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스트릿 댄스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이 수행자의 수행능력 및 지속의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스트릿 댄스, 지도행동유형, 수행능력 그리고 지속의도에 대한 선행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503564
서울 :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2020
학위논문(석사) --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 실용무용전공 , 2020. 2
2020
한국어
792.8 판사항(23)
서울
vii, 95 p. : 삽화, 도표 ; 26 cm
지도교수 : 정승혜
(A)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treet Dance Instructor’s Instruction Behavior type and a Trainee’s Performance Capability
참고문헌: p. 75-85
I804:11014-20000028832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스트릿 댄스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이 수행자의 수행능력 및 지속의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스트릿 댄스, 지도행동유형, 수행능력 그리고 지속의도에 대한 선행연...
본 연구의 목적은 스트릿 댄스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이 수행자의 수행능력 및 지속의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스트릿 댄스, 지도행동유형, 수행능력 그리고 지속의도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총 196명의 사설 학원을 다니는 스트릿 댄스 전공 청소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버전: 18.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릿 댄스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이 수행자의 수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지도행동유형의 하위요인인 훈련과 지시행동이 수행자의 수행능력의 하위요인인 수행 자신감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지도행동유형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보상행동이 수행자의 수행능력의 하위요인인 자신감, 수행 집중, 수행 성취 모두를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스트릿 댄스 지도행동유형이 수행자의 지속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지도행동유형의 하위요인인 훈련과 지시행동이 지속의도의 하위요인인 경향성과 강화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지도행동유형의 하위요인인 권위적 행동은 지속의도의 하위요인인 강화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수행자의 수행능력이 수행자의 지속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수행능력의 하위요인인 수행 자신감은 지속의도의 하위요인인 경향성과 강화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수행능력의 하위요인인 수행 집중은 지속의도의 하위요인인 경향성과 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수행능력의 하위요인인 수행 성취는 지속의도의 하위요인인 가능성과 강화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제어 : 스트릿 댄스, 지도자, 지도행동유형, 수행능력, 지속의도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relations between a street dance instructor’s instruction behavior type and a trainee’s performance capability & adherence intention.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the preceding researches on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relations between a street dance instructor’s instruction behavior type and a trainee’s performance capability & adherence intention.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the preceding researches on street dance, instruction behavior type, performance capability and adherence intention, this study drew up a questionnaire, and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the adolescents and adults(196 persons in total), who went to a private dance institute. This study implemented frequenc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Version:18.0)program. The concret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looking into what influence a street dance instructor’s instruction behavior type has on a trainee’s performance capability, the sub-factors of instruction behavior type, i.e. training and directive behavior were analyzed to raise a trainee’s confidence in performance as a sub-factor of a trainee’s performance capability while an instructor’s positive compensatory behavior, i.e. a sub-factor of instruction behavior type, was analyzed to raise all sub-factors of a trainee’s performance capability, i.e. confidence in performance, concentration on performance, and performance achievement.
Second, as a result of looking into what influence a street dance instruction type had on a trainee’s adherence intention, the sub-factors of instruction behavior type, i.e. training and directive behavior were analyz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inclination and reinforcement which are sub-factors of adherence intention while the sub-factor of instruction behavior type, i.e. authoritative behavior was analyzed to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the sub-factor of adherence intention, i.e. reinforcement; in addition, the sub-factor of instruction behavior type, i.e. positive compensatory behavior was analyz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ub-factor of adherence intention, i.e. reinforcement.
Third, as a result of looking into what influence a trainee’s performance capability had on the trainee’s adherence intention, the sub-factor of performance capability, i.e. confidence in performance was analyzed to have a positive on the sub-factors of adherence intention, i.e. inclination and reinforcement while the sub-factor of performance capability, i.e. concentration on performance was analyz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ub-factors of adherence intention, i.e. inclination and possibility; in addition, performance achievement marking a sub-factor of performance capability was analyz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ub-factors of adherence intention, i.e. possibility and reinforcement.
Keyword: Street Dance, Instructor, Instruction Behavior Type, Performance Capability, Adherence Intention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