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이 미적 대상을 감지하고 이해하는 데는 세련된 능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능력은 의도적인 교육에 의하여 길러진다. 초등학교에서 학생의 미술교육은 표현활동과 더불어 미적 사고능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334145
청원군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학위논문(박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미술교육학과 초등미술교육전공 , 2011. 2
2011
한국어
초등미술교육 ; 미적 인지 발달 ; 미적 인지 발달단계 ; 초등학생 ; 미술교육
372.5 판사항(22)
충청북도
xiii, 330 p. : 채색삽화 ; 26 cm
한국교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김동영
참고문헌 : p.275-28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학생이 미적 대상을 감지하고 이해하는 데는 세련된 능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능력은 의도적인 교육에 의하여 길러진다. 초등학교에서 학생의 미술교육은 표현활동과 더불어 미적 사고능력...
학생이 미적 대상을 감지하고 이해하는 데는 세련된 능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능력은 의도적인 교육에 의하여 길러진다. 초등학교에서 학생의 미술교육은 표현활동과 더불어 미적 사고능력의 발달이 조화롭게 이루어져야 한다. 미적 사고 능력 발달을 위해서 전제 되어야 할 것은 학생의 미적 인지 능력에 대한 발달정보를 파악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제까지 미술교육 연구는 미술 표현발달에 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으며, 미술 감상에 관한 연구도 방법적 측면의 연구가 주된 관심사였다. 또한 외국의 선행연구에서 제시되는 미적 인지 발달에 관한 정보들은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미적 인지 발달과 차이가 있음을 현장 교사로서 파악할 수 있었다. 효율적인 초등학교 미술교육의 수행을 위해서는 초등학생이 미적 대상들을 어떻게 이해하며 미적 인지 능력이 어떤 수준으로 성장하는가를 알아야 한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서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미적 인지 발달단계를 파악하여 초등학생의 미적 인지 발달에 관한 기초적인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미적 인지와 미적 인지 발달단계란 어떻게 파악되는가?
둘째, 초등학생의 미적 인지 발달은 발달단계로 구분이 되는가?
셋째, 초등학생의 미적 인지 발달은 발달단계별 어떠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하여 본 연구는 문헌 조사, 면담 조사, 설문 조사를 통합적으로 활용하였다. 문헌을 통해 미적 인지 발달단계에 대하여 파악하였고, 초등학생의 미적 인지 발달 양상을 면담 조사와 설문 조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문헌을 통하여 미적 인지 발달단계에 대하여 고찰한 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미적 경험을 이루는 미적 대상, 미적 인지의 주체자, 미적 인지의 과정이라는 3가지 차원에서 ‘미적 인지’를 다음과 같이 파악할 수 있었다.
미적 인지는 미적 지각, 미적 인식을 포괄하는 용어로서 미적 대상에 대한 인지 과정을 의미한다. 미적 인지는 미적 대상의 지적ㆍ정서적 성질을 직접적, 직감적, 직관적으로 인지하는 것으로 감성적 요소와 지적인 요소를 수반한다. 또한 미적 인지는 미적 대상이 가지는 특성을 감지하고 수용하며 이해하는 능력으로서 미적 인지 주체자와의 지향적 관계 구축을 통해 일어나는 복합적 형태의 정신 과정이다. 미적 인지는 미적 대상을 그 자체로 바라보는 것을 통해서 즉, 주의를 기울여 몰입하여 바라보는 것을 통해서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미적 인지는 심미적 사고 과정으로서 미에 관한 가치판단 사고 과정이라 말할 수 있었다.
