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성에 건설된 두 개의 경인철도 정차장 = 경성정차장과 남대문정차장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우리나라 최초의 철도노선인 경인선이 건설되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경인선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한성에는 두 곳의 철도정차장이 생기게 되었는데, 이는 수도의 관문이 되는 철도...

      이 글은 우리나라 최초의 철도노선인 경인선이 건설되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경인선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한성에는 두 곳의 철도정차장이 생기게 되었는데, 이는 수도의 관문이 되는 철도정차장이 두 개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1876년 세계를 향해 문호를 개방한 조선은 여전히 중국과의 연결 루트를 중요시하는 가운데 서양과 만나는 길목인 인천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했다. 인천에는 중국과 일본, 러시아에서 직항 증기선이 왕래하기 시작했고, 수도 한성과 물리적 거리를 좁혀줄 경인철도의 필요성 또한 제기되었다.
      조선에 철도가 도입된 직접적인 계기는 1894년 청일전쟁 발발직후 일본의 강압으로 맺어진 『朝日暫定合同條款』에서 비롯되었다. 하지만 이때는 영국, 미국, 독일, 러시아 등에서 공동으로 항의하면서 철도 건설로 이어지지 못했다. 조선철도의 부설은 1896년 아관파천 직후 시작되었다. 조선정부는 미국인 모스에게 경인철도의 부설을 허가하는 《京仁間鐵路合同》을 체결하였고, 이로부터 1년 이내에 모스는 기공식을 개최했다. 제물포에서 한성, 한성에서 제물포로 양방향에서 진행된 공사는 일본의 자금을 대여받은 모스에 의해 1898년까지 지속되었다. 이 과정에서 경성정차장이 건설된 것으로 보인다.
      1898년 모스와 경인철도인수조합 간에 철도의 설계와 공사방법 등을 둘러싸고 이견이 생긴 후, 다음해인 1899년부터는 일본의 경인철도인수조합이 직영으로 공사를 재개했다. 1899년 9월 들어 경인철도의 제1공구에서 제3공구의 공사가 마무리되자, 9월 18일 제물포에서 노량진까지 경인철도가 개통되었다.
      이 무렵 경인철도에는 큰 변화가 생겼다. 수도의 관문으로 기능할 경성정차장외에 남대문정차장의 신설이 결정되었던 것이다. 이 남대문정차장은 한성에 건설될 경부철도의 정차장이었다. 1898년 9월 8일 경부철도 부설권을 획득한 일본은 1년여 만인 1899년 9월 대한제국 정부와 협의하여 이 문제를 확정지었다. 이 남대문정차장은 경인철도의 한강 이북일대 공사과정에서 건설되었다. 이에 따라 한성에는 두 개의 경인철도 정차장이 들어섰다. 모스에 의해 건설된 경성정차장은 1905년 경부철도가 개통되면서 서대문역으로 변경된 후 1919년 폐지되어 사라졌다. 하지만 남대문정차장은 1923년 경성역이 된 이래 오늘날에도 서울을 대표하는 철도역으로 기능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of constructing Korea`s first railway route Gyeongin line.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first line, two railway stations were established in the capital of Korea, Hanseong, which means there were two railway sta...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of constructing Korea`s first railway route Gyeongin line.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first line, two railway stations were established in the capital of Korea, Hanseong, which means there were two railway stations being the gateways to the capital.
      Joseon opened its door to the world in 1876, a time when it started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Incheon as a path to meet the West as well as a connecting route to China, which was still considered crucial to Joseon. Direct steam ships to and from China, Japan and Russia started operating in Incheon, making it necessary for Gyeongin Railways to be installed to shorten physical distances between Incheon and Hansung.
      The installment of railways in Joseon originated from the forced signing of 『joiljamjeonghapdongjogwan(朝日暫定合同條款)』 (Joseon-Japan Tentative Cooperation Provision) by Japan right after the breakout of the First Sino-Japanese War in 1894. At the time, however, the construction of railways failed to initiate due to the joint objections by the UK, US, Germany and Russia and it started after the Korea royal refuge at the Russian legation in 1896. Joseon signed 《gyeongingancheollohapdong(京仁間鐵路合同)》 (Gyeongin Railway Cooperation Agreement) that permitted an American named Morse to construct the Gyeongin Railway and its groundbreaking ceremony was held within a year from the signing of the agreement. The dual railway construction connecting Hanseong and Jemulpo had been stalled several times due to difficulties in providing hefty construction costs but continued until 1898. It is speculated that Gyeongseong railway station was built during that time.
      After Morse and Gyeongincheoldoinsujohab(京仁鐵道引受組合) (Gyeongin Railway Acquisition Union) argued against each other ove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methods of the railway in 1898, the Japanese Gyeongincheoldoinsujohab (Gyeongin Railway Acquisition Union) took over and resumed the construction project since 1899. The construction work was completed for Zone 1 through Zone 3 of Gyeongin Railway in September, 1899, and the railway opened its section from Jemulpo(濟物浦) to Noryangjin(鷺梁津) on September 18.
      At that time around,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railway. In addition to Gyongseong railway station as the gateway to the capital, a new decision was made to establish Namdaemun railway station. The station was to be installed for Gyeongbu railway(京釜鐵道) to be set in Hanseong. Japan acquired its rights of construction of Gyeongbu railway in September 8, 1898 and one year after, it confirmed the deal in its consultation with the Korean Empire Government(大韓帝國 政府) in September, 1899. Namdaemun railway station was built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Gyeongin railway in the northern part of Han river(漢江 以北地域). As a result, two Gyeongin railway stations were built in hanseong. Gyeongseong railway station constructed by Morse changed its name to Seodaemun station(西大門驛) with the opening of Gyeongbu railway in 1905 and was closed in 1919. However, Namdaemun railway station(南大門停車場) is still being functioned today as the one representing Seoul ever since it became Gyeongseong station(京城驛) in 1923.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경인철도의 도입과 경성정차장
      • 3. 경인철도 건설과 남대문정차장
      • 4. 맺음말
      • 참고문헌
      • 1. 머리말
      • 2. 경인철도의 도입과 경성정차장
      • 3. 경인철도 건설과 남대문정차장
      • 4.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용상, "한국 철도의 역사와 발전 3" BG북갤러리 2015

