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직장 여성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직업 및 삶의 만족 간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검증 = Role of Career Adaptability in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Job and Life Satisfaction Among Working Wome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on the link from social support perceived by working women to job and overall life satisfaction. Perceived social support, career adaptability, job satisfaction, and overall life satisfaction were measured through an online survey from 412 working wom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22.00 and SPSS AMOS 22.0 progra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showed a significant direct relation with career adaptability,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career adaptability of working wome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verall life satisfaction. Third, career adaptability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job and life satisfaction. The findings underscored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in enhancing career and vocational adjustment and life satisfaction, as well as the role of career adaptability in this process.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on the link from social support perceived by working women to job and overall life satisfaction. Perceived social support, career adaptability, job satisfaction, and overall life satisfac...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on the link from social support perceived by working women to job and overall life satisfaction. Perceived social support, career adaptability, job satisfaction, and overall life satisfaction were measured through an online survey from 412 working wom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22.00 and SPSS AMOS 22.0 progra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showed a significant direct relation with career adaptability,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career adaptability of working wome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verall life satisfaction. Third, career adaptability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job and life satisfaction. The findings underscored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in enhancing career and vocational adjustment and life satisfaction, as well as the role of career adaptability in this process.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직장 여성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가 직업만족 및 전반적인 삶에 대한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세 이상의 국내 직장여성 412명이 응답한 온라인 설문조사 자료를 통해 지각된 사회적지지, 진로적응성, 직업만족, 전반적인 삶에 대한 만족을 측정하였고 이를 IBM SPSS 22.0 프로그램과 SPSS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직장 여성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진로적응성, 직업만족,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직접 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장 여성의 진로적응성은 직업만족과 전반적인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직장여성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직업 및 삶의 만족의 관계를 진로적응성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지지가 직장 여성의 진로와 직업 적응 뿐 아니라 전반적인 삶의 적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할 뿐 아니라 이 과정에서 진로적응성의 역할을 확인함으로써 직장 여성의 진로개입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직장 여성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가 직업만족 및 전반적인 삶에 대한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세 이상의 국내 직장...

      본 연구는 직장 여성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가 직업만족 및 전반적인 삶에 대한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세 이상의 국내 직장여성 412명이 응답한 온라인 설문조사 자료를 통해 지각된 사회적지지, 진로적응성, 직업만족, 전반적인 삶에 대한 만족을 측정하였고 이를 IBM SPSS 22.0 프로그램과 SPSS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직장 여성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진로적응성, 직업만족,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직접 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장 여성의 진로적응성은 직업만족과 전반적인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직장여성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직업 및 삶의 만족의 관계를 진로적응성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지지가 직장 여성의 진로와 직업 적응 뿐 아니라 전반적인 삶의 적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할 뿐 아니라 이 과정에서 진로적응성의 역할을 확인함으로써 직장 여성의 진로개입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영진, "한국판 삶의 만족도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경찰공무원, 대학생,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 31 (31): 877-896, 2012

      2 용현우 ; 김민정, "진로적응성과 직무만족 및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일터영성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7 (17): 187-204, 2016

      3 유지연 ; 신효정, "진로적응성 연구의 문헌고찰: 진로구성주의 이론의 진로적응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진로교육학회 32 (32): 1-24, 2019

      4 전혜성 ; 이희연, "진로개발형 중년기 여성의 주관적 행복의 영향요인 연구: 삶의 기대, 마음챙김,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원 49 (49): 123-159, 2010

      5 이현주 ; 정은정, "직장인의 정서표현 양가성이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지지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 20 (20): 558-576, 2020

      6 안보배 ; 박세영, "직장인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지각이 직무만족과 소진에 미치는 효과: 사회적 지지 지각의 매개효과"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7 (27): 497-517, 2014

      7 이세란 ; 이기학, "직장여성의 성차별 경험과 직무 및 삶의 만족의 구조 관계: ‘일 자유의지’와 ‘괜찮은 일’의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33 (33): 539-560, 2021

      8 김희수 ; 김옥희, "중학교 교사들의 교직만족 변인탐색" 한국진로교육학회 22 (22): 53-66, 2009

      9 김연수,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와 사회적 지지도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5

      10 신수정 ; 이인희, "재취업여성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진로역량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적응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422-432, 2018

      1 임영진, "한국판 삶의 만족도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경찰공무원, 대학생,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 31 (31): 877-896, 2012

      2 용현우 ; 김민정, "진로적응성과 직무만족 및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일터영성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7 (17): 187-204, 2016

