⅲ.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구성 = 72
      • A.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 개발 = 72
      • 1. 유아 음성언어 관련 문헌 고찰 = 73
      • 2. 유아 음성언어 교육 실태 및 교사의 요구 조사 = 74
      • 3. 프로그램 시안 구성 = 91
      • 4. 프로그램 시안에 대한 내용 타당도 검증 = 92
      • B.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 구성 = 93
      • 1. 음성언어 교육의 목적 및 목표 = 94
      • 2 음성언어 교육의 내용 = 95
      • 3. 음성언어 교수·학습 방법 = 98
      • 4. 음성언어의 평가 = 103
      • 5.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 실제 = 104
      • Ⅳ.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 110
      • A. 연구방법 = 110
      • 1. 연구대상 = 110
      • 2. 연구도구 = 111
      • 3. 연구절차 = 116
      • 4. 자료분석 = 121
      • B. 연구결과 = 122
      • 1.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표현언어 및 이해언어 능력에 미치는 효과 = 122
      • 2.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 및 사고 능력에 미치는 효과 = 123
      • 3.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성언어 성향 및 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 = 125
      • Ⅴ. 논의 및 결론 = 131
      • A. 요약 및 논의 = 131
      • 1.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구성 = 131
      • 2.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 134
      • B. 결론 및 제언 = 141
      • 1. 결론 = 141
      • 2. 제언 = 142
      • 참고문헌 = 144
      • 부 록 = 153
      • 부록 1 표현언어 및 이해언어 능력 검사 = 154
      • 부록 2 언어 및 사고 능력 검사 = 159
      • 부록 3 언어 및 사고 능력 검사에 대한 반응의 예 = 171
      • 부록 4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 활동 안 = 175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유효순, "아동발달",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2006

      2 조명한, "언어 심리학", 民音社, 1985

      3 여성가족부, "표준보육과정", 2005

      4 Ross, "Communication style", 1989

      5 Owens, Robert E, "Language development", Bell and Howell Company, 1984

      6 이순형 공저, "영유아교수방법", 2007

      7 이차숙, "유아언어교육론", 1994

      8 문교부, "유치원 교육과령", 1981

      9 문부성, "유치원 교육요령", 1998

      10 Kucan, McKeown, Beck, "Bringing worlds to life", 2002

      1 유효순, "아동발달",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2006

      2 조명한, "언어 심리학", 民音社, 1985

      3 여성가족부, "표준보육과정", 2005

      4 Ross, "Communication style", 1989

      5 Owens, Robert E, "Language development", Bell and Howell Company, 1984

      6 이순형 공저, "영유아교수방법", 2007

      7 이차숙, "유아언어교육론", 1994

      8 문교부, "유치원 교육과령", 1981

      9 문부성, "유치원 교육요령", 1998

      10 Kucan, McKeown, Beck, "Bringing worlds to life", 2002

      11 김정미, 신희선, "K-CDI 아동발달검사", 2006

      12 정남미, "유아언어교육(2판)", 1995

      13 김은심, 조정숙, "유아언어교육(3판)", 2005

      14 문교부, "유치원교육과정령", 유치원 교육과정령, 1969

      15 International Listening Association, "Listening lights the way!", 2007

      16 Austin, J. L, "How to do things with words", Clarendon Press, 1976

      17 Leech, "P rincip les of P ragmatics", Principles of Pragmatics, 1983

      18 Applebee,A.N., "The child's concept of story", The child's concept of story, 1978

      19 강문희, 이원영, "유아의 언어교육(4판)", 1989

      20 김재은, "유아지능검사 4-7세용", 1970

      21 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K - 12 Curriculum g uidelines", K-12 curriculum guidelines, 1996

      22 한국유아교육협회,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년 유치원 교육과정", 2007