      2 이용상, "한국 철도의 역사와 발전 2" BG북갤러리 2013

      3 이용상, "한국 철도의 역사와 발전 1" BG북갤러리 2011

      4 고동환, "한국 전근대 교통사" 들녘 2015

      5 김동진, "파란눈의 한국혼 헐버트" 참좋은 친구 2010

      6 河智姸, "타운센드 상회(Townsend & Co.) 연구" 4 : 1996

      7 손길신, "최초의 경인철도 집중탐구" 한국철도학회 18 (18): 2015

      8 조성면, "질주하는 역사 철도" 한겨레출판 2012

      9 김종혁, "조선후기의 대로" 역사문제연구소 (69) : 359-383, 2004

      10 고동환, "조선후기 서울 삼문(三門) 밖 지역의 특성" 서울학연구소 (59) : 163-187, 2015

      1 이용상, "한국 철도의 역사와 발전 3" BG북갤러리 2015

      2 이용상, "한국 철도의 역사와 발전 2" BG북갤러리 2013

      3 이용상, "한국 철도의 역사와 발전 1" BG북갤러리 2011

      4 고동환, "한국 전근대 교통사" 들녘 2015

      5 김동진, "파란눈의 한국혼 헐버트" 참좋은 친구 2010

      6 河智姸, "타운센드 상회(Townsend & Co.) 연구" 4 : 1996

      7 손길신, "최초의 경인철도 집중탐구" 한국철도학회 18 (18): 2015

      8 조성면, "질주하는 역사 철도" 한겨레출판 2012

      9 김종혁, "조선후기의 대로" 역사문제연구소 (69) : 359-383, 2004

      10 고동환, "조선후기 서울 삼문(三門) 밖 지역의 특성" 서울학연구소 (59) : 163-187, 2015

      11 W.F.샌즈, "조선의 마지막 날" 未完 1986

      12 이승원, "조선신보, 제국과 식민의 교차로" 보고사 2016

      13 鮮交會, "조선교통사 제2권" 북갤러리 2017

      14 鮮交會, "조선교통사 제1권" 북갤러리 2012

      15 앙드레 슈미드, "제국 그 사이의 한국" 휴머니스트 2007

      16 이순우, "정동과 각국공사관" 하늘재 2012

      17 김명수, "재조일본인(在朝日本人) 토목청부업자 아라이 하츠타로(荒井初太郞)의 한국진출과 기업활동" 한국경영사학회 26 (26): 301-332, 2011

      18 도리우미 유타카, "일제하 일본인 청부업자의 활동과 이윤창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19 정재정, "일제침략과 한국철도"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20 김윤희, "이완용평전" 한겨레출판 2011

      21 이희환, "이방인의 눈에 비친 제물포" 인천문화재단 2011

      22 김종헌, "역사(驛舍)의 역사(歷史)" 배재대학교 출판부 2004

      23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세상 사람의 조선여행" 글항아리 2012

      24 최인영, "서울지역 電車교통의 변화양상과 의미 : 1899∼1968"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4