‘미적 인지 발달단계’에서 단계란 미적 대상에 대해, 학생이 동질적인 사고 과정을 보이며, 이러한 사고 과정이 서로 연관되어 집합체를 이루는 하나의 일관된 사고 경향을 일컫는다. 연구자는 학생의 미적 인지가 전 단계보다 진보된 인식 경향을 내 보일 때 이를 미적 인지의 발달이라 보았다. 전 단계에 비해 미적 인지 능력이 발달되었다는 증거는 미적 대상을 보고 이를 이해하기 위해 증진되는 사고 능력의 수준에서 찾았다. 각각의 단계에서 새로운 통찰력을 가지고 미적 대상을 해석하고, 이러한 해석의 적합성이 증가하였을 때 발달되었다고 판단을 하였다. 연구자는 적합성이 증가되었다는 관점을 인지 발달단계와 연관시켰다. 회화 감상에 있어 객관적 판단을 하고, 논리적 사고력이 증가하며, 추상적 추론 능력이 증가하였을 때 적합성이 증가하였다고 판단하였다.
미적 인지 발달단계에 관한 선행연구를 가드너(Gardner), 일본 문부성, 켈리베이지(Kerlavage), 파슨즈(Parsons), 하우젠(Housen)의 연구들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가드너와 일본 문부성의 선행연구는 학생의 미적 인지 발달단계를 학년별(연령별)로 구분하여 발달단계를 제시하였다. 가드너는 초등학생의 발달단계를 2단계로 제시하였으며, 일본 문부성은 3단계로 제시하였다. 켈리베이지, 파슨즈, 하우젠은 초등학생의 미적 인지 발달단계를 학년별(연령별)로 제시하지 않았으며, 켈리베이지는 3단계로, 파슨즈와 하우젠은 5단계로 제시하였다. 이상의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초등학생은 자기중심적 미적 판단, 추상적 사고와 논리적 사고의 발달로 인한 미적 판단, 사실적 형태에 집중한 미적 판단, 표현적 특성에 집중한 미적 판단이라는 각각의 단계별 미적 인지 발달 특성들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미적 인지 발달단계에 대한 이해를 얻은 후, 회화감상을 통하여 면담 조사와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면담 조사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까지의 학생 84명을 대상으로, 2009년과 2010년 2년에 걸쳐 실시하였다. 1차년도 60명, 2차년도 24의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2차례의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면담 조사를 실시한 학교는 연구자가 근무하는 광주광역시의 S초등학교이다.
설문 조사는 2010년 9월 전국의 초등학생을 모집단으로 하여 6개 광역권(서울,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인천)의 학생 1022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 조사 자료를 가지고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과 Scheffe 검증, 교차분석(X2)을 통하여 학생의 미적 인지 능력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때 사용하였던 조사도구는 연구자가 구안한 면담지침서를 변형한 설문지였다. 설문지는 인지조사, 사전검사, 전문가 자문을 통하여 조사에 활용하였다. 설문 조사에 쓰인 설문지의 신뢰도는 내적일관성 분석을 통한 크론바하 알파값(Cronbach alpha)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사전조사에서는 Cronbach alpha= .78과 본 조사에서는 Cronbach alpha= .82가 나타났다.
면담 조사와 설문 조사를 통해 얻은 결론을 ‘발달단계의 구분 여부’와 ‘발달단계별 특성의 파악’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제시하고, 각각의 발달단계별 특성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미적 인지의 발달은 질적인 차이가 있어 발달단계를 구분할 수 있다.
면담 조사 결과 학생의 미적 인지 능력의 발달은 회화 그림 감상에 있어서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감상에서 정서적 표현성의 시기로, 추상적이고 유추적인 주제 중심 감상의 시기로 질적인 변화를 거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설문 조사에서 조사 문항 53문항 중 37문항에서 학년간 유의미한 미적 인지 발달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문항에서 동질 집단을 각 문항별로 2개에서 3개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둘째, 초등학생의 미적 인지 발달단계는 3단계로 구분하였다. 각 단계별로 나타나는 대표적인 미적 인지 발달 특성을 주제어로 제시하여 3단계를 각각 1단계 ‘사실의 단계’, 2단계 ‘정서적 표현의 단계’, 3단계 ‘주제의 단계’로 나누었다.