      23 Jensen, "Developing children's language", 1980

      24 Brown, "First language: The early stages", 1973

      25 임규홍, "듣기교육의 이론과 실제", 배달말교육학회, "배달말 교육, 1992

      26 전은주, "말하기?듣기 교육론(2판)", 2001

      27 김소양, 이경화, 김영실, "영유아를 위한 언어지도", 2006

      28 교육부, "유아 언어교육 활동자료", 1996

      29 Bergen, "Authentic performance assessments", 1993

      30 Farris, "Language arts: A process approach", 1993

      31 Ireton, "Child development inventory Manual", 1992

      32 Nebraska Department of Education, "Nebraska reading /writing standards", Nebraska reading/writing standards, 1997

      33 이영자, "유아 언어발달과 지도(3판)", 2006

      34 Johnson, James E, "Play and early childhood development", Scott, Foresman, Play and early childhooddevelopment, 1987

      35 이기숙, 이영자, "유아를 위한 교수-학습방법", 1986

      36 Utah State office of Education (, "Prekindergarten curriculum guidelines", 2003

      37 Ministere de l'Education Nationale, "Qu’apprend-on a l'ecloe maternelle?", 2002

      38 Morrow, "Literacy developmentin the early years", Literacy development in the early years, 2001

      39 Flower, Linda, "Problem-solving strategies for writing", Harcourt Brace Jovanovich, Problem-solving strategies for writing, 1985

      40 이도영, "말하기·듣기 교수 방법 연구", 국어교육학회, "말하기, 2006

      41 이차숙, "유아언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5

      42 교육부,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1998

      43 Scott, "Learning time with language experiences", 1968

      44 김윤옥, "공식적 말하기 교육내용 고찰", 2006

      45 Hamilton, Martha, "Children tell stories : a teaching guide", R.C. Owen Publishers, 1990

      46 Blank, Berlin, Rose, "The language of learning: Preschoolyears", 1978

      47 김소양, "쓰기 기능에 대한 유아의 인식", 2001

      48 Hoff,E., "언어발달 (Language Development(2nd))", 언어발달[Language development(2nd)], 2003

      49 Levelt, W. J. M, "Speaking : from intention to articulation", MIT Press, Speaking: From intention to articulation, 1989

      50 이정환, "유아교육의 교수학습 방법(6판)", 1996

      51 교육인적자원부,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확정", 2007

      52 Tyler, "Listening: What research says to the teacher", 1973

      53 교육부,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Ⅰ 총론", 2000

      54 Snow, Goldfield, "Individual differences in language acquisition", 1990

      55 유혜령, "유아 교수공학과 교수 · 학습 방법", 창지사, 2003

      56 류관수, "유아의 문법구조 습득에 관한 연구", 대한언어학회, 2000

      57 Hong, Aiex, "Oral language development across the curriculum", 1998

      58 Dunn, Horton, Smith, "Peabody LanguageDevelopment kits(Teachers Guide", 1981

      59 Machado, "Early childhood experience in language arts(2th)", 1999

      60 조문제, "말하기듣기 교수·학습의 이론과 방법", 교학연구사, "말하기, 1996

      61 Ireton, Thwing, "Manual for the minnesota child developmentinventory", 1972

      62 노명완, "말하기·듣기 교육의 개념과 탐구 과제", "말하기, 1997

      63 이숙재, "(유아를 위한) 언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1992

      64 Verderber, Kathleen S, "Inter-act : using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Wadsworh Publishing Company Inc., 1977

      65 이도영, "말하기 교육 목표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한말연구학회, 2005

      66 두산백과사전, "http://www.encyber.com/에서 2007년 8월 12일 인출", 2007

      67 김혜숙, Lipman, 박진환, "고차적 사고력 교육[Thinking in Education, (2nd)]", "고차적 사고력 교육[Thinking in Education, 2005

      68 조정숙, "유치원의 문자언어 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중앙유아교육학회,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97

      69 Wood, "Essentials of classroom teaching elementary language arts", 1994

      70 New Jersey State Development of Education, "Core curriculum contentstandard for language arts literacy", 1996

      71 천경록, "말하기 듣기의 교육내용 구성과 교과서 개발", "말하기, 1997

      72 Isbell, "Telling and Retelling Stories: Learning Languageand Literacy", Telling and retelling stories: Learning language and literacy, 2002

      73 Rankin, "The Measurement of the ability to understand spoken language", 1926

      74 곽춘옥, "심미적 듣기를 통한 문학 교수-학습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심미적 듣기를 통한 문학교수학습 방안 연구, 2002

      75 이혜경 ( Hye Gyeoung Lee ), "구연동화가 유아의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5

      76 박수자, "말하기·듣기 교재의 체계화와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말하기, 1995

      77 김윤전, "유치원 읽기 지도 교육 실태에 대한 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1

