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후기 거주이동과 혈연적 연대의 관계 -단성지역 합천이씨 가계들의 호적과 족보 분석을 통해-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847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3년마다 작성되는 호적대장의 ‘행정리’는 가족이 실제로 거주하는 복수의 ‘마을’로 편성된다. 호구 등록이 가족의 형성과 거주이동을 그대로 반영한다고 단언하기는 어렵지만, 행정리...

      3년마다 작성되는 호적대장의 ‘행정리’는 가족이 실제로 거주하는 복수의 ‘마을’로 편성된다. 호구 등록이 가족의 형성과 거주이동을 그대로 반영한다고 단언하기는 어렵지만, 행정리를 넘어서는 호구 이동을 연속된 장기적 관찰로 추적하여 현실적인 거주와 이동을 추정할 수는 있다. 조선후기 단성지역의 합천이씨 가족들은 여러 행정리에 할거하고 있었다. 행정리마다 등재된 호구는 대체로 신분이나 가계를 달리하며, 행정리에 지속적으로 거주하거나 행정리를 넘어서서 이동하는 경향에도 차이가 있었다. 18~19세기를 통해 동일 행정리에 지속적으로 등재되는 경우는 점차 감소하는 반면, 호의 대표자가 장남과 계자인 호의 비율은 높아진다. 거주이동이 심화되고 계자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반영한다. 계자와 장남이 출신지 행정리에 지속적으로 등재되는 비율은 양반과 향리의 특정가계에서만 두드러진다. 단성현의 합천이씨 가족들은 18세기를 통해 세거지의 형성을 강하게 열망해왔지만, 타지역으로의 이동도 빈번했다. 19세기에는 양반들도 몇몇 직계가족을 제외하고 한 지역에서 세대를 이어 장기적으로 거주하기는 어려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dministrative village in the household registers published every three years in Joseon Korea consisted of several actual villages. It is hard to conclude that the household register shows the formation and migration of the family as it was. Howev...

      The administrative village in the household registers published every three years in Joseon Korea consisted of several actual villages. It is hard to conclude that the household register shows the formation and migration of the family as it was. However, it is possible to presume the actual movement of the family by observing the living and moving on the registers in the long term. In the seventeenth to the nineteenth century, the Hapcheon Lee clan members of Tanseong prefecture were dwelling in several administrative villages.
      The trend of moving patterns across the border of the administrative villages of the Lee clan members those who are in various social status differed by lineages and their status. While the proportion of the households those who kept staying in the same administrative village was decreased, the proportion of as the household head who was the first son or adopted son in the family increased for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y. It means that they migrated frequently and adopted more in that period. However, the eldest sons or adopted sons of some elite lineages tended to not move across the administrative village border. Even though the Lee clan was known about had been tried to build their “same family name villages” in the prefecture in the eighteenth century, the registers also show they used to move across the villages. The nineteenth century onwards, staying at a village in generations was difficult to even the elite lineages except for a few dominant famil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호적상의 ‘입호’와 이동을 관찰하기 위한 범례
      • 3. 형제간 입호처 범위에 대한 개괄
      • 4. 가계별 입호 경향의 계통적 관찰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호적상의 ‘입호’와 이동을 관찰하기 위한 범례
      • 3. 형제간 입호처 범위에 대한 개괄
      • 4. 가계별 입호 경향의 계통적 관찰
      • 5.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상우, "호적으로 본 단성 합천이씨들의 공존과 배제 양상" 한국역사연구회 (105) : 283-314, 2017

      2 손병규, "호적대장 職役欄의 軍役 기재와 ‘都已上’의 통계" 39 : 2001

      3 한상우, "족보의 계보를 통해 본 친족 결집의 이상과 현실 — 합천이씨 족보를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65) : 29-56, 2018

      4 권내현, "조선후기 입양의 확산 추이와 수용 양상" 한국역사연구회 (73) : 201-232, 2009

      5 김건태, "조선후기 마을 위상과 전세량의 관계" 65 : 2019

      6 정진영, "역사인구학 자료로서의 호적대장 이용을 위한 기초 연구― 대구부호적대장과 촌락문서의 비교 검토" 대동문화연구원 (59) : 363-401, 2007

