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성이주노동자의 노동환경과 건강에 관한 연구: 2020년 이민자 체류실태 및 고용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Health of Female Migrant Workers: The 2020 Test Survey on Immigrants’ Living Conditions and Labour Forc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health status of female migrant workers in Korea, and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health. We derived the factors affecting the self-rated health of 5,264 employed female migrants, based on the 2020 Test Survey o...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health status of female migrant workers in Korea, and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health. We derived the factors affecting the self-rated health of 5,264 employed female migrants, based on the 2020 Test Survey on Immigrants’ Living Conditions and Labour Force, for this purpose. The result showed that the self-rated health of female migrant workers was above average and generally positive.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health according to their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working environment. In addition, job satisfaction, income satisfaction, working hours, and enterprise size affected the health of female migrant workers. This implied a health gap, depending on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working environment among female migrant workers. The study’s results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It is necessary to guarantee working conditions for female migrant workers through stable employment, examine the company's characteristics in a multidimensional way, improve their labor satisfaction by increasing awareness, and develop a measurement tool for a more specific and in-depth understanding of their healt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여성이주노동자의 노동환경에 따른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건강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2020년 이민자 체류실태 및 고용조사』의 자료를 토대�...

      본 연구는 국내 여성이주노동자의 노동환경에 따른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건강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2020년 이민자 체류실태 및 고용조사』의 자료를 토대로 여성이주민이면서 취업자인 5,264명을 중심으로 주관적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이주노동자의 건강은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대체로 긍정적이다. 하지만 여성이주노동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노동환경에 따라 주관적 건강 상태에 대한 차이가 나타났다. 아울러, 노동환경에 있어 노동시간, 사업체 규모, 직업만족도, 소득만족도 등이 여성이주노동자의 주관적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여성이주노동자들의 특성과 노동환경에 따른 건강 격차가 발생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연구 결과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정적인 고용을 통해 여성이주노동자의 노동조건을 보장해야 한다. 둘째, 사업체의 특성을 보다 다차원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셋째, 여성이주노동자에 대한 인식 개선 및 노동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끝으로 여성이주노동자의 건강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심층적인 실태 파악을 위한 측정도구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