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흄의 '동기 유발 논변'과 '도덕적 구별 논변'을 중심으로 그의 동기화 이론의 핵심 틀로서 '신념-욕구-모델'(belief-desire-model)을 구성적으로 분석하고, 실천 이성의 존재와 역할을 강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141198
2012
Korean
105
KCI등재
학술저널
45-73(29쪽)
1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흄의 '동기 유발 논변'과 '도덕적 구별 논변'을 중심으로 그의 동기화 이론의 핵심 틀로서 '신념-욕구-모델'(belief-desire-model)을 구성적으로 분석하고, 실천 이성의 존재와 역할을 강조...
본고는 흄의 '동기 유발 논변'과 '도덕적 구별 논변'을 중심으로 그의 동기화 이론의 핵심 틀로서 '신념-욕구-모델'(belief-desire-model)을 구성적으로 분석하고, 실천 이성의 존재와 역할을 강조하는 규범 이론과 도덕 반심리주의의 입장에서 흄의 '신념-욕구-모델'의 의미와 한계를 비판적으로 논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흄은 '동기 유발 논변'을 통해 정념과 욕구가 도덕적 실천의 영역에서 도덕적 행위 동기화의 근거가 된다고 주장하며, '도덕적 구별 논변'을 통해 도덕적 선악을 판단하는 것은 이성이 아니라 정념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이성과 정념의 관계 설정은 흄의 동기화 이론의 핵심 틀인 '신념-욕구-모델'을 구성한다. 흄의 동기화 이론, 즉 '신념-욕구-모델'은 (i) 행위 동기화의 근거는 욕구와 신념으로 구성되며, (ii) 이 두 가지 요소는 욕구에 우선성이 주어지는 비대칭적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욕구가 실질적으로 행위 동기화의 결정적 요소라고 주장한다. 흄의 동기화 이론은 도덕 심리주의에 있어서 전거로 여겨질 만큼 '신념-욕구-모델'의 고전적이며 전형적인 형식을 제공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지난 30여 년간 이루어진 도덕적 행위 동기화 논쟁에서 흄의 도구주의는 여러 관점에서 비판받은 것이 사실이다. 첫째, 흄의 동기화 이론은 도덕의 규범적 기능과 실천적 기능을 수행하는 실천 이성과 실천적 추론의 존재와 그 기능을 제한하는 독특한 전제 위에서만 성립한다. 둘째, 행위 주체는 흄의 가정과는 달리 정념에 토대를 둔 '강한 욕구' 없이도 규범적 의도를 지닐 가능성이 충분히 있기 때문에, 흄의 동기화 이론은 매우 제한적인 의미를 지니거나 '도덕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는' 행위 동기화의 근거를 제공하는 것이 아닐 수 있다. 셋째, 흄의 동기화 이론은 정념과 욕구에 토대를 두기 때문에, 도덕 이론으로서 보편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기 어려울 것이다. 윤리학의 과제는 동기 유발의 수월성의 확보라기보다는 도덕의 규범성과 실천성을 함께 확보하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우리는 흄의 도구주의에 비판적 경계선을 그리면서, 도덕의 규범 논쟁과 동기화 논쟁에서 실천 이성과 실천적 추론의 존재와 그 기능을 고려해야 할 근거를 갖게 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analyze Hume's 'belief-desire-model' focused on his 'the motivation argument' and 'the moral discernment argument'. Based on this analysis, this paper aims to criticize Hume's 'belief-desire-model' from the viewpoint of normative et...
