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폐경기 여성의 치매부모 간호경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651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폐경기 여성이 치매부모를 간호하면서 경험한 현상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치매를 앓고 있는 부모를 간호한 경험이 있는 폐경기의 50대 여성 10명으로 의도 표집 하였다.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6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는데, ‘가족의 빈자리를 부모가 대신함’, ‘노후를 보상받지 못한 채로 치매부모가 되어버림’, ‘늙어버린 몸으로 치매부모 간호를 감당하지 못함’, ‘가족과 함께 할 수 없는 치매노인으로 고립됨’, ‘치매노인의 간호를 자식에게 대물림하고 싶지 않음’, ‘부모와는 다른 새로운 자신의 삶을 계획함’이었다. 치매부모 간호경험에 대한 의미구조는 “상실과 슬픔의 소용돌이에서 자아를 찾음”이었다. 결론적으로 치매부모를 간호하는 폐경기 여성은 폐경에 따른 심리적인 변화와 치매의 질병특성인 비가역성으로 부모를 간병하는 동안 슬픔과 상실이라는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였다. 따라서 노인부모의 치매증상 관리와 더불어 간호를 담당하는 폐경기 여성의 정서적인 측면에 대한 간호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폐경기 여성이 치매부모를 간호하면서 경험한 현상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치매를 앓고 있는 부모를 간호한 경험이 있는 폐경기의 50대 여...

      본 연구는 폐경기 여성이 치매부모를 간호하면서 경험한 현상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치매를 앓고 있는 부모를 간호한 경험이 있는 폐경기의 50대 여성 10명으로 의도 표집 하였다.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6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는데, ‘가족의 빈자리를 부모가 대신함’, ‘노후를 보상받지 못한 채로 치매부모가 되어버림’, ‘늙어버린 몸으로 치매부모 간호를 감당하지 못함’, ‘가족과 함께 할 수 없는 치매노인으로 고립됨’, ‘치매노인의 간호를 자식에게 대물림하고 싶지 않음’, ‘부모와는 다른 새로운 자신의 삶을 계획함’이었다. 치매부모 간호경험에 대한 의미구조는 “상실과 슬픔의 소용돌이에서 자아를 찾음”이었다. 결론적으로 치매부모를 간호하는 폐경기 여성은 폐경에 따른 심리적인 변화와 치매의 질병특성인 비가역성으로 부모를 간병하는 동안 슬픔과 상실이라는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였다. 따라서 노인부모의 치매증상 관리와 더불어 간호를 담당하는 폐경기 여성의 정서적인 측면에 대한 간호가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menopausal women while they are caring parents with dementia. Ten menopausal women who have experiences in caring for parents with dementia were selected by means of a purposive sampling, and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sed for data analysis. Six components were identified: (1) “parents did behalf of family vacancies”, (2) “parents were diagnosed with dementia without compensation for aging”, (3) “I am too old to afford to care parents with dementia”, (4) “parents felt isolated living away from family”, (5) “I did not want to pass down my caring responsibility for demented parents to my children”, and (6) “I planned my life which should be different from my parents”. The essential structure of caring experience for parents with dementia among menopausal women was found to be “finding oneself in the vortex of grief and loss.” In conclusion, mental care should be provided to women who are taking care of parents with dementia.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menopausal women while they are caring parents with dementia. Ten menopausal women who have experiences in caring for parents with dementia were selected by means of a purposive sampling, and Giorgi’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menopausal women while they are caring parents with dementia. Ten menopausal women who have experiences in caring for parents with dementia were selected by means of a purposive sampling, and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sed for data analysis. Six components were identified: (1) “parents did behalf of family vacancies”, (2) “parents were diagnosed with dementia without compensation for aging”, (3) “I am too old to afford to care parents with dementia”, (4) “parents felt isolated living away from family”, (5) “I did not want to pass down my caring responsibility for demented parents to my children”, and (6) “I planned my life which should be different from my parents”. The essential structure of caring experience for parents with dementia among menopausal women was found to be “finding oneself in the vortex of grief and loss.” In conclusion, mental care should be provided to women who are taking care of parents with dementi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Ⅱ. 연구방법
      • Abstract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Ⅱ. 연구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참여자
      • 3. 자료수집과 윤리성 고려
      • 4. 자료 분석방법
      • 5.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성
      • Ⅲ. 연구결과
      • 1. 폐경기 여성의 치매부모 간호경험의 구성요소
      • 2. 본질적 구조: 상실과 슬픔의 소용돌이에서 자아를 찾음
      • Ⅳ. 논의
      • Ⅴ. 결론 및 제언
      • 감사의 글
      • 국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순, "한국 폐경기 여성의 우울증 경험에 관한 관련요인 분석" 보건의료산업학회 9 (9): 157-168, 2015

      2 윤정화, "폐경기 중년여성이 경험하는 심리적 현상연구" 한국상담학회 14 (14): 2195-2212, 2013

      3 조혜영, "치매시부모 돌봄을 통해 나타난 며느리의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1 (11): 135-164, 2015

      4 김영인,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감과 삶의 질에 대한 연구"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5 강태화,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부담감 유형"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8) : 53-74, 2014