      7 김건태, "대한제국 호적과 양안의 상호 관련성" 64 : 2018

      8 정진영, "대구지역 한 양반가의 호적자료 검토 - 戶의 移居와 혈연결합을 중심으로 -" 한국사학회 (98) : 231-272, 2010

      9 이상국, "고려후기 '본주(本主)'의 의미와 입호충역(立戶充役)" 한국역사연구회 (46) : 73-104, 2002

      10 全旼榮, "거제 구조라리 고문서를 통한 마을의 운영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5

      1 한상우, "호적으로 본 단성 합천이씨들의 공존과 배제 양상" 한국역사연구회 (105) : 283-314, 2017

      2 손병규, "호적대장 職役欄의 軍役 기재와 ‘都已上’의 통계" 39 : 2001

      3 한상우, "족보의 계보를 통해 본 친족 결집의 이상과 현실 — 합천이씨 족보를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65) : 29-56, 2018

      4 권내현, "조선후기 입양의 확산 추이와 수용 양상" 한국역사연구회 (73) : 201-232, 2009

      5 김건태, "조선후기 마을 위상과 전세량의 관계" 65 : 2019

      6 정진영, "역사인구학 자료로서의 호적대장 이용을 위한 기초 연구― 대구부호적대장과 촌락문서의 비교 검토" 대동문화연구원 (59) : 363-401, 2007

      7 김건태, "대한제국 호적과 양안의 상호 관련성" 64 : 2018

      8 정진영, "대구지역 한 양반가의 호적자료 검토 - 戶의 移居와 혈연결합을 중심으로 -" 한국사학회 (98) : 231-272, 2010

      9 이상국, "고려후기 '본주(本主)'의 의미와 입호충역(立戶充役)" 한국역사연구회 (46) : 73-104, 2002

      10 全旼榮, "거제 구조라리 고문서를 통한 마을의 운영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5

      11 "高麗史"

      12 本田 洋, "韓國農村社會の歷史民族誌 ; 産業化過程でのフィールドワーク再考" 風響社 2016

      13 李時馩, "雲牕誌"

      14 "陜川李氏族譜"

      15 손병규, "戶籍과 族譜의 자료적 특성과 연구방법 ― 17C~20C 초 丹城地域 培養洞 陜川李氏들을 추적하며" 대동문화연구원 (102) : 41-80, 2018

      16 김건태, "戶口出入을 통해 본 18세기 戶籍大帳의 編制方式 - 丹城戶籍大帳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44 : 171-207, 2003

      17 "慶尙道丹城縣戶籍大帳"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18 정해은, "丹城縣 戶籍大帳에 등재된 戶의 出入" 40 : 2002

      19 손병규, "The Effects of Man's Remarriage and Adoption on Family Succession in the 17(th) to the 19(th) Century Rural Korea: Based on the Andong Kwon Clan Genealogy" 동아시아학술원 10 (10): 9-31, 2010

      20 손병규, "20세기 초 한국의 族譜 편찬과‘同族集團’ 구상 - 경상도 丹城地域 安東權氏 몇 가계의 사례" 대동문화연구원 (91) : 65-92, 2015

      21 이용기, "19세기 후반 班村 洞契의 기능과 성격 변화 - 전남 장흥군 어서리 동계를 중심으로 -" 한국사학회 (91) : 261-311, 2008

      22 송양섭, "19세기 거제도 舊助羅 촌락민의 職役變動과 家系繼承 양상 -『項里戶籍中草』를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7) : 119-161, 2014

      23 손병규, "18세기 良役政策과 지방의 軍役運營" 39 : 1999

      24 손병규, "18세기 말의 지역별 ‘戶口總數’, 그 통계적 함의" 수선사학회 (38) : 39-70, 2011

      25 손병규, "18~19세기 지방재정운영에 있어 자율적납세조직의 활동" 고려사학회 (65) : 319-344, 2016

      26 송양섭, "18~19세기 동래부 동하면의 ‘면중(面中)'과 잡역운영" 한국역사연구회 (112) : 237-274,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2-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9-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8 1.28 1.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89 2.254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