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복부수술환자의 체온변화와 불편감에 대한 가온요법 효과 비교 = Comparison of Warming Methods on body temperature change and thermal discomfort in abdominal surgery pati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5010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수술환자의 체온유지를 위해 수술실에서 사용하고 있는 가온담요와 가온수액을 각각 복부 수술환자에게 사용하여 수술 중과 수술 후 환자의 체온변화 및 체온 불편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복부수술 환자에게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온요법을 규명하기 위함이었다.
      비동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설계를 사용하여, 1개 대학병원에서 복부수술을 받기로 예정되어 있는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2005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에 걸쳐 실험군에는 가온수액을, 그리고 대조군에는 가온담요를 적용하여 체온변화와 체온 불편감을 실험효과로 측정하였다. 체온변화는 고막체온계를 사용하였고, 체온 불편감 중 객관적 체온 불편감은 collins(1996)의 척도를, 주관적 체온 불편감은 박영우(1999)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0을 이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은 t 검정으로, 가설은 반복측정 공분산분석 및 paired t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가온요법을 실시하기 전 체온관련 특성에서 가온수액군과 가온담요군은 동질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가온요법 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온수액군과 가온담요군의 수술중 시간경과에 따른 체온변화에서 가온수액군이 가온담요군보다 수술 중 체온변화가 유의하게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나(F=5.757, p=.023) '가온수액요법을 실시한 복부수술 환자는 가온담요를 적용한 복부수술 환자보다 수술 중 체온변화가 더 작을 것이다' 는 가설 1-1은 지지되었으나 수술 후 체온변화에서는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어(F=2.222, p=.147) '가온수액요법을 실시한 복부수술 환자는 가온담요를 적용한 복부수술 환자보다 수술 후 체온변화가 더 작을 것이다' 는 가설 1-2는 기각되었다.
      따라서 가설 1(가온수액요법을 실시한 복부수술 환자는 가온담요를 적용한 복부수술 환자보다 체온변화가 더 작을 것이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2. 가온수액군과 가온담요군의 수술 후 객관적 체온 불편감 비교에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어(F=3.135, p=.089), '가온수액요법을 실시한 복부수술 환자는 가온담요를 적용한 복부수술 환자보다 객관적 체온 불편감이 더 적을 것이다'.는 가설 2-1 기각되었으나 주관적 체온 불편감은 가온수액군이 가온담요군보다 유의하게 더 낮아(F=6.379, p=.017) '가온수액요법을 실시한 복부수술 환자는 가온담요를 적용한 복부수술 환자보다 주관적 체온 불편감이 더 낮을 것이다'.는 가설 2-1은 지지되었다.
      따라서 가설2(가온수액요법을 실시한 복부수술 환자는 가온담요를 적용한 복부수술 환자보다 체온 불편감이 더 낮을 것이다)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본 연구 결과 가온수액요법과 가온담요 적용이 복부수술 환자의 수술 후 체온변화와 객관적 체온 불편감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가온수액요법은 수술 중 체온유지와 수술 후 주관적 체온 불편감을 유의하게 더 감소시켰다. 따라서 간편하고 경제적인 가온수액이 가온담요보다 복부수술 환자에게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온요법임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수술환자의 체온유지를 위해 수술실에서 사용하고 있는 가온담요와 가온수액을 각각 복부 수술환자에게 사용하여 수술 중과 수술 후 환자의 체온변화 및 체온 불편감에 미치는 ...

      본 연구는 수술환자의 체온유지를 위해 수술실에서 사용하고 있는 가온담요와 가온수액을 각각 복부 수술환자에게 사용하여 수술 중과 수술 후 환자의 체온변화 및 체온 불편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복부수술 환자에게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온요법을 규명하기 위함이었다.
      비동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설계를 사용하여, 1개 대학병원에서 복부수술을 받기로 예정되어 있는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2005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에 걸쳐 실험군에는 가온수액을, 그리고 대조군에는 가온담요를 적용하여 체온변화와 체온 불편감을 실험효과로 측정하였다. 체온변화는 고막체온계를 사용하였고, 체온 불편감 중 객관적 체온 불편감은 collins(1996)의 척도를, 주관적 체온 불편감은 박영우(1999)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0을 이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은 t 검정으로, 가설은 반복측정 공분산분석 및 paired t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가온요법을 실시하기 전 체온관련 특성에서 가온수액군과 가온담요군은 동질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가온요법 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온수액군과 가온담요군의 수술중 시간경과에 따른 체온변화에서 가온수액군이 가온담요군보다 수술 중 체온변화가 유의하게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나(F=5.757, p=.023) '가온수액요법을 실시한 복부수술 환자는 가온담요를 적용한 복부수술 환자보다 수술 중 체온변화가 더 작을 것이다' 는 가설 1-1은 지지되었으나 수술 후 체온변화에서는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어(F=2.222, p=.147) '가온수액요법을 실시한 복부수술 환자는 가온담요를 적용한 복부수술 환자보다 수술 후 체온변화가 더 작을 것이다' 는 가설 1-2는 기각되었다.
