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교회 현대예배의 진로 모색을 위한 탐구와 제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651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교회의 예배는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문화와 첨단 기술 및 사상 등과 직면하면서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을 요구받고 있다. 이런 변화 속에서 최근 한국교회는 이에 대한 반응으로 현대예배(Contemporary Worship)에 대한 관심을 확대해 가고 있는 현실이다. 현대예배는 기존의 예배와 스타일, 각 요소들 간의 비중, 혹은 음악 장르와 악기 등 전반에 걸쳐 오늘의 사회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것들로서 이는 현대를 사는 현대 예배자들에게 심도 있는 예배 참여를 위해 필요한 대응 노력의 일환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현대예배의 진로를 모색하는 가운데 우선 본 논문은 현대예배의 중요성과 의의에 긍정하면서 본질의 회복과 관련하여 하나님께 영광이어야 하는 예배, 기독교 신학과 예배의 특성을 반영하는 예배, 구속사를 필수적 내용으로 삼아야 하는 예배 등을 다룬다. 이어 통시적 역사 속의 예배의 다양성, 동태적 특성, 상황적 변용성 등을 통해 현대적 예배의 다양한 시도에 대해 정당성을 입증한다. 아울러 그 바탕 위에서 오늘의 예배들이 본질을 지키기 위한 보다 실제적 구비 요건들을 제시한 뒤 나아가 이를 전략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방안들을 다루었다. 오늘의 개신교회는 변화의 상황에서 함께 변화하기를 주저하지 말고 적절하면서도 적극적인 변용 노력을 기울여야 함이 마땅하다. 전통을 보수한다는 그릇된 명분을 내세워 세상의 전반적인 변화 현실을 거부하거나 게을리 하여 교회 예배가 후진적 상황으로 밀려나서는 안 된다. 예배의 본질이 중요한 만큼 그것을 가장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노력 또한 그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다. 복음의 가장 온전한 구현은 그 본질을 대하는 소통 당사자들이 그것을 충분히 이해하고 공감하도록 돕는 수단이 적절할 때 비로소 가능할 수 있다.
      번역하기

      오늘날 교회의 예배는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문화와 첨단 기술 및 사상 등과 직면하면서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을 요구받고 있다. 이런 변화 속에서 최근 한국교회는 이에 대한 반응으로 ...

      오늘날 교회의 예배는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문화와 첨단 기술 및 사상 등과 직면하면서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을 요구받고 있다. 이런 변화 속에서 최근 한국교회는 이에 대한 반응으로 현대예배(Contemporary Worship)에 대한 관심을 확대해 가고 있는 현실이다. 현대예배는 기존의 예배와 스타일, 각 요소들 간의 비중, 혹은 음악 장르와 악기 등 전반에 걸쳐 오늘의 사회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것들로서 이는 현대를 사는 현대 예배자들에게 심도 있는 예배 참여를 위해 필요한 대응 노력의 일환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현대예배의 진로를 모색하는 가운데 우선 본 논문은 현대예배의 중요성과 의의에 긍정하면서 본질의 회복과 관련하여 하나님께 영광이어야 하는 예배, 기독교 신학과 예배의 특성을 반영하는 예배, 구속사를 필수적 내용으로 삼아야 하는 예배 등을 다룬다. 이어 통시적 역사 속의 예배의 다양성, 동태적 특성, 상황적 변용성 등을 통해 현대적 예배의 다양한 시도에 대해 정당성을 입증한다. 아울러 그 바탕 위에서 오늘의 예배들이 본질을 지키기 위한 보다 실제적 구비 요건들을 제시한 뒤 나아가 이를 전략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방안들을 다루었다. 오늘의 개신교회는 변화의 상황에서 함께 변화하기를 주저하지 말고 적절하면서도 적극적인 변용 노력을 기울여야 함이 마땅하다. 전통을 보수한다는 그릇된 명분을 내세워 세상의 전반적인 변화 현실을 거부하거나 게을리 하여 교회 예배가 후진적 상황으로 밀려나서는 안 된다. 예배의 본질이 중요한 만큼 그것을 가장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노력 또한 그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다. 복음의 가장 온전한 구현은 그 본질을 대하는 소통 당사자들이 그것을 충분히 이해하고 공감하도록 돕는 수단이 적절할 때 비로소 가능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day Protestant churches in Korea are desperately in need of responding to rapidly changing environments on-going in social, cultural, and technical dimension, and of dealing with them for their worship services. In this situation, concerns for Contemporary worship are growing more and more. Contemporary worship is the result of efforts that encourage the present congregation specially living in post-modern world to participate in their worship more profoundly by helping them adjust to the new style or form of worship tune to the contemporary background. On this awareness, first this article affirms all attempts or trials in contemporary worships such as seeker’ sensitive worship, emerging worship, blended worship or etc. valuable and significant that are common in many places. Then it presents some essential ideas that those contemporary worships should never disregard for their firm foundation. Of course it does not skip related evidences found in the Scriptures and in the liturgically diachronic tradition. In addition, on the basis of such rationale, more practical but still principle guides to make those goals more secure are proposed for the contemporary pastoral fields. Current protestant churches should not hesitate to accept the changes and, to make appropriate efforts in applying them to their worships more sensitively. By an excuse of preserving orthodox christianity, the churches are not to escape from active participation in needed changes. The more important the true Christian worship is, the more required the arduous efforts of the Church needs to keep it.
      번역하기

