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AEO 인증의 성과로서 무역업체의 생산성 변화에 관한 연구 = Does AEO Certification Matter for Trading Fir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219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umber of countries operating Authorized Economic Operators program for trade facilitation and security is steadily increasing. It is basically a trust-based partnership between customs administration and private firms, so voluntary participation by private firms is necessary in order to achieve its purpose. For encouraging voluntary participation by private firms, the benefits against additional cost for certification must be large. However, most empirical studies addressed only the effects of AEO certification primarily based on survey.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sought to measure annual productivity changes of AEO certified firms in Korea through sequential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and to analyze the impact of AEO-certification on its productivity changes. This study found that the AEO certification age have positive effect on the annual productivity changes of 199 AEO certified firms. Also, additional analysis show that the AEO certification age affects the productivity changes of large firms, but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small and medium-sized firms.
      번역하기

      The number of countries operating Authorized Economic Operators program for trade facilitation and security is steadily increasing. It is basically a trust-based partnership between customs administration and private firms, so voluntary participation ...

      The number of countries operating Authorized Economic Operators program for trade facilitation and security is steadily increasing. It is basically a trust-based partnership between customs administration and private firms, so voluntary participation by private firms is necessary in order to achieve its purpose. For encouraging voluntary participation by private firms, the benefits against additional cost for certification must be large. However, most empirical studies addressed only the effects of AEO certification primarily based on survey.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sought to measure annual productivity changes of AEO certified firms in Korea through sequential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and to analyze the impact of AEO-certification on its productivity changes. This study found that the AEO certification age have positive effect on the annual productivity changes of 199 AEO certified firms. Also, additional analysis show that the AEO certification age affects the productivity changes of large firms, but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small and medium-sized fir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무역원활화와 무역안전을 위해 AEO 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하는 국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9년 AEO 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는데 제도의 목적 달성을 위해서는 기업들의 자발적 참여가 필수적이다. 기업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인증을 위한 추가적인 투자 대비 그 성과가 커야만 하는데 관련 연구들에서는 주로 설문조사에 의한 AEO 인증의 효과만을 다루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AEO 인증 기업들을 대상으로 순차적 맘퀴스트 생산성 지수를 통해 연간 생산성 변화를 측정하고 AEO 인증연령이 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2018년 1월 기준 수출 또는 수입부문에서 우리나라 AEO 인증을 받은 기업 중 자료수집이 가능한 199개 기업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고 순차적 맘퀴스트 생산성 지수를 활용하여 2010년부터 2017년까지의 생산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199개 AEO 인증기업의 생산성은 연평균 0.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기업규모에 따라 대기업은 연평균 0.7% 증가한 반면, 중소기업은 연평균 1.2%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AEO 인증요인이 AEO 인증기업의 생산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패널회귀모형을 구성하여 분석한 결과, 199개 AEO 인증기업들의 연간 생산성변화에 AEO 인증연령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업규모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AEO 인증연령은 대기업의 생산성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중소기업의 생산성 변화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무역원활화와 무역안전을 위해 AEO 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하는 국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9년 AEO 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는데 제도의 목적 달성을 위해서는 기업...

      무역원활화와 무역안전을 위해 AEO 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하는 국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9년 AEO 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는데 제도의 목적 달성을 위해서는 기업들의 자발적 참여가 필수적이다. 기업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인증을 위한 추가적인 투자 대비 그 성과가 커야만 하는데 관련 연구들에서는 주로 설문조사에 의한 AEO 인증의 효과만을 다루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AEO 인증 기업들을 대상으로 순차적 맘퀴스트 생산성 지수를 통해 연간 생산성 변화를 측정하고 AEO 인증연령이 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2018년 1월 기준 수출 또는 수입부문에서 우리나라 AEO 인증을 받은 기업 중 자료수집이 가능한 199개 기업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고 순차적 맘퀴스트 생산성 지수를 활용하여 2010년부터 2017년까지의 생산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199개 AEO 인증기업의 생산성은 연평균 0.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기업규모에 따라 대기업은 연평균 0.7% 증가한 반면, 중소기업은 연평균 1.2%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AEO 인증요인이 AEO 인증기업의 생산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패널회귀모형을 구성하여 분석한 결과, 199개 AEO 인증기업들의 연간 생산성변화에 AEO 인증연령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업규모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AEO 인증연령은 대기업의 생산성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중소기업의 생산성 변화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동, "효율성분석이론" 지필미디어 [서울] 2012