      3 유지연 ; 신효정, "진로적응성 연구의 문헌고찰: 진로구성주의 이론의 진로적응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진로교육학회 32 (32): 1-24, 2019

      4 전혜성 ; 이희연, "진로개발형 중년기 여성의 주관적 행복의 영향요인 연구: 삶의 기대, 마음챙김,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원 49 (49): 123-159, 2010

      5 이현주 ; 정은정, "직장인의 정서표현 양가성이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지지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 20 (20): 558-576, 2020

      6 안보배 ; 박세영, "직장인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지각이 직무만족과 소진에 미치는 효과: 사회적 지지 지각의 매개효과"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7 (27): 497-517, 2014

      7 이세란 ; 이기학, "직장여성의 성차별 경험과 직무 및 삶의 만족의 구조 관계: ‘일 자유의지’와 ‘괜찮은 일’의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33 (33): 539-560, 2021

      8 김희수 ; 김옥희, "중학교 교사들의 교직만족 변인탐색" 한국진로교육학회 22 (22): 53-66, 2009

      9 김연수,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와 사회적 지지도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5

      10 신수정 ; 이인희, "재취업여성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진로역량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적응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422-432, 2018

      11 송보라 ; 이지원 ; 최혜승 ; 허준경 ; 이기학, "성인의 전생애적 진로만족 연구: 생애주기별 사회인지진로변인과 삶의 만족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상담학회 15 (15): 1791-1810, 2014

      12 김상미, "생산가능인구 변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1 : 45-56, 2017

      13 박지원,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5

      14 백정기 ; 이제경,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진로교육학회 32 (32): 79-98, 2019

      15 정미예 ; 조남근, "대학생의 진로적응성과 긍정적 정서, 사회적 지지 및 삶의 만족의 구조적 분석" 한국상담학회 16 (16): 179-193, 2015

      16 신윤정 ; 이은설, "대학생의 조절초점과 진로결정효능감 간의 관계 내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적응의 진로구성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진로교육학회 31 (31): 91-112, 2018

      17 주영주 ; 고경이 ; 정유진, "대학생의 긍정적 정서, 사회적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결과기대가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28 (28): 65-83, 2015

      18 문재선 ; 이정윤, "기혼직장여성들의 진로지속동기와 사회적 지지에 기초한 군집유형별 일-가정 균형감 및 삶의 만족도의 차이" 한국상담학회 20 (20): 121-141, 2019

      19 김영예, "기혼여성의 직장-가정 간의 갈등과 직무만족이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취업동기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10 (10): 143-165, 2007

      20 황지선 ; 민현주, "기혼여성의 경력유지에 성역할가치관이 미치는 영향-생존분석방법 적용"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14 (114): 89-111, 2022

      21 유성경 ; 한영주 ; 조윤진, "기혼 직장 여성의 개인 특성 및 사회적 지지가 일-가족 갈등 및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12 (12): 1955-1975, 2011

      22 박수영, "공학계열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2016

      23 최윤정 ; 김계현, "고학력 기혼여성의 진로단절 위기 경험에 대한 개념도(Concept Mapping) 연구 -진로지속 여성과 중단 여성 간의 비교-" 한국상담학회 8 (8): 1031-1045, 2007

      24 서경희 ; 곽원준 ; 심지현, "경력단절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취업진로학회 5 (5): 57-88, 2015

      25 최유진 ; 손은정, "경력단절여성의 배우자 지지와 진로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여성심리학회 21 (21): 749-768, 2016

      26 은혜경 ; 김창대, "경력단절 기혼여성의 재취업을 위한 진로유연성 탐색:재취업 성공 기혼여성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2 (12): 651-671, 2011

      27 이요행 ; 방묘진 ; 오세진,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조직몰입, 직장만족, 이직의도, 그리고 가정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장-가정 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18 (18): 639-657, 2005

      28 Perrachione, B. A., "Why Do They Stay?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f Job Satisfaction and Retention" 32 (32): n2-, 2008

      29 Tabachnick, B. G.,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Allyn &Bacon 2001

      30 Diener, E.,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49 : 71-75, 1985

      31 Kidd, J. M., "The role of the supervisor in caree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10 (10): 25-40, 2001

      32 Carlson, D. S.,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stressor-strain relationship : An examination of work-family conflict" 25 (25): 513-540, 1999

      33 Southwick, S. M., "The psychobiology of depression and resilience to stress : implication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1 : 255-291, 2005

      34 Rosental, B. S.,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school completion among Haitian" 17 : 30-39, 1995