면담 조사에서 미적 인지 발달의 질적인 차이를 3단계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설문 조사에서 발달의 차이를 2단계 또는 3단계로 확인할 수 있었다. 1단계의 학생은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형태로 가치 판단을 하는 특징이 있었으며, 2단계의 학생은 감정과 느낌을 가치판단에 있어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특징이 있었다. 3단계의 학생은 주제의 전달력과 표현력으로 가치판단을 하는 특징이 있었다.
셋째, 초등학교 미적 인지 발달 1단계 ‘사실의 단계’ 학생은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형태를 선호하며, 자기중심적인 미적 판단의 특성을 갖는다.
‘사실의 단계’ 학생은 초보적인 타인에 관한 인식이 이루어지나, 자기중심적 사고가 보다 우선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내가 좋아하는 대상과 색을 중심으로 미술품의 가치와 선호를 판단한다. 구체물에 의한 감각적 사고를 하기 때문에 논리적인 사고를 하지 못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단계의 학생에게 색은 그림의 가치판단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 된다. 학생이 훌륭한 작품이라고 판단하는 그림들은 많은 색을 사용하여 밝고, 화려하게, 여백 없이 색칠한 작품들이다.
‘사실의 단계’ 학생은 사실적 형태의 그림을 선호하고, 학생에게 사실적 형태의 묘사 여부는 그림의 가치를 평가하는 기준이 된다. 그러나 학생은 사진과 같은 정밀한 사실주의를 추구하는 것은 아니고 도식적 사실주의를 추구한다.
이 단계의 학생은 주제의 아름다움을 가지고 그림을 판단한다. 주제가 가지는 공식적인 지시성이 그림의 가치를 결정한다. 학생에게는 화면 속에 무엇이 그려졌는지가 관심의 대상이 된다. 학생에게는 비도덕적인 주제를 표현한 작품은 작품의 의도와 상관없이 좋지 못한 그림이 된다. 이 단계의 학생은 주제에 대하여 이야기할 때 그림 속에 등장한 것을 중심으로 부분적인 나열식 이야기를 한다.
‘사실의 단계’ 학생은 표현의 목적을 보이는 것을 그리기 위해서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그림 속에 나타난 감정과 느낌은 이 단계의 학생이 그림을 보는데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학생이 그림 속의 느낌을 파악하고자 한다면 그 방법은 그림 속에 그려진 인물들의 표정과 등장된 대상들의 공식적 지시성을 살피는 것이다.
‘사실의 단계’ 학생은 어떤 그림이라도 보면 좋아한다. 학생에게 나쁜 그림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잘 그린 그림과 못 그린 그림을 구분한다. 이 단계의 학생에게 잘 그려진 그림은 사실적 형태로 그려진 그림이다. 또한 이 단계의 학생은 모든 그림을 훌륭하다고 생각하며, 미술품으로 인정하나 미술품이 되기 위한 조건이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이 단계의 학생은 미술품이란 사람이 꼭 직접 제작해야 하고 실수로 만들어져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넷째, 초등학교 미적 인지 발달 2단계 ‘정서적 표현 단계’ 학생은 감정의 표현과 느낌의 전달을 가치 판단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하며, 발달된 타인에 대한 인식을 갖는다.
‘정서적 표현 단계’의 학생은 자기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타인에 대한 인식을 갖는 단계이다. 아직까지 구체물에 의한 사고를 하나, 점차 논리적인 사고를 해가는 단계이다. 학생은 더 이상 자기중심적 사고에 기인한 선호로서 그림의 가치를 판단하지 않는다. 또한 학생은 미적인 사실과 일반적인 사실을 구별할 수 있다.
이 단계의 학생은 사실의 단계보다 좀더 세밀한 색채 인지를 한다. 명암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사물이 입체적으로 보이는 까닭을 이야기할 수 있다. 학생이 훌륭한 그림이라고 생각하는 채색의 조건을 살펴보면 색의 변화가 잘 나타나고, 명암과 그림자 처리가 잘 되어서 입체적으로 보이는 것이다.
