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Body Density, Fat Free Mass, and Muscle Mass in Power  :  Lifters and Untrained Subje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061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 널리 이용된 Siri 혹은 Brozek의 신체구성성분 추정회귀식 %body fat=(4.57/BD - 4.412)100이 일반인과는 달리 운동선수들의 경우 장기간 트레이닝으로 인해 선수개인의 근량, 근밀도, 골밀도 등의 증가로 인해 신체구성성분 분석시 오차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역도선수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신체밀도, 지방율, 체지방을 조사하고 트레이닝으로 인한 근량의 증가가 이러한 변인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연령과 신장이 비슷한 역도선수 9명과 일반인 9명으로서 계 18명이었다.
      근량측정방법은 24시간 뇨중의 유리크레아틴 분비량과 Talbot's상수(뇨중 분비된 1g의 크레아틴=17.9kg의 근량)를 이용하여 산출했으며 신체밀도, 지방비율, 체지방 산출을 위해서는 수중 체중법 및 anthropometry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측정된 자료들은 각 변인별 평균값의 차이와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5로 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역도집단의 경우 densitometry로 측정한 신체밀도 및 체지방 비율은 anthropometry로 측정한값에 비해 유의하게 더 높았다.
      2. 통제집단의 경우 densitometry로 측정한 신체밀도 및 체지방 비율은 anthropometry 로 측정한값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집단별 추정치와 측정치 FFM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일반인에 비해 유의하게 더 높은 근량을 유지하는 역도선수들의 경우 기존의 수중 신체구성성분 측정방법을 이용한다면 신체지방비율을 실제 보다 더 낮게 측정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겠다.
      번역하기

      지금까지 널리 이용된 Siri 혹은 Brozek의 신체구성성분 추정회귀식 %body fat=(4.57/BD - 4.412)100이 일반인과는 달리 운동선수들의 경우 장기간 트레이닝으로 인해 선수개인의 근량, 근밀도, 골밀도 ...

      지금까지 널리 이용된 Siri 혹은 Brozek의 신체구성성분 추정회귀식 %body fat=(4.57/BD - 4.412)100이 일반인과는 달리 운동선수들의 경우 장기간 트레이닝으로 인해 선수개인의 근량, 근밀도, 골밀도 등의 증가로 인해 신체구성성분 분석시 오차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역도선수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신체밀도, 지방율, 체지방을 조사하고 트레이닝으로 인한 근량의 증가가 이러한 변인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연령과 신장이 비슷한 역도선수 9명과 일반인 9명으로서 계 18명이었다.
      근량측정방법은 24시간 뇨중의 유리크레아틴 분비량과 Talbot's상수(뇨중 분비된 1g의 크레아틴=17.9kg의 근량)를 이용하여 산출했으며 신체밀도, 지방비율, 체지방 산출을 위해서는 수중 체중법 및 anthropometry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측정된 자료들은 각 변인별 평균값의 차이와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5로 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역도집단의 경우 densitometry로 측정한 신체밀도 및 체지방 비율은 anthropometry로 측정한값에 비해 유의하게 더 높았다.
      2. 통제집단의 경우 densitometry로 측정한 신체밀도 및 체지방 비율은 anthropometry 로 측정한값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집단별 추정치와 측정치 FFM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일반인에 비해 유의하게 더 높은 근량을 유지하는 역도선수들의 경우 기존의 수중 신체구성성분 측정방법을 이용한다면 신체지방비율을 실제 보다 더 낮게 측정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겠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