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내 MMORPG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Playing Game) 캐릭터 디자인 연구 : Player Character의 인체비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f character design in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playing game) : the case of player character's propor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5989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MMORPG는 발달된 국내 초고속 통신망과 인터넷 문화, 그리고 PC방 문화를 바탕으로 국내에서 가장 촉망 받는 게임 장르가 되었다. 이에 따라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캐릭터 디자인 역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는데, 바로 지난 해까지도 일반화되었던 2D 그래픽이 이제는 3D 그래픽 기반의 MMORPG로 전환되어 가고 있다.
      3D 게임은 보다 정교한 캐릭터 애니메이션과 자유로운 시점 변환, 뛰어난 사운드, 기후와 시간의 변화 등 기존의 2D 그래픽에서는 생각할 수 없었던 요소들을 게임 내에서 구현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에 따라 많은 그래픽 디자이너들은 기존 2D 작업에서 겪었던 제약을 벗어나 보다 자유로운 캐릭터 애니메이션과 다양한 광원 효과, 화려한 색감을 구사할 수 있게 되었으며, 무엇보다 2D MMORPG에서 보여주던 답답할 정도로 작고 조그맣던 캐릭터를 3D에서는 훨씬 크게, 그리고 자세히 유저들에게 보여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그래픽적 표현 한계의 확장은 국내 MMORPG의 유사한 룰과 플레이 양상에서, 게임을 선택함에 있어 그래픽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게 되었다. 상업적으로 성공한 MMORPG는 반드시라고 해도 좋을 만큼 그래픽적으로 새로운 무언가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그래픽 요소 가운데 사용자가 직접 움직이게 되는 Player Character 디자인이야말로 MMORPG의 가장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때문에 현재 국내에는 수많은 MMORPG 만큼이나 다양한 스타일의 캐릭터가 존재한다. 그러나 어떤 디자인의 캐릭터이건 변할 수 없는 기본 요소로서 존재하는 것이 바로 캐릭터의 인체 비례이다. 국내에서 개발된 MMORPG 플레이어 캐릭터는 대부분 인체를 소재로 사용한다. 때문에 동일한 소재의 디자인에 있어 비례의 차이는 캐릭터의 인상을 결정짓는 중요한 조형요소이다.
      좋은 캐릭터 디자인은 항상 좋은 비례를 가지고 있다. 때로 몇몇 게임은 이러한 캐릭터의 인체비례를 변형시켜 새로운 사용자를 확보하는데 성공하기도 하며 특유의 캐릭터 비례로 틈새시장을 공략한다. 그러나 엉성한 비례를 가진 캐릭터는 아무리 멋진 아이템으로 포장을 한다고 해도 이미 좋은 감각을 느낄 수 없다. 이 비례에 대한 문제는 예로부터 미학적으로 화두가 되어 왔었고, 또한 많은 예술가가 절대적 아름다움을 보장할 수 있는 자신만의 비례를 찾아 노력했지만 아직도 정답은 없다. 그러나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로 보다 시장을 파악하여 공략할 수 있는 캐릭터 비례에 대한 분석은 가능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국내에서 개발된 MMORPG 플레이어 캐릭터의 인체비례 유형을 살펴보고 실제로 사용자들이 느끼는 캐릭터 인체비례 선호도를 연구하여 국내 게임 캐릭터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MMORPG는 발달된 국내 초고속 통신망과 인터넷 문화, 그리고 PC방 문화를 바탕으로 국내에서 가장 촉망 받는 게임 장르가 되었다. 이에 따라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캐릭터 디자인 역시 비약...

      MMORPG는 발달된 국내 초고속 통신망과 인터넷 문화, 그리고 PC방 문화를 바탕으로 국내에서 가장 촉망 받는 게임 장르가 되었다. 이에 따라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캐릭터 디자인 역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는데, 바로 지난 해까지도 일반화되었던 2D 그래픽이 이제는 3D 그래픽 기반의 MMORPG로 전환되어 가고 있다.