이 단계의 학생은 사실의 단계 학생보다 좀더 발달된 사실적 형태주의를 갖는다. 전 단계의 학생이 도식적인 사실적 형태주의를 가졌다면 이 단계의 학생은 정밀한 사실적 형태주의를 갖는다. 그러나 전 단계와 달리 비사실적 형태에 대해서 좀더 유연한 생각을 갖는다.
‘정서적 표현 단계’ 학생은 여전히 주제가 가지는 공식적 지시성에 의존한다. 그림으로 나타내려고 하는 것은 대상이나 주제가 아름다워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 단계 학생에게 작품속에 감정과 느낌을 얼마나 잘 표현하였느냐는 학생이 미적 판단을 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된다.
전 단계의 학생이 그림의 느낌을 인물의 표정과 지시적 대상으로 파악하였다면 이 단계의 학생은 그림의 느낌을 좀더 종합적으로 파악을 한다. 그림의 느낌을 파악하기 위하여 색을 연관시키며, 그림 속에 그려진 여러가지 것들을 고려한다.
이 단계의 학생은 좋아하는 그림과 싫어하는 그림을 확연히 구분하며, 잘 그린 그림과 훌륭한 그림도 엄밀히 구분을 한다. 전 단계의 학생이 나쁜 그림이 없다고 판단하였던 것과 달리, 이 단계의 학생은 나쁜 그림의 존재를 인정한다. 비도덕적인 주제가 나쁜 그림이 되는 주된 원인이지만, 이외에도 느낌이 좋지 않거나 표현하려는 것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한 것도 원인이 된다. 학생은 미술작품이 작가의 감정과 의도, 개성이 표현된 것이라고 깨닫는다. 이 단계의 학생은 모든 그림을 미술품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미술품이 되기 위한 조건 중의 하나는 화가의 감정이 잘 들어간 것이어야 한다. 이 단계의 학생은 꼭 사람이 제작을 하지 않았어도, 실수나 우연으로 그려졌어도 미술품이라고 인정한다.
다섯째, 초등학교 미적 인지 발달 3단계 ‘주제의 단계’ 학생은 주제의 전달력과 표현력을 가치 판단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하며, 미적 판단에 있어서 추론적인 판단의 특성을 갖는다.
‘주제의 단계’ 학생은 추상적 추리 능력과 추론 능력, 논리적 사고력이 증가하여 그림을 보고 부분적으로 파악하지 않고 전체와의 관계 속에서 종합적으로 파악한다. 발달된 타인에 대한 인식으로 인하여 객관적 가치판단에 대해 회의적이다.
이 단계의 학생은 어두운 배경의 색도 좋아한다. 훌륭하게 채색된 그림의 조건은 화면이 조화롭고, 주제를 잘 드러나게 하며, 화가의 의도를 잘 전달하도록 채색된 것이다. 학생은 비사실적 형태도 훌륭하다고 생각하며, 사실적 형태와 비사실적 형태에 따른 표현 양식의 특징을 명확하게 인식하나 여전히 사실적 형태를 선호하는 경향을 유지한다.
이 단계의 학생의 가장 큰 특징은 주제의 전달력과 표현력으로 그림의 가치를 평가한다는 점이다. 이 단계의 학생은 주제의 공식적인 지시성에서 탈피하여 그림에 나타난 사람이나 상황을 이해하고 이를 추리하여 주제의 표현력과 연관시킨다. 학생은 그림을 어떤 메시지, 주제를 전달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그림의 주제로서 폭력, 살인, 잔인함과 같은 비도덕적인 주제도 인정한다.
이 단계의 학생에게 미술품은 미술품이 되기 위한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이어야 한다. 미술품이라 판단하는 조건중의 하나는 주제의 전달력이며, 새롭게 자각되는 독창성이다. 학생에게 그림은 독창적이어야 하며, 누구나 제작할 수 있는 것은 미술품이 될 수 없다. 학생은 미묘한 표현적인 성격, 진부하지 않는 색다른 특성에 관심을 갖는다. 또한 객관적 판단에 대한 회의로 이 단계의 학생에게 나쁜 그림의 존재는 부정된다.
