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세계화 현상의 심화와 더불어 글로벌 시민성 함양에 대한 사회적·교육적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보편적 가치를 지닌 세계유산은 글로벌 시민성을 함양하는 효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609250
서울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학위논문(석사)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 초등사회과교육 , 2017. 8
2017
한국어
서울
; 26 cm
지도교수: 남경희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세계화 현상의 심화와 더불어 글로벌 시민성 함양에 대한 사회적·교육적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보편적 가치를 지닌 세계유산은 글로벌 시민성을 함양하는 효과...
오늘날 세계화 현상의 심화와 더불어 글로벌 시민성 함양에 대한 사회적·교육적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보편적 가치를 지닌 세계유산은 글로벌 시민성을 함양하는 효과적인 학습 소재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세계유산을 통한 글로벌 시민성 함양은 초등 사회과와 연계하여 구체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세계유산교육 프로그램을 구성·적용하고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에 글로벌 시민성을 측정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첫째,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 검토를 통하여 세계유산이 지닌 가치를 탐색하고, 세계유산과 글로벌 시민성 함양 사이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글로벌 시민성의 주제를 ‘상호의존’, ‘다양성’, ‘환경’, ‘평화’의 네 가지로 보았으며, 각각의 주제에 대해 지식, 기능, 태도 영역 을 설정하였다. 세계유산은 탁월성, 보편성, 지속가능성, 대체불가능성 등의 특징을 지니는데, 이와 연관 있는 글로벌 시민성 주제를 구체적으로 환원할 수 있어 학습 소재로 가치가 있다. 특히 세계유산은 사회과의 범위와 계열성의 한계를 보완하고, 통합 사회과의 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둘째, 글로벌 시민성의 함양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글로벌 시민성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설정한 글로벌 시민성의 네 가지 주제(‘상호의존’, ‘다양성’, ‘환경’, ‘평화’)와 이에 따른 지식, 기능, 태도 영역을 기준으로 글로벌 시민성 검사 도구인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문항은 전문가 검증과 예비조사를 통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였고, 최종 28문항으로 글로벌 시민성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셋째, 초등 사회과에 알맞은 세계유산교육 프로그램을 구성·적용하고, 글로벌 시민성 함양 효과를 논의하였다.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및 세계유산교육 지침서를 토대로 하여 8차시의 세계유산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초등학교 6학년 한 학급에 4주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을 위하여 글로벌 시민성 검사 도구로 사전검사 및 사후검사를 실시한 뒤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하여 효과를 알아보았다. 또한 정량 자료의 한계 보완을 위하여 수업 후 학생들이 작성한 소감문의 정성 분석을 통하여 학생들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정량 분석에 의하면 세계유산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글로벌 시민성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 차이를 분석해보면, 본 연구에서 설정한 글로벌 시민성의 네 가지 주제인 ‘상호의존(t=-6.8569)’, ‘다양성(t=-4.5145)’, ‘환경(t=-4.4787)’, ‘평화(t=-6.3836)’ 모두 유의수준 p < 0.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세계유산교육 프로그램이 상호의존, 다양성, 환경, 평화를 주제로 하는 글로벌 시민성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정성 분석에 의하면 학생들은 세계유산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상호의존, 다양성, 환경, 평화에 대한 지식, 기능, 태도를 함양하게 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 사회과에서 세계유산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글로벌 시민성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폭넓은 연구를 통해 글로벌 시민성 주제를 확대하여 인권, 경제, 빈곤 문제 등 다양한 지구촌 문제를 포괄적으로 다루는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