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기원, "태권도교본", 오성출판사, 2006
2 국기원, 국기원, "태권도 심사규정", 2016
3 국기원, "태권도 심사규칙", 2017
4 강상조, "체육통계 (개정판)", 도서출판 21세기교육사, 2006
5 양희태, 장훈, "딥러닝의 현재와 미래", FUTURE HORIZON, (38), 8-11, 2018
6 강민수, 박재현, 강상조, "체육연구방법 (개정판)", 서울: 21세기교육사, 2010
7 국기원, "국기원 승품 단 심사 절차.", 국기원 홈페이지. http://www.kukkiwon.or.kr/front/pageView.action?cmd=/kor/evaluate/evaluate2에서 검색, 2021
8 문성은, 장수범, 이종석, 이정혁, "기계학습 및 딥러닝 기술동향", 한국통신학회지, 33(10), 49-56, 2016
9 신병주, "잘못된 심사제도 바로 세우자①", 태권도신문. http://www.tkd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548에서 검색, 2012
10 이재민, 최태영, "CNN을 활용한 운동선수 자세 분류",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904-906, 2017
11 이재성, "심층 신경망의 발전 과정과 이해",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33(10), 40-48, 2016
12 임일혁, "태권도 품새 경기의 미학적 가치",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21(3), 79-93, 2013
13 김동근, "python으로 배우는 OpenCV 프로그래밍", 서울 : 가메, 2018
14 안근아, 안진영, "태권도 품새경기의 미적체험 구조", 한국스포츠학회지, 12(1), 143-151, 2014
15 정현도, "태권도 국기원 고단자 심사 개선 방안", 세계태권도문화학회지, 28, 81-100, 2020
16 정현도, "태권도 자유 품새 경기의 활성화 방안", 세계태권도문화학회지, 55-67, 2015
17 서진교, "태권도의 심사비용 구조 및 쟁점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1(5), 105-117, 2002
18 김상용, 오준석, "여자 기계체조경기 판정에 대한 사례연구", 코칭능력개발지, 17(3), 167-178, 2015
19 김현주, 윤영길, "K 리그 심판 판정에 VAR 도입의 도움과 방해", 스포츠사이언스, 39(2), 125-133, 2021
20 임동훈, 최도연, 정광모, "딥러닝 기반 앙상블을 이용한 유방암 분류", 보건정보통계학 회지, 43(2), 140-147, 2018
21 문진우, 최은지, 최영재, 박보랑, "재실자 활동량 산출을 위한 Pose분류 모델 개발",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18(5), 93-98, 2018
22 손태식, 정재한, "공개 딥러닝 라이브러리에 대한 보안 취약성 검증", 정보보호학회논 문지, 29(1), 117-125, 2019
23 김은별, 한재식, 최은아, 이용민, 이민호, "EfficientNet 기반 향상된 버섯 이미지 분류 모델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399-400, 2021
24 박정웅, "전이학습을 이용한 상표 인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군산대학교 대학원, 2019
25 김인성, 정창영, 정상옥, "태권도수련생 학부모의 승품심사요인에 대한 만족도", 세계 태권도학회지, 6, 481-528, 2003
26 김서경, 이봉, "태권도 승품 (단) 실기심사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국체육과학 회지, 24(5), 173-184, 2015
27 최규정, "OpenPose를 활용한 감시 정찰 시스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1
28 조은형, "인지된 태권도 전자호구 문제점에 대한 대륙별 인식 탐색", 한국체육측정평 가학회지, 17(1), 47-56, 2015
29 박주미, "인공지능(AI)이 체조를 채점한다고? 양학선 ‘아주 좋아요!’", KBS NEWS. http://news.kbs.co.kr/news/view.do?ncd=4160954&ref=A에서 검색, 2019
30 강은철, "전이 학습을 이용한 나뭇잎 영상 인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8
31 이찬수, "[특집편집기] 딥러닝을 포함한 인간행동 인식 최신 기술 동향", 전자공학회지, 44(8), 15-15, 2017
32 도수화, "AI 아나운서가 일하는 '인공지능 시대'…AI 기술 어디까지 왔나", 산업일보. http://www.kidd.co.kr/news/221466에서 검색, 2021
33 류시현, "태권도 앞차고 몸돌아 옆차기의 균형성.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2
34 이준영, 한인구, 최은주, "딥러닝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의 사례연구를 통한 도입 전략 도출", 지능정보연구, 26(4), 27-65, 2020
35 조영복, "앙상블 딥러닝을 이용한 초음파 영상의 간병변증 분류 알고리즘", 한국 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20(4), 101-106, 2020
36 유동현, 정태성, "태권도장의 유소년 수련층 증가로 인한 심사제도의 문제점 고찰", 국기원태권도연구, 8(4), 171-190, 2017
37 서영애, "태권도 품새대회 발전을 위한 제 문제 고찰.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 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13
38 최은지, "딥러닝 기반 재실자 포즈별 MET 산출모델 개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 대학교 대학원, 2019
39 강희창, "태권도 품새경기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 탐색.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용인대 학교 교육대학원, 2014
40 엄한주, 조은형, "체계적 내용분석에 기반한 태권도 품새기술 평가도구의 양호도 검증",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16(3), 31-40, 2014
41 김은수, "EfficientNet을 이용한 악성코드 이미지 유형 분류.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대학원, 2021
42 류시현, 윤석훈, 박상균, 류지선, "태권도 우수ㆍ비 우수선수 간 태권도 앞차고 몸돌 아옆차기의 균형성", 한국운동역학회지, 22(1), 55-63, 2012
43 이화연, "무용분야의 인공지능기술도입에 관한 사례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 대학교 대학원, 2021