연구자가 파악한 초등학생의 미적 인지 발달단계와 발달 특성을 선행연구와 비교한 결과, 미적 인지 발달단계의 구분과 단계별 미적 인지 특성에서 차이점이 있었다.
발달단계의 구분에 있어서 학년별(연령별)로 구분하지 않는 연구자의 3단계는 발달단계를 학년별로 또는 연령별로 구분한 선행연구와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발달단계별 미적 인지 발달 특성의 차이점은 발달 특성들이 나타나는 단계의 빠름과 늦음에 있었으며, 발달 특성들이 나타나는 단계의 세분화에 있었다. 가드너(Gardner)의 사실기는 연구자의 연구결과 2단계로 세분화되었다. 또한 일본 문부성이 제시한 초등학교 1, 2학년의 발달단계는 연구자의 연구결과, 1학년이라는 짧은 시기에만 적용되었다. 파슨즈(Parsons)가 제시하는 취학 전 학생의 미적 인지 발달특성들은 연구자의 연구결과, 초등학교 1학년에 이르기까지 지속되었으며, 초등학생의 미적 인지 발달 특성으로 제시하는 특성들은 너무 넓은 단계로 연장되었다는 점에서 연구자의 결과와 차이가 있었다. 또한 파슨즈(Parsons)가 초등학교 후에 나타난다고 보았던 발달 특성들도 국내의 초등학교 학생에게서 발견이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파악한 ‘초등학생의 미적 인지 발달단계’에 관한 정보는 초등학생의 미적 인지 능력을 이해하는데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할 뿐 아니라, 교육목표와 교수-학습 방법의 모색에 기초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본다. 학생의 미적 인지 능력의 발달은 외부적인 조력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 결과가 초등학생의 미적 인지 발달을 돕는 조력의 일환으로서, 미술교육자들 또는 학생의 미적 인지 능력 발달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에게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여 미술교육 발전을 위한 작은 밑거름이 되기를 소망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오병남, "미학강의",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2 유효순, "아동발달",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아동발달, 2006
3 홍순정, "인지발달", 1992
4 이규선, "미술교육학", 교육과학사, 2001
5 송명자, "발달심리학", 학지사, 1995
6 Matlin, Margaret W, "인지심리학", 서울: 학지사, 1974
7 임영방, "미술과 교육", 1982
8 사사끼 겡이치, "민주식 옮김", 2002
9 박용숙, "예술의 의미", [ ], 19--
10 Crites, "Vocational Psychology", Vocational Psychology, 1969
1 오병남, "미학강의",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2 유효순, "아동발달",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아동발달, 2006
3 홍순정, "인지발달", 1992
4 이규선, "미술교육학", 교육과학사, 2001
5 송명자, "발달심리학", 학지사, 1995
6 Matlin, Margaret W, "인지심리학", 서울: 학지사, 1974
7 임영방, "미술과 교육", 1982
8 사사끼 겡이치, "민주식 옮김", 2002
9 박용숙, "예술의 의미", [ ], 19--
10 Crites, "Vocational Psychology", Vocational Psychology, 1969
11 이규선, "미술교육학개론", 교육과학사, 1995
12 김영석, "사회조사방법론", 2006
13 Hurwitz, A, "Children and their Art", 2006
14 김성숙, "미술교육과 문화", 학지사, 2007
15 김언주, "사고지능의 교육", 1987
16 정옥분, "아동발달의 이론", 아동 발달의 이론, 2003
17 Kollogg, "Analyzing children's art", 1969
18 Lanier, "Byond Aesthetic Education", 1983
19 이상열, 스잔느 K.랭거, "예술이란 무엇인가", 1995
20 Chomsky, Noam, "언어와 지식의 문제", 한신문화사, 1994
21 김동영, "음악 미술 개념사전", 2010
22 김춘일, "조형의 기초와 분석", 미진사, 1994
23 이혁규, "수업, 비평을 만나다", 우리교육, 2007
24 Jalongo, M. R., "The arts in children's Lives", 1998
25 김춘일, "유아를 위한 미술교육", 미진사, 2001
26 Smith, "Ethical issues in interviewing", 1992
27 강갑원, "감각 통합과 아동 발달", 2004
28 Kircker, Gardner, "Children's conception of thearts", 1975
29 Knieter Gerard L, "The Nature of Aesthetic Education", 1971
30 Rudolf A., "Visual Thinking; 시각적 사고", 2004