      2 강상목, "효율성 생산성 성과분석" 법문사 2015

      3 윤창기, "우리나라 무역업체의 AEO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관세학회 12 (12): 109-131, 2011

      4 구종순, "순차적 맘퀴스트 지수를 활용한 해운서비스기업의 생산성 변화 결정요인 분석" 한국해운물류학회 33 (33): 5-27, 2017

      5 강규철, "생산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7 (7): 37-63, 2007

      6 전동화, "무역업체의 AEO 인증이 생산성 및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역연구원 12 (12): 503-520, 2016

      7 김진수, "국내 기업들의 AEO 인증 획득 이후의 업무개선 효과에 관한 실증 분석 연구: 물류기업과 화주기업 간 차이분석" 한국물류학회 24 (24): 33-58, 2014

      8 김진수, "국내 AEO제도의 연구 동향 분석과 제도 활성화를 위한 연구방향 제시에 관한 연구" 한국통상정보학회 16 (16): 45-68, 2014

      9 박근식, "공급사슬보안 연구 분석을 통한 향후 연구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관세학회 14 (14): 131-150, 2013

      10 Caves, D. W., "The economic theory of index numbers and the measurement of input, output, and productivity" 50 (50): 1393-1414, 1982

      1 이정동, "효율성분석이론" 지필미디어 [서울] 2012

      2 강상목, "효율성 생산성 성과분석" 법문사 2015

      3 윤창기, "우리나라 무역업체의 AEO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관세학회 12 (12): 109-131, 2011

      4 구종순, "순차적 맘퀴스트 지수를 활용한 해운서비스기업의 생산성 변화 결정요인 분석" 한국해운물류학회 33 (33): 5-27, 2017

      5 강규철, "생산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7 (7): 37-63, 2007

      6 전동화, "무역업체의 AEO 인증이 생산성 및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역연구원 12 (12): 503-520, 2016

      7 김진수, "국내 기업들의 AEO 인증 획득 이후의 업무개선 효과에 관한 실증 분석 연구: 물류기업과 화주기업 간 차이분석" 한국물류학회 24 (24): 33-58, 2014

      8 김진수, "국내 AEO제도의 연구 동향 분석과 제도 활성화를 위한 연구방향 제시에 관한 연구" 한국통상정보학회 16 (16): 45-68, 2014

      9 박근식, "공급사슬보안 연구 분석을 통한 향후 연구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관세학회 14 (14): 131-150, 2013

      10 Caves, D. W., "The economic theory of index numbers and the measurement of input, output, and productivity" 50 (50): 1393-1414, 1982

      11 Shestalova, V., "Sequential Malmquist indices of productivity growth: an application to OECD industrial activities" 19 (19): 211-226, 2003

      12 Sarathy, R., "Security and the Global Supply Chain" 45 (45): 28-51, 2006

      13 World Custom Organization, "SAFE Framework of Standards to Secure and Facilitate Global Trade 2018 edition"

      14 Voss, M. D., "Public-Private Partnerships and Supply Chain Security: C- TPAT as an Indicator of Relational Security" 34 (34): 320-334, 2013

      15 Eggers, W. D., "Prospering in the Secure Economy" Deloitte Touche Tohmatsu, Deloitte Research Group 2004

      16 Cheng, G., "Data Envelopment Analysis: Methods and MaxDEA Software" Intellectual Property Publishing House Co. Ltd 2014

      17 김진, "DEA(자료포락분석)를 활용한 반도체기업 제품계열의 경영효율성 진단" 20 (20): 55-78, 2010

      18 World Custom Organization, "COMPENDIUM of Authorized Economic Operator Programmes 2018 edition"

      19 전동화, "AEO 인증에 따른 수출기업들의 효율성 차이 분석" 한국경영컨설팅학회 17 (17): 89-98, 2017

      20 전동화, "AEO 인증과 상호인정협정이 수출입기업의 생산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해운물류학회 34 (34): 271-290, 2018

      21 조규생, "AEO 도입요인이 기업편익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16

      22 Sheu, C., "A Voluntary Logistics Security Program and International Supply Chain Partnership" 11 (11): 363-374,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6 0.784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