44 김병희, 장병탁, "딥러닝: 인공지능을 이끄는 첨단 기술. 서울대학교 Technical Report: BI-17-001", URL: https://bi.snu.ac.kr/Publications/techreport/bhkim_170416.pdf, 2017
45 양준석, "딥러닝 기반 배드민턴 선수 위치 추적 시스템 구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
46 조나래, "딥러닝 기반 범죄자 신원 인식 시스템 설계 및 구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7
47 노형준, 이영림, "심사위원 관점에 따른 저단자 태권도 승, 품단 심사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국기원태권도연구, 6(3), 187-209, 2015
48 이후진, 하태용, "인공지능 기반의 행동인식을 통한 개인 운동 트레이너 구현의 방향성 제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0(6), 235-242, 2019
49 백남섭, "ICT 기술이 태권도 분야에 미치는 기술・문화적 발전 방향에 관한 문헌 고찰",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4(4), 419-429, 2020
50 권혁정, "태권도 심사에서 공정성에 대한 현상학적 논의: 승품・ 단 심사를 중심으로", 한국스포츠학회, 17(2), 263-272, 2019
51 김동건, "공정한 스포츠경기를 위한 전자심판기 및 영상판정제 도입강화에 관한 연구",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19(3), 45-62, 2016
52 박장우, 정희원, 이소인, 신홍재, "딥러닝을 활용한 실내 식물 이미지 분류 및 식물 정보 제공 웹 어플리케이션",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15(2), 167-175, 2020
53 장세윤, "딥러닝을 통한 하이엔드 패션 브랜드 감성 학습과 활용.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54 박부건, "ICT기반 태권도측정시스템 개발에 의한 산업 관련성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55 김인혜, "딥러닝 기반 OpenPose를 이용한 수화 동작 인식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 학위논문", 대전대학교 대학원, 2021
56 정승훈,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프로스포츠 소비자행동 예측 및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57 신용천, "머신러닝 기반의 부동산경매 낙찰가 예측 모델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고려사이버대학교 융합정보대학원, 2017
58 김아람, "퍼지 추론 및 양방향 LSTM-RNN을 이용한 의미 있는 손동작 인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59 이혁, "CUDA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의 병렬화와 PyTorch Custom Kernel 개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60 김재승, 우용태, 박준영,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모델을 이용한 야구 경기 영상의 동작 분류 및 검색시스템",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6(8), 31-37, 2021
61 함민정, "딥러닝 기반 기상 악화 대응 보행자 검출 시스템 설계 및 구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8
62 김우현, "안저 사진을 이용한 딥러닝 기반의 녹내장 검출 알고리즘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63 김윤진, "딥러닝(Deep Learning)을 활용한 이미지 빅데이터(Big Data) 분석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64 리우창, 정경원, "우슈 투로와 태권도 품새의 경기규칙 비교분석을 통한 품새경기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국기원태권도연구, 10(3), 255-282, 2019
65 임승엽, 조은정, "주관적 판정 종목 리듬체조의 심판판정 공정성 및 전문성에 대한 선수-학부모의 관점 이해",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30(4), 71-91, 2017
66 이연수, "뇌전증 발작 탐지에서 CPSM 방식을 통한 딥러닝 기반의 CNN 앙상블 모델.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67 유혜림,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에서 openpose를 이용한 아동 학대 판단 시스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9
68 김대경, 차재혁, 장경로, 김태희, "프로스포츠 구단의 ICT 융합 기술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편익 분석: 조건부가치평가법의 적용", 한국체육학회지, 56(6), 275-292, 2017
69 홍영철, "유전자 알고리즘과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공시지가 자동 산정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5
70 박재석, 최용석, 신승호, "프로축구 팬의 비디오판독 (VAR)에 대한 인식과 관람몰입, 관람만족 및 재관람의도와의 구조적 관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25(4), 63-78, 2020
71 이진규, "품새 자동 평가 시스템 구축을 위한 합성곱 신경만 기반 태권도 단위동작 인식 방법.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72 최지명,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한국어 텍스트 저자 판별: 블로그의 영화 리뷰 를 대상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73 윤효준, "소셜 빅데이터 기반 한국프로야구 실시간 선수평가모형 개발 : 머신러닝을 적용한 감성분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8
74 이수정, "선형 회귀 모델 기반의 인공지능 예측 시스템을 이해하기 위한 초등학생용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75 임준범, "확장된 이산 행동 영역에 적용한 강화학습 기반의 행동 특화된 전문가 모델 앙상블 트레이딩 시스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9
76 서미현, "앙상블 머신 러닝 기법을 이용한 갑상샘 과산화효소 저해제 예측 모델의 개발 및 합성 향로에의 적용.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