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로메인 상추에서 병원성미생물의 생존 및 증식 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854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로메인 상추에서 병원성미생물이 생존과 생육의 특성을 분석하여 안전관리 정보를 확보하고자 실시하였다. 로메인 상추에서 분무 접종한 E. coli O157:H7은 72시간 배양 후 초기균수 ...

      본 연구는 로메인 상추에서 병원성미생물이 생존과 생육의 특성을 분석하여 안전관리 정보를 확보하고자 실시하였다. 로메인 상추에서 분무 접종한 E. coli O157:H7은 72시간 배양 후 초기균수 보다 2.0 log CFU/g 수준으로 증가하여 생존 및 증식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추 잎의 상처 유무에 따른 E. coli O157:H7은 배양 72시 간 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상추 잎에 인위적인 상처에 내어 E. coli O157:H7을 접종하고 병원균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상처가 없는 상추는 표면이 매끄러워 균이 부착하지 못하거나 균수가 매우 낮았고, 상처가 있는 상추 잎은 거친 표면에 균이 밀집되어 상처를 통해 상추 내부로 침입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병원성미생물의 상추 추출물 이용 여부는 10-100% 농도에서 배양 24시간 이후에 E. coli O157:H7 8.9 log CFU/mL, L. monocytogenes 8.6 log CFU/mL, P. carotovorum 8.8 log CFU/mL로 나타났다. 이는 병원성미생물과 식물병원균이 유사한 4 log CFU/g 이상의 증가율을 나 타내어 미생물이 상추 추출물을 영양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추 추출물 0.1%에서 초기 접종 농 도와 비교하여 E. coli O157:H7 2.7, L. monocytogenes 1.3, P. carotovorum 2.9 log CFU/mL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병원성 미생물의 최소생육농도는 0.1%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고, 상처를 통해 지속적으로 0.1% 수준의 상추 추출물이 병원성미생물에 제공되면 상추 내부에서도 생존 및 증식이 가능할 것으로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survival and growth-related properties of foodborne pathogens from Romaine lettuce. After cultivating E. coli O157:H7 for 72 h on Romain lettuce via spray inocula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survival and growth-related properties of foodborne pathogens from Romaine lettuce. After cultivating E. coli O157:H7 for 72 h on Romain lettuce via spray inoculation, the bacteria population increased by 2.0 log CFU/g from the initial population, confirming the possibility of survival and multiplication of the pathogen thereon.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ultivation of E.coli O157:H7 after 72 h from inoculation on damaged and undamaged lettuce leaves.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distribution of E.coli O157:H7 on damaged lettuce leaves, it was found that the bacteria is unlikely to adhere on the smooth surface of undamaged leaves and, thus, results in a low population density, whereas the bacteria cluster on the rough surface of damaged leaves and easily enter through the damaged tissues. Furthermore, after 24 h of cultivation of the pathogenic microbe in the extract with concentrations of 10-100%, utilization of the lettuce extract by the pathogen was found to be 8.9 log CFU/mL E. coli O157:H7, 8.6 log CFU/mL L. monocytogenes, and 8.8 log CFU/mL P. carotovorum. The increase in the population of both the pathogenic microbe and foodborne pathogen reached over 4 log CFU/mL, implying the microbe can utilize the lettuce extract as a source of nutrition. Compared to the initial inoculation concentration in 0.1% lettuce extract, the final concentration has increased up to 2.7 log CFU/mL E. coli O157:H7, 1.3 log CFU/mL L. monocytogenes, and 2.9 log CFU/ mL P. carotovorum. Accordingly, the study confirms that the minimal growth concentration of the pathogenic microbe is lower than 0.1% and that the pathogen possibly survive and multiply inside the lettuce leaves given the lettuce extract with concentration of 0.1% is consistently supplied through the damaged tissu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Materials and Methods
      • 사용 균주
      • E. coli O157:H7 회수율
      • 로메인 상추 잎의 상처 유무에 따른 E. coli O157:H7 생존율
      • ABSTRACT
      • Materials and Methods
      • 사용 균주
      • E. coli O157:H7 회수율
      • 로메인 상추 잎의 상처 유무에 따른 E. coli O157:H7 생존율
      • 로메인 상추 잎의 E. coli O157:H7 분포조사
      • 병원성 미생물의 상추 추출물 이용 및 최소 생육농도 조사
      • Results and Discussion
      • E. coli O157:H7의 회수율
      • 상처 유무에 따른 E. coli O157:H7의 생존율
      • 로메인 상추의 상처에 따른 E. coli O157:H7의 분포
      • 병원성미생물의 상추 추출물 이용 여부
      • 병원성미생물의 상추 추출물 최소생육농도
      • 국문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이슬, "유용한 바실러스의 토양 접종에 따른 토착 세균 군집의 변화"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46 (46): 253-260, 2018