      3D 게임은 보다 정교한 캐릭터 애니메이션과 자유로운 시점 변환, 뛰어난 사운드, 기후와 시간의 변화 등 기존의 2D 그래픽에서는 생각할 수 없었던 요소들을 게임 내에서 구현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에 따라 많은 그래픽 디자이너들은 기존 2D 작업에서 겪었던 제약을 벗어나 보다 자유로운 캐릭터 애니메이션과 다양한 광원 효과, 화려한 색감을 구사할 수 있게 되었으며, 무엇보다 2D MMORPG에서 보여주던 답답할 정도로 작고 조그맣던 캐릭터를 3D에서는 훨씬 크게, 그리고 자세히 유저들에게 보여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그래픽적 표현 한계의 확장은 국내 MMORPG의 유사한 룰과 플레이 양상에서, 게임을 선택함에 있어 그래픽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게 되었다. 상업적으로 성공한 MMORPG는 반드시라고 해도 좋을 만큼 그래픽적으로 새로운 무언가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그래픽 요소 가운데 사용자가 직접 움직이게 되는 Player Character 디자인이야말로 MMORPG의 가장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때문에 현재 국내에는 수많은 MMORPG 만큼이나 다양한 스타일의 캐릭터가 존재한다. 그러나 어떤 디자인의 캐릭터이건 변할 수 없는 기본 요소로서 존재하는 것이 바로 캐릭터의 인체 비례이다. 국내에서 개발된 MMORPG 플레이어 캐릭터는 대부분 인체를 소재로 사용한다. 때문에 동일한 소재의 디자인에 있어 비례의 차이는 캐릭터의 인상을 결정짓는 중요한 조형요소이다.
      좋은 캐릭터 디자인은 항상 좋은 비례를 가지고 있다. 때로 몇몇 게임은 이러한 캐릭터의 인체비례를 변형시켜 새로운 사용자를 확보하는데 성공하기도 하며 특유의 캐릭터 비례로 틈새시장을 공략한다. 그러나 엉성한 비례를 가진 캐릭터는 아무리 멋진 아이템으로 포장을 한다고 해도 이미 좋은 감각을 느낄 수 없다. 이 비례에 대한 문제는 예로부터 미학적으로 화두가 되어 왔었고, 또한 많은 예술가가 절대적 아름다움을 보장할 수 있는 자신만의 비례를 찾아 노력했지만 아직도 정답은 없다. 그러나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로 보다 시장을 파악하여 공략할 수 있는 캐릭터 비례에 대한 분석은 가능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국내에서 개발된 MMORPG 플레이어 캐릭터의 인체비례 유형을 살펴보고 실제로 사용자들이 느끼는 캐릭터 인체비례 선호도를 연구하여 국내 게임 캐릭터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MORPG became one of the most popular computer games in Korea based on ultrahigh speed network and easy access to internet through internet cafe´. Therefore the character design with computer graphic also has been significantly progressed. 2D graphic was just introduced last year but now it's already changing into MMORPG with 3D graphic. 3D games made it possible to create delicate character animation, freely changing a point of time, excellent sound, and weather or time change which wouldn't even be imagined within 2D games. So many graphic designers were able to create better character animation with various light effects and splendid colors, also designers could show the characters much bigger and closely to users.
      This development of graphical expression brought the importance of graphic into relief in Korean MMORPG's similar rule and play method when users choose the game. MMORPG made a big success commercially with a great graphic method. Among all the graphic elements, Player Character is the most important one. That's why there are a lot of different styles of characters in Korea. But the basic element of all the characters is the proportion of characters' body. Most of MMORPG created in Korea use human body as a material. So when characters have same materials, the difference of proportion decides the image of characters. Good characters always have good proportion. Sometimes a few games change this body proportion to maintain new users. Proportion has been a hot issue as an esthetic matter and many artists have been trying to find their own proportion to express absolute beauty. But still there is no answer about it.
      It will be possible to analyze and make a success with character proportion from scientifically organized study. In this thesis, I would like to check the pattern of Korean MMORPG Player Character's body proportion and study users preference, after that I would like to present a scheme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game character.