This paper aims to analyze Hume's 'belief-desire-model' focused on his 'the motivation argument' and 'the moral discernment argument'. Based on this analysis, this paper aims to criticize Hume's 'belief-desire-model' from the viewpoint of normative ethical theory and moral antipsychologism, which is based on practical reason and practical reasoning. Hume claims that passions(desire) have power to motivate action(the will) and moral distinctions are not based on the exercise of reason but rather the result of our inner sentiments. This is, reason-giving force and motivating force are composed not of reason but of passions(desire). This relationship between reason and desire composes Hume's motivation theory, namely his 'belief-desire-model'. Hume's 'belief-desire-model' is as follows: (i) a motive is composed of belief and desire, (ii) belief and desire are in an asymmetrical relationship in favor of desire. This is, desire is main component of motivating force. Hume's motivation theory(belief-desire-model) is regarded as the locus classicus of moral psychologism. However, Hume's belief-desire-model is criticized over the last three or four decades from the diverse viewpoints of debate on moral motivation. The critical points are as follows: (1)Hume's belief-desire-model can be justified only if reason can be regarded not as practical reason but as instrumental reason. (2) Hume's motivation theory could not compose the ground of moral motivation, because moral agent can have normative intention without thick-desire or the attachment not required by reason. (3) Hume's moral theory could not secure universality and objectivity of morality, because it is based on subjective feeling, passions, desire etc. The task of ethics lies not in easiness of motivating action but genuinely in composing normativity and practicality of morality. In these regards, we could criticize Hume's instrumentalism and belief-desire-model, and we should consider practical reason and practical reasoning in a debate on moral norms and moral motiv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희봉, "흄의 자연주의적 프로그램:도덕론의 경우" 범한철학회 (19) : 1999
2 Hume, David,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3: 도덕에 관하여" 서광사 2009
3 김남준, "아크라시아 가능성 논쟁: 소크라테스와 아리스토텔레스를 중심으로" 새한철학회 62 (62): 3-33, 2010
4 로버트 L. 애링턴, "서양윤리학사" 서광사 2006
5 서양근대철학회, "서양근대철학의 열 가지 쟁점" 창작과 비평사 2004
6 Smith, Michael, "메타윤리" 철학과 현실사 2006
7 전영갑, "도덕적 이성주의에 대한 흄의 논박" 대동철학회 (44) : 243-266, 2008
8 Scanlon, Thomas, "What We Owe to Each Other"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 Press 1999
9 Korsgaard, Christine M., "The Source of Normativity" Cambridge Univ. Press 1996
10 Nagel, Thomas, "The Possibility of Altruism" Clarendon Press 1970
1 최희봉, "흄의 자연주의적 프로그램:도덕론의 경우" 범한철학회 (19) : 1999
2 Hume, David,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3: 도덕에 관하여" 서광사 2009
3 김남준, "아크라시아 가능성 논쟁: 소크라테스와 아리스토텔레스를 중심으로" 새한철학회 62 (62): 3-33, 2010
4 로버트 L. 애링턴, "서양윤리학사" 서광사 2006
5 서양근대철학회, "서양근대철학의 열 가지 쟁점" 창작과 비평사 2004
6 Smith, Michael, "메타윤리" 철학과 현실사 2006
7 전영갑, "도덕적 이성주의에 대한 흄의 논박" 대동철학회 (44) : 243-266, 2008
8 Scanlon, Thomas, "What We Owe to Each Other"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 Press 1999
9 Korsgaard, Christine M., "The Source of Normativity" Cambridge Univ. Press 1996
10 Nagel, Thomas, "The Possibility of Altruism" Clarendon Press 1970
11 Kemp Smith, Norman, "The Philosophy of David Hume" Macmillan and Co. 1949
12 Smith, Michael, "The Humean Theory of Motivation" 96 (96): 1987
13 Audi, Robert, "The Architecture of Reason: The Structure and Substance of Rationality" Oxford Univ. Press 2000
14 Halbig, Christoph, "Praktische Gründe und die Realität der Moral" Münster 2004
15 Millgram, Elijah, "Practical Reasoning"
16 McDowell, John, "Non-Cognitivism and Rule Following, In Wittgenstein: To Follow A Rule" Routledge and Kegan Paul 1981
17 Dancy, Jonathan, "Moral Reasons" Blackwell 1993
18 Smith, Michael, "Moral Problem" Blackwell 1994
19 Harrison, Jonathan, "Hume's Moral Epistemology" Clarendon Press 1976
20 Kant, Immanuel, "Grundlegung zur Metaphysik der Sitten, In Akademie-Textausgabe, Bd. IV" Akademie-Textausgabe 1785
21 Hume, David, "Enquiries Concerning the Principles of Morals, Analytical Index by L. A. Selby-Bigge, In Third Edition with text revised and notes by P. H. Nidditch" Clarendon Press 1975
22 Raz, Joseph, "Engaging Reason" Oxford Univ. Press 1999
23 Schueler, G. F., "Desire: Its Role in Practical Reason and the Explanation of Action" The MIT Press 1995
The Ecosophical Import of Kant's Aesthetic Experience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5 | 0.75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8 | 0.68 | 1.432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