      Today Protestant churches in Korea are desperately in need of responding to rapidly changing environments on-going in social, cultural, and technical dimension, and of dealing with them for their worship services. In this situation, concerns for Conte...

      Today Protestant churches in Korea are desperately in need of responding to rapidly changing environments on-going in social, cultural, and technical dimension, and of dealing with them for their worship services. In this situation, concerns for Contemporary worship are growing more and more. Contemporary worship is the result of efforts that encourage the present congregation specially living in post-modern world to participate in their worship more profoundly by helping them adjust to the new style or form of worship tune to the contemporary background. On this awareness, first this article affirms all attempts or trials in contemporary worships such as seeker’ sensitive worship, emerging worship, blended worship or etc. valuable and significant that are common in many places. Then it presents some essential ideas that those contemporary worships should never disregard for their firm foundation. Of course it does not skip related evidences found in the Scriptures and in the liturgically diachronic tradition. In addition, on the basis of such rationale, more practical but still principle guides to make those goals more secure are proposed for the contemporary pastoral fields. Current protestant churches should not hesitate to accept the changes and, to make appropriate efforts in applying them to their worships more sensitively. By an excuse of preserving orthodox christianity, the churches are not to escape from active participation in needed changes. The more important the true Christian worship is, the more required the arduous efforts of the Church needs to keep i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들어가는 글
      • II. 펴는 글
      • 1. 현대예배의 예배신학적 정초, 예배 본질의 재확인
      • 2. 현대예배의 상황적 변용의 전거, 통시적 역사 속의 예배
      • 3. 현대예배 운영의 전제적 제안: 정체성 차원
      • I. 들어가는 글
      • II. 펴는 글
      • 1. 현대예배의 예배신학적 정초, 예배 본질의 재확인
      • 2. 현대예배의 상황적 변용의 전거, 통시적 역사 속의 예배
      • 3. 현대예배 운영의 전제적 제안: 정체성 차원
      • 4. 현대예배 운영의 실제적 제안: 동시대적 구현 차원
      • III. 나가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 국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상구, "현대 독일어권 예배서의 형성 과정과 시금석에 관한 소고"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31 : 9-44, 2014