31 이창림, "미술의 기능에 관한 연구", 1996
32 김태환, "비판적 문학 이론과 미학", 문학과 지성사, 2000
33 차미례, Gombrich, "예술과 환영 Art and Illusion", 2003
34 이대일, David.A.Laure, "조형의 원리』 Design Basics", 1996
35 박휘락, "미술감상과 미술비평교육", 시공사, 2003
36 Eecker, "Analyzing children's talk about art", 1973
37 Miles, M. B., "Qualitative data analysis (2nd ed.)", Qualitative Data Analysis(2nd ed), 1994
38 김현근, "Piaget 이론과 아동 중심교육", 1994
39 Schirrmacher, "Art and creativity for young children", 1998
40 이재언, Dewey, "경험으로서 교육 Art as Exprence", 2003
41 송길연, Shaffer, "발달심리학 Development Psychology", 2000
42 정찬섭, Goldstein, "감각과 지각 Sensation & perception", 2004
43 하태환, Deleuse, "감각의 논리 Logique de la sensation", 1995
44 송길연, Crain, "발달의 이론 Theories of Development", 2005
45 강영계, Habermas, "인식과관심 Erkenntnis und interesse", 1996
46 Spradly.P.J, "참여관찰법 [Participant Observation]", 2006
47 박나미, "5-7세 어린이 묘화의 평가적 연구", 1987
48 장호연, Townsend, "미학입문 An introduction to aesthestics", 2000
49 김동영, "초등 미술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 2005
50 이성도(Yi Sung do), "미술교육에서의 심미적 인간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2009
51 홍기태(Hong Kee Tae), "미학의 관점에서 본 (심)미적 태도", 한국미술교육학회, 2008
52 임규혁, "학교학습 효과를 위한 교육심리학", 1996
53 김흥숙(Kim Heung Suk), "Efland의 미술교육 사상에 관한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2008
54 김화자, "미켈 뒤프렌느에 있어서 미적 지각", 1998
55 임규혁, "인간발달 연구의 최근 동향과 적용", 1996
56 Gardner, "Developmental Trends in Sensitivity toPaintings", 1970
57 김광명, Parsons, "미학과 예술교육, Aesthetics and education", 미학과 예술교육 Aesthetics and Education, 1998
58 Galotti, "Cognitive psychology in and out of the laboratory", Cognitive psychology in and out of the Laboratory, 1999
59 김혜숙(Kim Hye-Sook), "미의식과 미적 체험에 관한 담론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미의식과 미적체험에 관한 담론 연구, 2007
60 Berg, Bruce Lawrenc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Allyn and Bac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1995
61 장현오, "미술교육에 있어 미적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논총제6집. 33-56, 1997
62 Durham, Parsons, "Developmental stages inchildren's aesthetic responses", 1978
63 Jeanette, "Influence of exposure on preschooler's artpreferences", 1998
64 Goodman, Nelson, "Languages of art : an approach to a theory of symbols", Bobbs-Merrill, 1968
65 한국교육개발원, "초등학생의 사고 능력 발달에 관한 연구", 2001
66 김영숙, "화지의 크기에 따른 주제 표현에 대한 조사", 1984
67 홍경자, "화지의 형태에 따른 주제 표현에 대한 조사", 1983
68 김병호, "미술 감상 능력 평가 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2007
69 고성호, Babbie, "사회조사방법론 The Practice of Social Research(9th)", 2001
70 서.울교육대학교 미술교육연구회, W.Lambert Brittain, Viktor Lowenfeld, "Creative and Mental Growth 『인간을 위한 미술교육", 1987
71 Geahihan, "The discipline of art criticism : Implications for practice", The Discipline of Art Criticism: Implications for Practice, 1997