      번역하기

      MMORPG became one of the most popular computer games in Korea based on ultrahigh speed network and easy access to internet through internet cafe´. Therefore the character design with computer graphic also has been significantly progressed. 2D graphic...

      MMORPG became one of the most popular computer games in Korea based on ultrahigh speed network and easy access to internet through internet cafe´. Therefore the character design with computer graphic also has been significantly progressed. 2D graphic was just introduced last year but now it's already changing into MMORPG with 3D graphic. 3D games made it possible to create delicate character animation, freely changing a point of time, excellent sound, and weather or time change which wouldn't even be imagined within 2D games. So many graphic designers were able to create better character animation with various light effects and splendid colors, also designers could show the characters much bigger and closely to users.
      This development of graphical expression brought the importance of graphic into relief in Korean MMORPG's similar rule and play method when users choose the game. MMORPG made a big success commercially with a great graphic method. Among all the graphic elements, Player Character is the most important one. That's why there are a lot of different styles of characters in Korea. But the basic element of all the characters is the proportion of characters' body. Most of MMORPG created in Korea use human body as a material. So when characters have same materials, the difference of proportion decides the image of characters. Good characters always have good proportion. Sometimes a few games change this body proportion to maintain new users. Proportion has been a hot issue as an esthetic matter and many artists have been trying to find their own proportion to express absolute beauty. But still there is no answer about it.
      It will be possible to analyze and make a success with character proportion from scientifically organized study. In this thesis, I would like to check the pattern of Korean MMORPG Player Character's body proportion and study users preference, after that I would like to present a scheme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game charact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국문초록 = i
      • 서론 = 1
      • 1. 연구의 목적 = 1
      • 2. 연구 범위와 방법 = 4
      • 목차
      • 국문초록 = i
      • 서론 = 1
      • 1. 연구의 목적 = 1
      • 2. 연구 범위와 방법 = 4
      • I. MMORPG와 Player Character에 대한 이해 = 5
      • 1. MMORPG의 정의 = 5
      • 1) 게임의 정의와 온라인 게임의 개념 = 5
      • 2) RPG의 정의와 장르적 특징 = 6
      • 3) MMORPG의 특징 = 10
      • 2. MMORPG 캐릭터의 구성과 특징 = 12
      • 1) 게임 캐릭터의 일반적 특징 = 12
      • 2) MMORPG 캐릭터의 특징 = 12
      • 3) MMORPG 캐릭터의 구성 = 15
      • 3. MMORPG 캐릭터 제작의 일반 = 17
      • 1) 캐릭터 제작방식 구분 = 17
      • 2) 시점 = 19
      • II. 인체비례와 게임 Player Character = 21
      • 1. 인체비례론의 원리 = 21
      • 1) 인체비례론의 정의 = 21
      • 2) 인체비례론의 역사 = 23
      • 2. 인체 비례 구조 = 28
      • 1) 인체 비례 측정 = 28
      • 2) 연령별 인체 비례의 변화 = 31
      • 3. Player Character와 인체 = 33
      • 1) MMORPG 플레이어 캐릭터와 인체 = 33
      • 2) MMORPG에 나타난 인체비례의 유형 = 37
      • III. MMORPG 캐릭터 디자인 분석 = 45
      • 1. MMORPG 캐릭터 디자인 현황 = 45
      • 1) 조사 목적 = 45
      • 2) 조사 대상과 분석 방법 = 45
      • 3) 국내 MMORPG 현황 = 46
      • 4) 분석 결과 = 65
      • 2. 캐릭터 디자인 분석 = 70
      • 1) 라그나로크(3~5등신) = 70
      • 2) 뮤(7~8등신) = 72
      • 3) 리니지(8~9등신) = 75
      • 3. 설문조사 분석 = 80
      • 1) 조사 목적 = 80
      • 2) 조사 대상과 분석 방법 = 80
      • 3) 설문조사 분석 결과 = 82
      • IV. 문제점 보안과 발전 방향 모색 = 105
      • 결론 = 107
      • 참고문헌 = 108
      • 설문지 = 111
      • 영문초록 = 1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