      6 유문숙, "치매노인 가족의 부담감, 대처능력과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 한국노년학회 30 (30): 1117-1127, 2010

      7 김유진, "치매노인 가족의 간병 경험에 관한 선험적 현상학 연구" 한국노년학회 27 (27): 963-986, 2007

      8 유광수, "치매노인 가족부양자의 간호방법에 대한 치매교육의 효과"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5 (25): 97-108, 2014

      9 박혜숙, "중년여성의 폐경기 적응과 양생실천 정도" 여성건강간호학회 16 (16): 1-9, 2010

      10 장성옥, "재가 치매가족의 휴식 돌봄: 개념명료화" 기본간호학회 19 (19): 23-34, 2012

      1 김현순, "한국 폐경기 여성의 우울증 경험에 관한 관련요인 분석" 보건의료산업학회 9 (9): 157-168, 2015

      2 윤정화, "폐경기 중년여성이 경험하는 심리적 현상연구" 한국상담학회 14 (14): 2195-2212, 2013

      3 조혜영, "치매시부모 돌봄을 통해 나타난 며느리의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1 (11): 135-164, 2015

      4 김영인,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감과 삶의 질에 대한 연구"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5 강태화,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부담감 유형"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8) : 53-74, 2014

      6 유문숙, "치매노인 가족의 부담감, 대처능력과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 한국노년학회 30 (30): 1117-1127, 2010

      7 김유진, "치매노인 가족의 간병 경험에 관한 선험적 현상학 연구" 한국노년학회 27 (27): 963-986, 2007

      8 유광수, "치매노인 가족부양자의 간호방법에 대한 치매교육의 효과"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5 (25): 97-108, 2014

      9 박혜숙, "중년여성의 폐경기 적응과 양생실천 정도" 여성건강간호학회 16 (16): 1-9, 2010

      10 장성옥, "재가 치매가족의 휴식 돌봄: 개념명료화" 기본간호학회 19 (19): 23-34, 2012

      11 성미라, "재가 치매 노인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의 극복 경험" 한국간호과학회 43 (43): 389-398, 2013

      12 권수혜, "시설입소 치매부모를 돌보는 자녀들의 경험" 한국간호과학회 44 (44): 41-54, 2014

      13 김문정, "산후조리와 폐경기 적응이 중년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여성건강간호학회 20 (20): 62-71, 2014

      14 홍은영, "건강한 폐경이행 구조모형" 한국간호과학회 45 (45): 64-75, 2015

      15 Ott, C., "“Easing the way” for Spouses Caregivers of Individuals with Dementia" 3 (3): 89-99, 2010

      16 Noyes, B., "The Role of Grief in Dementia Caregiving" 25 (25): 9-17, 2010

      17 Newton, N., "The Middle Ages: Change in Women’s Personalities and Social Roles" 34 : 75-84, 2010

      18 Ministry Health & Welfare, "The Manual Book of Elderly Care Services"

      19 Seltzer, M., "The Dynamics of Caregiving:Transitions during a Three-year Prospectively Study" 40 : 165-178, 2000

      20 National Statistical Office, "Standard Life Table 2014"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1 Juarez-Cedello, T., "Social Representation of Dementia and Its Influence on the Search for Elderly Care by Family Member Caregivers" 20 (20): 1-10, 2013

      22 Merleau-Ponty, M., "Phenomenology of Perception" Moonji Publishing 2002

      23 Yeo, H., "Perceptions of Risk and Prevention of Dementia in the Healthy Elderly" 23 : 368-371, 2007

      24 Cho, Myung Je, "National Study on the Presence of Dementia in Korean Elder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8

      25 Meuser, T., "Living with Grief:Alzheimer’s Disease" Hospice Foundation of America 2004

      26 Navab, E., "Lived Experiences of Iranian Family Member Caregivers of Person with Alzheimer’s Disease: Caring as “Captured in the Whirlpool of Time”" 21 : 1078-1086, 2011

      27 Boughtwood, D. L.,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Family Carer of People with Dementia" 26 (26): 290-297, 2011

      28 Lincoln, Yvonna S., "Effective Evaluation" Jossey-Bass Publication 1985

      29 Masubach, T., "Depression and Distress Predict Time to Cardiovascular Disease in Dementia Caregivers" 26 : 539-544, 2007

      30 Alberts, N. M., "Dementia Anxiety among Older Adult Caregivers: An Exploratory Study of Older Adult Caregivers in Canada" 23 (23): 880-886, 2011

      31 Kim, Sang Woo, "Current Situation Management of Dementia and Policy Issue"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2014

      32 Cheng, Sheung-Tak, "Caregiver Forgiveness is Associated with Less Burden and Potentially Harmful Behaviors" 17 (17): 930-934, 2013

      33 Cooper, C., "A Systematic Review of the Prevalence and Covariates of Anxiety in Caregiver of People with Dementia" 19 (19): 175-179, 2007

      34 Giorgi, A., "2004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Korean Qualitative Research Center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9-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위기관리논집 -> Crisisonomy
      외국어명 : Korean Review of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 Crisisonom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6 1.09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