72 류지은, "학생의 인지발달 수준 차이와 교육적 시사점",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연구논총』, 2005
73 Machotka, "Aesthetic critria in childhood: Justifications of preference", 1966
74 Eisner, "Cognition and curriculum reconsidered. 인지와 교육과정", 1994
75 이용숙, "청소년 상담학의 연구 : 질적 연구방법의 적용", 한국청소년상담원, 청소년 상담학의 연구: 질적연구방법의 적용, 1999
76 한국미술연구소, Yenawine, "현대미술 감상의 길잡이』 How to Look at Modern Art", 1994
77 강충렬, "초등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2004
78 노용, "문화적 현상으로서 미술이해를 위한 교수법 연구", 2005
79 권혁미, "미적경험에 따른 미적 인식능력 발달에 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적경험에 따른 미적인식능력 발달에 대한 연구, 2002
80 안금희(Ahn Keum-Hee), 이주연(Lee Joo-Yon), 김정희(Kim Jeung-hee), "예비 초등교사들의 미술품 해석 능력에 대한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2005
81 Baldwin, "Thought the Things: Astudy of the Development andMeaning of Thought", 1906
82 장동호, "미술교육에서 지적 활동과 표현활동과의 상호관계", 2005
83 백운학, Thomas, "아동 발달의 제 이론 Comparing Theories of Child Development", 1993
84 이현아, "초등학생의 미술표현능력과 시각지수에 관한 연구", 2008
85 한국교육개발원, "초·중학생의 지적 ·정의적 발달수준 분석 연구(Ⅰ)", 2000
86 한국교육개발원, "초·중학생의 지적 ·정의적 발달수준 분석 연구(Ⅱ)", 2001
87 Lark-Horovitz, "On art appreciation of children: Ⅲ. Textile patternpreference study", 1973
88 김근영(Keun-Young Kim), 변영신(Young-Shin Pyun), "유아기 움직임을 통한 지각ㆍ인지발달의 이론적 고찰", 한국체육과학회, 1999
89 오병남, Jerome Stolnitz, "Aesthetics and Phoilosophy of Art Criticism 『미학과 비평철학』", 1960
90 이홍수, "심미적 이성인의 사회‘ 구축에 기본이 되는 예술교육", 2008
91 박철홍, Dewey, "아동과 교육과정/ 경험과 교육 [The child and the curricu-lum]", 아동과 교육과정; 경험과 교육The Child and the Curriculum, 2002
92 이인실, "유아의 자유화에 나타난 주제 및 색채선호에 대한 연구", 1991
93 Gardner, "Developmental Trends in Sensitivity to formand subject matter in paintings", 1973
94 김채현, Dufrenne, "미적체험의 현상학, 상?하 Ph?nom?nologie de lexp?rience esth?tique", "미적체험의 현상학, 1996
95 임정기, "미술 교수학습 패러다임 변환와 실천을 위한 이론과 방법", 2010
96 김정민, Opper, Ginsburg, "Piaget's Theory of Intellectual Development.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 1988
97 Parsons, "How we understand art: A cognitive development account of aesthetic experience", How we understand art: A cognitive development account ofaesthetic experience, 1987
98 강현석, Eisner, "The Arts and Creation of Mind 『예술교육론 -미술교과의 재발견 -』", 2002
99 김미숙, "유아의 개념변화와 상위 인지: 빛과 그림자 개념을 중심으로", 1997
100 강태희, "미술·진리·과학 : 올바른 미술감상의 과학적, 철학적 기초들", "미술·진리·과학 : 올바른 미술감상의 과학적, 1996
101 김선아(Sunah Kim), "미술교육연구의 방법론적 고찰: 질적 연구방법론을 중심으로", 한국조형교육학회, 2005
102 유호전, Sheppard, "Aesthetics: An introduction the philosophy of art 미학개론: 예술철학입문", 1987
103 윤자정, "보는 미술에서 읽는 미술로 : 미술교육의 전제에 대한 한 검토", 1999
104 Taunton, "Asethetic responses of young children to the visual arts: Areview of the literature", 1982
105 권지성, Creswell, 조홍식, 저선욱, 김진숙, "Qualitative Inqury and Research Design『질적연구방법론: 다섯가지 전통", 1998
106 이정욱, 임수진, "미술비평 활동이 유아의 미적 반응 및 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20(2). 187-204, 1999