      78 강숙현, "포커스인 포트폴리오-발달에 적합한 영유아 평가", 2002

      79 우창현, "학교 국어 교육에서의 효율적인 말하기,듣기 교육", "학교 국어 교육에서의 효율적인 말하기, 2002

      80 최영희, "말하기 능력 신장을 위한 놀이학습 활용 방안 연구",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81 민지영, "유아 문해 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차이",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7

      82 Selman, "Talk time: Programming communicative interaction into thetoddler day", 2003

      83 Brown, H. Douglas, "Teaching by principles : an interactive approach to language pedagogy", Prentice Hall Regents, Teaching by principles: An interactive approach to languagepedagogy, 1994

      84 주영희, "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언어 및 사고능력의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유아 교육프로그램을 위한 언어 및 사고능력의 연구, 1982

      85 정정희, 김선옥, 조희숙, "유아의 음운인식과 읽기가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2006

      86 송태규, "가정에서 읽기,쓰기지도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실태", "가정에서 읽기, 2004

      87 Korthagen, F. A. J, "Linking practice and theory : the pedagogy of realistic teacher education", L. Erlbaum Associates, 2001

      88 Rosegrant, Bredekamp, "Reaching potentials throughtransforming curriculum, Assessment and teaching", "Reaching potentials through transformingcurriculum, 1995

      89 NAEYC, "Reading potentials: Appropriate curriculum and assessment foryoung children", 1997

      90 서현석, "말하기 교육의 내용으로서 ‘배려적 사고’의 개념 탐구", 2007

      91 Beck, McKeown, "Text talk: Capturing the benefits of readaloud excrescent for young children", 2001

      92 강경화, "효과적인 말하기 지도 방안: 1학년 말하기,듣기를 중심으로", "효과적인 말하기 지도 방안: 1학년 말하기, 1997

      93 Wagenr, Torgesen, "Alternative diagnostic approached forspecific developmental reading disabilities", 1998

      94 Southern Early Childhood Association., "The portfolio anditsuse developmentally appropriate assessment of young children", 1994

      95 Hiebert, "Developmental patterns and interrelationships of preschoolchildren's print awareness", 1981

      96 임영주, "유아의 문자지도에 대한 유·초등교사와 학부모의 기대 차이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유아의 문자지도에 대한 유?초등교사와 학부모의 기대차이 연구, 1997

      97 김진형, Nida, "형태론: 단어의 기술적 분석[Morphology: The descriptive analysis of words(2nd)]", 1946

      98 이영자, "이야기 제시방법이 유아의 이야기내용의 이해와 회상에 미치는영향", 이야기 제시 방법이 유아의 이야기 내용의 이해와 회상에 미치는 영향, 1984

      99 강숙현, 이기숙, Gullo, "유아발달과 교수학습 과정[Developmentally appropriate teaching in early childhood]", 1992

      100 이영란, "소집단 토의학습이 초등학교 1학년의 말하기.듣기 기능에 미치는 효과", 啓明大學校 敎育大學院, "소집단 토의학습이 초등학교 1학년의 말하기, 1999

      101 Hite, Klesius, Homan, "Effects of repeated readings andnonrepetitive strategies on students' fluency and comprehension", 1993

      102 이혜진, 이혜진,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1학년 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기 읽기, 2005

      103 송주연, "활동중심 유아 언어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말하기,듣기를 중심으로", "활동중심 유아 언어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말하기, 2004

      104 김희정, "말하기,듣기 교수-학습 방안 연구: 지식과 소집단 토의가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말하기, 1998

      105 윤진주 ( Jin Ju Youn ), "유아 언어능력 평가연구의 동향 분석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 학회지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 유아 언어능력 평가연구의 동향 분석: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 학회지를중심으로, 2007

      106 안영혜 ( An Yeong Hye ), "유치원교사와 초등학교 교사 및 학부모를 통한 취학 전 유아의 읽기,쓰기 지도 실태", 한국유아교육학회, "2003년도 한국유아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2003

      107 김수영, "환상동화를 통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 2006

      108 유구종 ( Ku Jong Yoo ), "통합 음성언어 접근법과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유아의 읽기능력과 쓰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6

      109 윤진주,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가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이야기구조 개념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5

      110 석희숙, "말하기,듣기 교과에서 통합적 접근 방법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말하기,듣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말하기,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