      35 Karatepe, O. M., "The effects of work social support and career adaptability on career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s" 23 (23): 337-355, 2017

      36 West, S. G.,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Sage Publications Ltd 56-75, 1995

      37 Gefen, 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regression : Guidelines for research practice" 4 (4): 2-72, 2000

      38 Cohen, S.,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98 (98): 310-357, 1985

      39 Cobb, S.,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38 (38): 300-314, 1976

      40 Lee, E. S., "Social cognitive predictors of Korean secondary school teachers' job and life satisfaction" 102 : 139-150, 2017

      41 Aryee, S., "Rhythms of life : antecedents and outcomes of work-family balance in employed parents" 90 (90): 132-, 2005

      42 Karatepe, O. M., "Relationships of supervisor support and conflicts in the work–family interface with the selected job outcomes of frontline employees" 28 (28): 238-252, 2007

      43 Lent, R. W., "Predicting the job and life satisfaction of Italian teachers : Test of a social cognitive model" 79 (79): 91-97, 2011

      44 MacCallum, R. C., "Power analysis and determination of sample size for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1 (1): 130-, 1996

      45 Shrout, P. E.,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7 (7): 422-445, 2002

      46 Weiss, D. J., "Manual for the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Minnesota studie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1967

      47 박아이린, "MSQ 직무만족도 검사의 문항 및 척도 타당성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48 Cauce, A. M., "Life stress, social support, and locus of control during early adolescence : Interactive effects" 20 (20): 787-798, 1992

      49 Spector, P. E., "Job satisfaction: Application, assessment, causes, and consequences (Vol. 3)" Sage publications 1997

      50 Lent, R. W., "Integrating person and situation perspectives on work satisfaction : A social-cognitive view" 69 (69): 236-247, 2006

      51 Betz, N. E., "Implications of the null environment hypothesis for women's career development and for counseling psychology" 17 (17): 136-144, 1989

      52 Wickramasinghe, V., "Impact of career plateau and supervisory support on career satisfaction : A study in offshore outsourced IT firms in Sri Lanka" 15 (15): 544-561, 2010

      53 Frye, N. K., "Family-friendly policies, supervisor support, work–family conflict, family–work conflict, and satisfaction : A test of a conceptual model" 19 (19): 197-220, 2004

      54 Coetzee, M., "Employees' satisfaction with retention factors : Exploring the role of career adaptability" 89 : 83-91, 2015

      55 Zacher, H., "Daily manifestations of career adaptability : Relationships with job and career outcomes" 91 : 76-86, 2015

      56 Hu, L. T.,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6 (6): 1-55, 1999

      57 Kline, R. B., "Convergen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level modeling" Guilford Press 2011

      58 Cheung, M. W. L., "Comparison of approaches to constructing confidence intervals for mediating effect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14 : 227-246, 2007

      59 Savickas, M. L., "Career development and counseling: Putting theory and research to work" Wiley 42-70, 2005

      60 Savickas, M. L.,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Jossey-Bass 149-205, 2002

      61 Hirschi, A., "Career adaptivity, adaptability, and adapting : A conceptual and empirical investigation" 87 : 1-10, 2015

      62 Hirschi, A., "Career adaptability development inadolescence : Multiple predictors and effect on sense of power and life satisfaction" 74 (74): 145-155, 2009

      63 Dong, B., "Career adaptability and turnover intention : A dual mediation model" 68 (68): 145-157, 2020

      64 Rudolph, C. W., "Career adaptability : A meta-analysis of relationships with measures of adaptivity, adapting responses, and adpatation results" 98 : 17-34, 2017

      65 Savickas, M. L., "Career Adapt-Abilities scale : Construction, reliability, and measurement equivalence across 13 countries" 80 (80): 661-673, 2012

      66 Tak, J., "Career Adapt-Abilities Scale-Korea Form: Psychometric properties and construct validity" 80 (80): 712-715, 2012

      67 Karatepe, O. M., "Antecedents and outcomes of work–family facilitation and family–work facilitation among frontline hotel employees" 27 (27): 517-528, 2008

      68 Aydogdu, S., "An empirical study of the relationship among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1 (1): 43-53, 2011

      69 French, K. A., "A meta-analysis of work–family conflict and social support" 144 (144): 284-314, 2018

      70 여성가족부, "2022년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 여성가족부 2022

      71 김나래 ; 김지근, "20-30대 직장인의 조직 내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직무소진을 통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22 (22): 323-347, 202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