107 Zernich, Hardiman, "The relative influence of parts andwholes in shaping preference responses to pointing", 1982
108 정수기, "하우젠(Housen)의 미적 발달 단계가 미술 비평 교육에 주는 시사점", 한국미술교육학회, 2008
109 안금희, "감상수업에서 언어의 매개적 기능에 관한 이론적 기초 및 교수법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논총』16. 219-248, 2003
110 김정선, "미술 감상발달에 관한 기초 조사 :학년과 작품 선호도의 관계성중심으로", 2009
111 채영란,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의 발달 특성과 인지능력 및 재인기억력과의 관계", 2007
112 최화수, "어린이의 미의식 수준에 관한 연구 : 회화작품에 대한 반응 경향을 통하여", 대구교육대학교, 2001
113 Corbin, Morse, "The unstructured interative interview: issuesof reciprocity and risks when dealing with sensitive topics", 2003
114 안금희, "미술교과서에 나타난 작품해석에 대한 연구: 사회문화적 맥락의관점을 중심으로", 2001
115 김혜숙, "작품의 구조에 따른 초등학생의 비평적 논리적 사고와 언어표현함양에 관한 연구", 1999
116 이해명, Eisner, "The Educational Imagination, On the Design andEvaluation of School Programs. Third Edition. 교육적 상상력", "The Educational Imagination, 2005
117 안금희, Eisner, "The Enlightened Eye: Qualitative Inquiry and theEnhancement of Educational Practice 『질적연구와교육』", 1998
118 염시창, Teddlie, Tashakkori, "Mixed Methodology-Combining Qualitative.Approaches.『통합연구방법론: 질적·양적 접근방법의 통합", 1998
119 신경림, Strauss, "Basicsofqualitativeresearch:Techniquesand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2nd ed.) 근거이론의 단계",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2nd ed) 『근거이론의 단계, 1998
120 서경아, Yin, 신경식,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sthods(2nd)Applied Social Research Methods Series, Vol, 5. 『사례연구방법』",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sthods(2nd)Applied Social Research Methods Series, 1994
121 안금희, Efland, "Art and Cognition: Intergrating the Visual arts in the.Curriculum. 『인지중심 미술교육론 탐구-교육과정 개발의 새 접근", 2002
122 박승배, Eisner, "The Enlightened Eye: Qualitative Inquiry and the.Enhancement of Educational Pratice. 『교육비평-엘리어트 아이즈너의 질적연구방법론』", 1997
123 Cole, "The effect of a cognitively-oriented aesthetic curriculum on theaesthetic judgment and response of four- six-, and eight-year olds in an artmuseum program", "The effect of a cognitively-oriented aesthetic curriculum on theaesthetic judgment and response of four- six-, 1985
124 백희숙, "전통문화소재를 활용한 통합미술교육활동이 유아의 전통문화 인지와 선호도, 미적반응, 미술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통문화소재를 활용한 통합미술교육활동이 유아의 전통문화 인지와 선호도, 2008
125 Gardner, Davis, "The art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 cognitivedevelopment portrait of the young child as artist. In B. Spodek(Ed),Handbook of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2nd ed.)", "The art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 cognitivedevelopment portrait of the young child as artist. In B. Spodek(Ed),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