      2 김원일, "시기별 엽채류의 미생물 오염도와 유통 조건 조사 - 들깻잎과 상추를 중심으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7 (27): 277-284, 2012

      3 박원정, "생산지 수집 신선 유기농 농산물 미생물 분포도 분석" 한국식품과학회 46 (46): 262-267, 2014

      4 Mulaosmanvic, E., "Size matters: Biological and food safety relevance of leaf damage for colonization of Escherichia coli 0157:H7gfp+" 11 : 608086-, 2021

      5 Kim, S.H., "Research on fresh-cut fruits and vegetable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53-, 2019

      6 Franz, E., "Quantification of contamination of lettuce by GFP-expressing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24 : 106-112, 2007

      7 Oliveira, M., "Presence and survival of Escherichia coli 0157:H7 on lettuce leaves and in soil treated with contaminated compost and irrigation water" 156 : 133-140, 2012

      8 Wilson, M., "Location and survival of leaf-associated bacteria in relation of pathogenicity and potential for growth within the leaf" 65 : 1435-1443, 1999

      9 Hora, R., "Internaliz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following biological and mechanical disruption of growing spinach plants" 68 : 2506-2509, 2005

      10 Koseki, S., "Growth of Listeria monocytogenes on iceberg lettuce and solid media" 101 : 217-225, 2005

      1 김이슬, "유용한 바실러스의 토양 접종에 따른 토착 세균 군집의 변화"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46 (46): 253-260, 2018

      2 김원일, "시기별 엽채류의 미생물 오염도와 유통 조건 조사 - 들깻잎과 상추를 중심으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7 (27): 277-284, 2012

      3 박원정, "생산지 수집 신선 유기농 농산물 미생물 분포도 분석" 한국식품과학회 46 (46): 262-267, 2014

      4 Mulaosmanvic, E., "Size matters: Biological and food safety relevance of leaf damage for colonization of Escherichia coli 0157:H7gfp+" 11 : 608086-, 2021

      5 Kim, S.H., "Research on fresh-cut fruits and vegetable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53-, 2019

      6 Franz, E., "Quantification of contamination of lettuce by GFP-expressing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24 : 106-112, 2007

      7 Oliveira, M., "Presence and survival of Escherichia coli 0157:H7 on lettuce leaves and in soil treated with contaminated compost and irrigation water" 156 : 133-140, 2012

      8 Wilson, M., "Location and survival of leaf-associated bacteria in relation of pathogenicity and potential for growth within the leaf" 65 : 1435-1443, 1999

      9 Hora, R., "Internaliz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following biological and mechanical disruption of growing spinach plants" 68 : 2506-2509, 2005

      10 Koseki, S., "Growth of Listeria monocytogenes on iceberg lettuce and solid media" 101 : 217-225, 2005

      11 Xu, A., "Evaluation of sampling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pathogenic bacteria on pre-harvest leafy greens" 77 : 137-145, 2019

      12 Rodriguez, E. G., "Evaluation of post contamination survival and persistence of applied attenuated Escherichia coli 0157:H7 and naturallycontaminating Escherichia coli 0157:H7 on spinach under field conditions and following postharvest handling" 77 : 173-184, 2019

      13 Klerks, M. M., "Differential interaction of Salmonella enterica serovars with lettuce cultivars and plant-microbe factors influencing the colonization efficiency" 1 : 620-631, 2007

      14 Wright, K. M., "Difference in internalization and growth of Escherichia coli 0157:H7 within the apoplast of edible plants spinach and lettuce, compared with the model species Nicotiana benthamiana" 10 : 555-569, 2017

      15 Grinberg, M., "Bacterial survival in microscopic surface wetness" 8 : e48508-, 2019

      16 Sharma, M., "A novel approach to investigate the uptake and internaliz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in spinach cultivated in soil and hydroponic medium" 72 : 1513-1520,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7-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ry Of Food Hygiene And Safety -> The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9 0.726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