      2 유해룡, "하나님체험과영성수련"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03

      3 Babin, Perre, "종교커뮤니케이션 의 새 시대" 분도출판사 1993

      4 유재원, "이머징예배따라잡기" 미션아카데미 2011

      5 최인식, "유대교산책" 예루살렘아카데미 2008

      6 김순환, "예배학총론" 대한기독교서회 2012

      7 Grethlein, Christian, "예배학 개론" CLC 2001

      8 김순환, "예배와예술" 쿰란 2014

      9 Michael J. Quicke, "예배와 설교" 기독교문서선교회(CLC) 2015

      10 Cherry, Constance, "예배건축가" CLC 2015

      1 김상구, "현대 독일어권 예배서의 형성 과정과 시금석에 관한 소고"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31 : 9-44, 2014

      2 유해룡, "하나님체험과영성수련"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03

      3 Babin, Perre, "종교커뮤니케이션 의 새 시대" 분도출판사 1993

      4 유재원, "이머징예배따라잡기" 미션아카데미 2011

      5 최인식, "유대교산책" 예루살렘아카데미 2008

      6 김순환, "예배학총론" 대한기독교서회 2012

      7 Grethlein, Christian, "예배학 개론" CLC 2001

      8 김순환, "예배와예술" 쿰란 2014

      9 Michael J. Quicke, "예배와 설교" 기독교문서선교회(CLC) 2015

      10 Cherry, Constance, "예배건축가" CLC 2015

      11 Mitchell, Nathan D., "예배, 신비를만나다" 바이북스 2014

      12 최승근, "소비주의 문화에서의 교회력 사용: Robert E. Webber의 Ancient-Future 패러다임에 대한 고찰"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7 : 148-179, 2013

      13 Stookey, Laurence, "성찬, 어떻게 알고 실행할 것인가?" 대한기독교서회 2001

      14 김진산, "성경지도" 사랑마루 2015

      15 이홍기, "미사전례" 분도출판사 1997

      16 한상진, "문화인류학" 서울대학교출판부 1990

      17 유해룡, "기독교영성의역사" 은성 1997

      18 오현철, "교회성장의 토대, 실천신학적 교회론과 통전적 설교"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33 : 114-139, 2014

      19 Martin, Ralph, "Worship in the Early Church" William B. Eerdermans Publishing Company 1974

      20 Hahn, Wilhelm, "Worship and Congregation : Ecumenical Studies" John Knox Press 1963

      21 Long, Kimberly, "The Worshiping Body" WJK 2009

      22 Martin, Ralph, "The Worship of God. Grand Rapids"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2

      23 The United Methodist Book of Worship Committee, "The United Methodist Book of Worship" The United Methodist Publishing House 1992

      24 Bradshaw, Paul, "The Search for the Origins of Christian Worship"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25 Jungman, Joseph A., "The Mass of the Roman Rite" Benziger Brothers, INC 1959

      26 Hoon, Paul, "The Integrity of Worship : Ecumenical and Pastoral Studies in Liturgical Theology" Abingdon Press 1971

      27 Jurgens, W. A., "The Faith of the Early Fathers. vol. 1" The Liturgical Press 1970

      28 Webber, Robert, "The Complete Library of Christian Worship vol.2" StarSong Publishing Group 1994

      29 McGrath, Alister E, "Reformation Thought" Blackwell Publishers 1993

      30 Williams, Benjamin, "Orthodox Worship: Living Continuity with the Synagogue, the Temple, and the Early Church" Light and Life Publishing Company 1990

      31 Cullman, Oscar, "Longbank Works" Robert Cunningham and Sons Ltd. 1953

      32 Francis, Mark R. C. S. V., "Liturgy in a Multicultural Community" The Liturgical Press 1991

      33 Clarke, W. K. Lowther, "Liturgy and Worship: A Companion to the Prayer Books of the Anglican Communion" S. P. C. K 1950

      34 Thompson, Bard, "Liturgies of the Western Church" Fortress Press 1961

      35 Wegman, Herman, "Christian Worship in East and West" Pueblo Publishing Company 1976

      36 Maxwell, William, "An Outline of Christian Worship" Oxford University Press 195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12-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복음주의 실천신학 논총 -> 복음과 실천신학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 0.88 0.878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