      25 김정동, "서울역 역사(驛舍)의 근대성" 4 : 2005

      26 어니스트 페일, "서양해운사" 혜안 2004

      27 리엄 길모어, "서양인 교사 윌리엄 길모어, 서울을 걷다 1894" 살림 2009

      28 리처드 불리엣, "바퀴, 세계를 굴리다" MID 2016

      29 김정동, "대향하는 이미지, 남대문과 서울역 연구" 11 : 2011

      30 안창모, "대한제국과 경인철도 그리고 서울역" 19 (19): 2016

      31 현광호, "대한제국 초기 주한일본공사의 활동" 이화사학연구소 (33) : 213-230, 2006

      32 김종혁, "근대 지형도를 통해 본 경인로의 노선 변화" 18 : 2007

      33 김제정, "근대 ‘京城’의 용례와 그 의미의 변화" 서울학연구소 (49) : 2-29, 2012

      34 이규수, "개항장 인천과 재조일본인" 보고사 2015

      35 황은수, "개항기 한중일 정기 해운망과 조선상인의 활동" 한국역사연구회 (75) : 201-245, 2010

      36 서울역사편찬원, "개항기 서울에 온 외국인들" 2016

      37 한철호, "개항기 서울에 온 외국인들" 서울역사편찬원 2016

      38 서울역사편찬원, "개항기 서울에 온 외국인들" 2016

      39 국사편찬위원회, "高宗時代史 4집" 探究堂 1970

      40 "高宗實錄"

      41 정재정, "韓末·日帝初期(1905~1916년) 鐵道運輸의 植民地的 性格 上, 下" 8 (8): 1982

      42 文晶蘭, "韓末 韓美關係에 대한 一考察 : 알렌의 利權活動을 중심으로"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43 兪範植, "韓國의 鐵道設置過程: 鐵道創設期를 中心으로" 4 : 1977

      44 裵基完, "韓國에 있어서의 鐵道設置過程 : 鐵道創設期를 中心으로" 8 : 1969

      45 韓國電力公社, "韓國電氣主要文獻集" 1990

      46 나애자, "韓國近代海運業史硏究" 國學資料院 1998

      47 孫兌鉉, "韓國海運史" 曉星出版社 1997

      48 F.H. 헤링튼, "開化期의 韓美關係-알렌博士의 活動을 中心으로-" 一潮閣 1973

      49 박경룡, "開化期 漢城府 硏究" 一志社 1995

      50 木下 良, "道と驛" 大巧社 1998

      51 金源模, "近代 韓國外交史 年表" 檀大出版部 1984

      52 박경룡, "貞洞, 歷史의 뒤안길" 서울중구문화원 2007

      53 국회도서관 입법조사국, "舊韓末의 條約(下)" 신서원 1989

      54 朴性根, "素軒南都泳博士華甲紀念史學論叢" 太學社 1984

      55 "皇城新聞"

      56 "獨立新聞"

      57 柳本藝, "漢京識略" 探究堂 1974

      58 "每日申報"

      59 高成鳳, "植民地の鐵道" 日本經濟評論社 2006

      60 황현, "梅泉野錄 中" 明文堂 2008

      61 朝鮮總督府 鐵道局, "朝鮮鐵道四十年略史" 1940

      62 朝鮮總督府 鐵道局, "朝鮮鐵道史 제1권" 창시시대 1937

      63 朝鮮總督府 鐵道局, "朝鮮鐵道史" 1915

      64 朝鮮總督府 鐵道局, "朝鮮鐵道史" 1929

      65 朝鮮總督府 鐵道局, "朝鮮の鐵道" 1921

      66 松宮春一郞, "最近の韓國" 早稻田大學出版部 1905

      67 정재정, "日本의 大韓 侵略政策과 京仁鐵道 敷設權의 獲得" 77 : 2001

      68 社團法人 日本鐵道建設業協會, "日本鐵道請負業史 明治編" 1967

      69 高橋泰隆, "日本植民地鐵道史論" 關東學園大學 1995

      70 "帝國新聞"

      71 鄭喬, "大韓季年史 1-9" 소명출판 2004

      72 서울시사편찬위원회, "國譯 漢城府來去文 上" 1996

      73 정재정, "京釜鐵道의 敷設에 나타난 日本의 韓國侵略 政策의 性格" 44 : 1984

      74 정재정, "京釜·京義鐵道의 敷設과 韓·日 土建會社의 請負工事活動" 37·38 : 1985

      75 중구청, "中區誌 (下)" 2005

      76 日韓通商協會, "「日韓」通商協會報告 3권" 1897

      77 日韓通商協會, "「日韓」通商協會報告 2권" 1896

      78 버튼 홈스, "1901년 서울을 걷다" 푸른길 2012

      79 서울시사편찬위원회, "(국역)경성부사 1권" 2012

      80 서울시사편찬위원회, "(국역)경성부사 1권"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서울학연구 -> 서울학연구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62 1.48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