      따라서 가설 1(가온수액요법을 실시한 복부수술 환자는 가온담요를 적용한 복부수술 환자보다 체온변화가 더 작을 것이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2. 가온수액군과 가온담요군의 수술 후 객관적 체온 불편감 비교에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어(F=3.135, p=.089), '가온수액요법을 실시한 복부수술 환자는 가온담요를 적용한 복부수술 환자보다 객관적 체온 불편감이 더 적을 것이다'.는 가설 2-1 기각되었으나 주관적 체온 불편감은 가온수액군이 가온담요군보다 유의하게 더 낮아(F=6.379, p=.017) '가온수액요법을 실시한 복부수술 환자는 가온담요를 적용한 복부수술 환자보다 주관적 체온 불편감이 더 낮을 것이다'.는 가설 2-1은 지지되었다.
      따라서 가설2(가온수액요법을 실시한 복부수술 환자는 가온담요를 적용한 복부수술 환자보다 체온 불편감이 더 낮을 것이다)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본 연구 결과 가온수액요법과 가온담요 적용이 복부수술 환자의 수술 후 체온변화와 객관적 체온 불편감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가온수액요법은 수술 중 체온유지와 수술 후 주관적 체온 불편감을 유의하게 더 감소시켰다. 따라서 간편하고 경제적인 가온수액이 가온담요보다 복부수술 환자에게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온요법임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warming fluid and warming blanket on change in body temperature and thermal discomfort after abdominal surgery.
      The subjects were 32 patients (warming fluid group 16, warming blanket group 16) who underwent abdominal operation in one university hospital from July 1 to August 31, 2005.
      Body temperature change was measured by tympanic thermometer, objective thermal discomfort by the measure of Collins (1996) and subjective thermal discomfort by the measure of Park Young Woo (1999).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repeated measures ANCOVA and paired t-test using SPSS/Win 12.0.
      The results are as follows:
      Hypothesis 1 that patients using the warming fluid will be smaller body temperature change than those using the warming blanket was partially accepted.
      Hypothesis 1-1 that patients using the warming fluid will be smaller body temperature change during abdominal surgery than those using the warming blanket was accepted(F=5.757, p=.023).
      Hypothesis 1-2 that patients using the warming fluid will be smaller body temperature change after abdominal surgery than those using the warming blanket was rejected.
      Hypothesis 2 that patients using the warming fluid will be smaller thermal discomfort than those using the warming blanket was partially accepted.
      Hypothesis 2-1 that patients using the warming fluid will be smaller objective thermal discomfort after abdominal surgery than those using the warming blanket was rejected.
      Hypothesis 2-2 that patients using the warming fluid will be smaller subjective thermal discomfort after abdominal surgery than those using the warming blanket was accepted(F=6.379, p=.017).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that warming fluida more efficient than warming blanket for abdominal surgery patient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warming fluid and warming blanket on change in body temperature and thermal discomfort after abdominal surgery. The subjects were 32 patients (warming fluid group 16, warming blanket group 16) who underwent abdominal...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warming fluid and warming blanket on change in body temperature and thermal discomfort after abdominal surgery.
      The subjects were 32 patients (warming fluid group 16, warming blanket group 16) who underwent abdominal operation in one university hospital from July 1 to August 31, 2005.
      Body temperature change was measured by tympanic thermometer, objective thermal discomfort by the measure of Collins (1996) and subjective thermal discomfort by the measure of Park Young Woo (1999).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repeated measures ANCOVA and paired t-test using SPSS/Win 12.0.
      The results are as follows:
      Hypothesis 1 that patients using the warming fluid will be smaller body temperature change than those using the warming blanket was partially accepted.
      Hypothesis 1-1 that patients using the warming fluid will be smaller body temperature change during abdominal surgery than those using the warming blanket was accepted(F=5.757, p=.023).
      Hypothesis 1-2 that patients using the warming fluid will be smaller body temperature change after abdominal surgery than those using the warming blanket was rejected.
      Hypothesis 2 that patients using the warming fluid will be smaller thermal discomfort than those using the warming blanket was partially accepted.
      Hypothesis 2-1 that patients using the warming fluid will be smaller objective thermal discomfort after abdominal surgery than those using the warming blanket was rejected.
      Hypothesis 2-2 that patients using the warming fluid will be smaller subjective thermal discomfort after abdominal surgery than those using the warming blanket was accepted(F=6.379, p=.017).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that warming fluida more efficient than warming blanket for abdominal surgery pati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 목차 = ⅲ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 목적 = 3
      • 요약 = ⅰ
      • 목차 = ⅲ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 목적 = 3
      • 3. 연구 가설 = 4
      • 4. 용어정의 = 4
      • Ⅱ. 문헌고찰 = 7
      • 1. 체온조절 기전 = 7
      • 2. 전신마취와 체온조절 = 8
      • 3. 수술 중 가온요법 = 12
      • Ⅲ. 연구방법 = 16
      • 1. 연구설계 = 16
      • 2. 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 16
      • 3. 측정도구 = 17
      • 4. 실험처치 = 18
      • 5. 연구진행 절차 = 19
      • 6. 자료분석 방법 = 23
      • Ⅳ. 연구결과 = 24
      • 1. 대상자의 체온관련 특성 = 24
      • 2. 가설검증 = 26
      • Ⅴ. 논의 = 36
      • Ⅵ. 결론 및 제언 = 39
      • 1. 결론 = 39
      • 2. 제언 = 41
      • 부록 1 동의서 = 42
      • 참고문헌 = 47
      • Abstract = 5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